제주대학교 Repository

4.3평화교육이 제주지역개발에 미치는 효과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 of '4.3 Peace-Education' on Jeju Regional Development
Abstract
20세기는 학살과 폭력의 세기이다(아렌트, 1999; 허상수, 2006 : 75-97 재인용). '제주4.3사건'도 근대국가 탄생과정에서 발생된 국가폭력으로(허상수, 2006 : 75-97 ;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 : 543-544)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사건이었으나 이를 방치하고 묶어 둠은 억울하고 불행한 사건으로 기억 속에 묻히게 되고 또는 사람들이 과거 자료에 접하더라도 이념적 상황에 메이는 현상이 반복되어 좌, 우 대립적 사고로부터 벗어나기에 어렵다.
아직까지 '제주4.3사건'을 놓고 이념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단지 공산주의의 반란을 제압하였다는 시각 하에 '제주4.3사건'으로부터 6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대립과 갈등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념 대립적 시각을 탈피하고자 '제주4.3사건'의 실체를 확인하고, 평화와 상생을 모색하기 위한 교육으로 지금까지는 일부 초·중·고등학교 학생, 교사, 대학생,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매년 4.3주간 등 한 때의 계기적 교육이거나 일부의 대학생, 일반인들의 선택에 의한 부분적 교육이어서 아직까지는 공교육으로서 정상적인 교육은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제주도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조차도 제주4.3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스스로 바르게 알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이는 과거 이념 편향적 사고의 틀로서 바라봄에 따라 나타나는 '제주4.3사건'에 대한 잘못 주입된 좌익적 색채 때문에 '제주4.3사건'을 기피하려는 태도에서 기인한다. 이에 더 근원적인 이유는 제주4.3사건진상규명과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1999년 12월 16일 제정되고 2000년 1월 12일 공포된 법으로, 향후 논문에서 '제주4.3특별법'이라 함)이 제정되기 전, 공산폭동 또는 친북적인 민중폭동을 응당하게 진압한 '제주4.3사건'으로 기억시켜왔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제주4.3사건'에 대하여 명예회복 요구나 대량학살 등을 운운하는 것은 금기의 영역이었다. 이는 '제주4.3사건'을 자랑스럽지 못한 사건으로서 치부하여 그 사건을 잊어버리는 것이 국가이익이라는 정치적 작용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주4.3사건'은 지금 여기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과거를 반추하며 향후 보다 나은 제주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필요한 귀중한 역사적 자원임을 부인 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제주4.3사건'은 한국현대사에 6.25 다음으로 많은 사람이 학살을 당한 비중 있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제주4.3사건'과 같은 폭력을 되풀이 하지 않으려면, 그 사건을 거울로 삼아 궁금한 점들을 면면히 뜯어봐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제주4.3사건'의 역사적 사실을 놓고 대립적 시각을 견지할 것이 아니라, 보다 조화롭고 평화로운 삶을 위하여 생명의 존귀함, 평화와 인권의 존중, 하나의 세상 속에 다양함이 어울리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
이렇게 '제주4.3사건'을 반성하듯이 교육을 하면 기존의 이념 대립적 시각을 갖고 있던 사람들은 점차로 이념의 틀 밖으로 의식이 넓어지고, 그 넓어지는 만큼 대립적 시각은 상대적으로 좁아져 사회통합과 제주지역의 발전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의 평화교육은 인권과 생태를 포함하는 교육으로 지난 세기 폭력의 반성에서 출발하여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제주지역도 지난 세기 폭력인 '제주4.3사건'에서 시대변화에 알맞은 평화교육의 소재를 찾아내고 교육을 한다면 불운했던 '제주4.3사건'은 금세기에 가치 있는 역사적 자산으로도 변화시켜 갈 수가 있다. 이는 '4.3평화교육'은 비폭력·평화·교육·문화·관광·환경·여성·예술 등 제주지역에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는 단초로 기능할 수 있으며, 학문적으로는 인류사의 진보과정에 뼈아픈 '제주4.3사건'은 공동체적 사회건설에 필요한 기술들을 밝혀내는데 중요한 자료들을 제공하는 공급원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4.3평화교육'은 '제주지역개발'과 인류사 진보를 이룩해 나가는 데 필요한 '제주4.3사건'에 대한 연구의 경계(境界)를 무한이 열어 나갈 수 있을 것 인데, 이념 편향적으로 닫혀있는 그 마음이 아직까지도 무고한 '제주4.3사건'에서 희생자들을 폭도라 매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nswer the following curiosities: if '4.3 peace-education' would be implemented, what will affect on Jeju regional development? Might any disruption be arisen? Will the education be helpful in the industries of either piece or tourism?
For this study, 5 variables were defined, including '4.3 peace-education', 'on Jeju regional development', 'the degree of interest in 4.3,' 'the degree of interest by NG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occupation', 'gender', 'region', 'age', 'education', and 'coursework for 4.3.'
Collected data from population, which consists of the 'governmental officials', 'undergraduate students', 'teacher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normal adults' and identifying the impact relations among variables and the differences of changes by a group, belonging to the population, which consists of 4 groups: in Jeju district, and did hypothesis test of changes between variables.
For the research, data-gathering had been conducted from June 25, 2009 to July 10, 2009 and 709 copies were utilized. The result of a reliability analysis regarding collected data, indicating Cronbach's α =.961, is found to be highly reliable. For a feasibility analysi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For a hypothesis test, F-test(ANOVA), T-test, and a cross-tabulation analysis(X²) were operated with SPSS. For a structural model, AMOS fitness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s are as the following;
(Hypothesis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respond to changes in '4.3 peace-education', 'Jeju Regional Development,' 'the degree of interest in 4.3,' 'the degree of interest by NGO' will play an adjusting role. ⇒ Partially adopted
'Hypothesis 1' wa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able 1.

(Hypothesis 2) '4.3 peace-education'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Jeju regional development' ⇒ Adopted
(Hypothesis 3) '4.3 peace-education'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4.3' ⇒ Adopted
(Hypothesis 4) '4.3 peace-education'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the degree of interest by NGO' ⇒ Rejected
(Hypothesis 5) 'The degree of interest in 4.3'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Jeju regional development' ⇒ Adopted
(Hypothesis 6) 'The degree of interest in 4.3'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the degree of interest by NGO' ⇒ Adopted
(Hypothesis 7) 'Jeju regional development'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the degree of interest by NGO' ⇒ Adopted
(Hypothesis 8) 'The degree of desiring a coursework for 4.3' will affect the difference of 'forming consciousness of citizens in Jeju' ⇒ Adopted
(Hypothesis 9) 'The range of 4.3 education recipients' will affect the difference of 'forming consciousness of citizens in Jeju' ⇒ Adopted
As the result of the optimized, structural model and modification index, it is as the following Figure 1 and Table 2.

the regression coefficient(.441***), to 'Degree of Interest in 4.3'(.183**), but doesn't give effect to 'Degree of Interest by NGO'(.132^(.143)).
Second, 'Degree of Interest in 4.3' gives effect to 'Jeju Regional Development' as the regression coefficient(.335***), to 'Degree of Interest by NGO'(.567***) , and getting from it(.546**).
Third, 'Jeju Regional Development' gives effect to 'Degree of Interest by NGO'(.347***).
Therefore, most of citizens in Jeju have strongly expressed the need of '4.3 peace-education' and have thought it could play a positive role in developing Jeju district, so that it could have them change their consciousness positively without arising any social disruption.
And '4.3 peace-education' will contribute strengthening Jeju as 'the peace island'. and It will be symbolized the value of human right, peace, reconciliation, and coexisting, and help Jeju enhance the image as a peace-city within the globe.
Just as "War is originated from needs deep within hearts of human beings. Thus, it is necessary to build peace networks. It is desirable to root in peace in human beings' heart", peace would start from the escape from self-centered way of thinking, and prevail without cease if peace is accepted.
Precisely, this study has not utilized the sample, collected from an entire Jeju population. Thus, more precise and various populations as targets are needed. And we should learn the method to live in harmony, to guarantee human rights through the '4.3 peace-education'. So, we should make Jeju Island into the area of the peace. (Thank You)
Author(s)
한윤섭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26
Alternative Author(s)
Han, Youn Sub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고창훈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
1. 문제 제기 1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방법 및 내용 7
1. 연구 방법 7
2. 연구 내용 8
제2장 이론적 배경 11
제1절 4.3의 소재 11
제2절 '4.3진상규명'과 민주화의 관련성 30
제3절 '4.3 평화교육' 45
1. '평화교육' 45
1) '평화'의 개념 45
2) '평화교육'의 개념 58
2. '4.3평화교육'의 발현과 교육내용의 변화 60
1) '제주4.3특별법' 제정 이전 62
2) '제주4.3특별법' 제정 이후 63
3) '4.3평화교육'의 향후 방향 72
3. '4.3평화교육'의 내용 78
1) 비폭력 능력의 향상 78
2) 생명의 존엄성 80
3) 적법절차의 중요성 82
4) 불의에 대한 저항 84
5) 다양성 존중 86
6) 이념적 틀을 깨트리기 87
7) 대안탐색과 협상력 쌓기 90
8) 주변도시 등과의 교류 92
9) 소수인권의 존중 95
제4절 제주지역개발 98
1. '지역'과 '개발'의 개념 98
2. '제주지역개발'의 개념 101
3. '지역개발'의 이념과 연구범위의 변화 추세 108
제5절 '4.3평화교육'과 제주지역개발 관련성 112
1. 제주역사를 만들어 가는 '주체자로서 역할 인식' 제고 112
2. 이념의 탈피로 새로운 '제주지역개발'에 긍정적인 기여 가능 113
3. '제주4.3사건'이 '평화를 추구하는 지역'으로 근거 제공 114
4. 세계를 향한 평화의 '네트워크 중심지'로 기여 115
제3장 연구방법론 118
제1절 연구모형 118
제2절 연구가설 119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121
1. '4.3평화교육' 121
2. '제주지역개발' 123
3. '4.3관심도'와 '시민단체관심도' 126
4. '인적특성'과 '의식특성' 127
제4절 조사 및 분석방법 129
제4장 자료수집 및 분석 131
제1절 자료수집 및 기초통계분석 131
1. 자료수집 131
2. 기초통계분석 132
제2절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133
1. 신뢰성 검증 133
2. 타당성 검증 136
3. 요인별 기술통계분석 143
제3절 변량분석에 의한 가설검증 146
1. 가설 1에 대한 변량분석(ANOVA)을 하는 이유 146
2. 가설 1의 검증(변량분석) 147
제4절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156
1. 상관관계 분석을 하는 이유 156
2. 상관관계 분석결과 157
제5절 평균차이에 의한 변수 간 가설검증 159
1. 연구가설에 대한 T-검증을 하는 이유 159
2. 가설 검증(가설 2~ 가설 9) 160
1) 가설 2의 검증 160
2) 가설 3의 검증 162
3) 가설 4의 검증 164
4) 가설 5의 검증 165
5) 가설 6의 검증 167
6) 가설 7의 검증 168
7) 가설 8의 검증 170
8) 가설 9의 검증 173
9) 가설 2~ 가설 9의 검증 결과(종합) 175
제6절 구조모형 적합도 추정을 통한 가설검증 177
1. 구조모형 적합도 검증을 하는 이유 177
2. 확인적 요인분석 179
3. 적합된 구조모형의 추정 182
4. 가설검증 192
1) 가설 2의 검증 193
2) 가설 3의 검증 194
3) 가설 4의 검증 195
4) 가설 5의 검증 196
5) 가설 6의 검증 197
6) 가설 7의 검증 198
7) 가설 2~ 가설 7의 검증 결과(종합) 199
제7절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201
1. 분석결과의 요약 201
1) 요인분석 결과 201
2) 변량분석(ANOVA)에 의한 F 검증 203
3) 차이분석에 의한 T-검증 204
4) '4.3평화교육'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식모형 검증 206
2. 분석결과의 시사점 208
제5장 결론 212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212
1. 개관 212
2. 검증 214
제2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218
1. 시사점 및 향후 방향 218
2. 한계점 220
참고문헌 222
부록 : 설문조사서 241
감사의 글 246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한윤섭. (2010). 4.3평화교육이 제주지역개발에 미치는 효과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