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교 교사의 담임직무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Understandings of High School Class Teachers on the Job Satisfaction
Abstract
학교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신장과 개인의 행복 및 삶의 질을 제고하는 미래 지향적 교육이라는 새로운 학력관으로 점차 변화해 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교사 개개인 또한 승진이나 건강을 위한 여가시간 등 삶의 질적 향상 욕구와 기대로 인해 학교잡무에 대한 갈등이 항시 내재하고 있다. 특히 학급경영을 책임지는 담임교사는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과중한 업무부담으로 점차 담임직무 기피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담임직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내재된 갈등요인을 체계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교사의 담임직무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 수준은 어떠한지?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수준은 어떠한지? 교사의 개인특성별 담임직무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로 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시내 12개 고등학교 교사 35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325부의 자료를 F검증과 Scheffe 검사, t-test,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사의 담임직무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 수준에서 10년 미만 교육경력 교사, 담임직무 선호 교사, 적극적인 인성 및 생활지도를 하는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직·전문직 교직관을 가진 교사가 노동직 교직관을 가진 교사보다 직무만족을 더 경험하고 있다. 즉,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직무의 만족과 동기를 주고 있다. 그러나 높은 존경도를 특징으로 하는 교직에 대한 교사나 사회의 인식은 과거와 비교하면 많이 변화되어 노동직 교직관이 성직 교직관이라는 견해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다. 교육노동자란 말의 등장도 교직이 고도의 전문지식을 필요로 한다는 점 이외에는 다른 직업과 큰 차이가 없다는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직에 대한 높은 존경도와 신뢰의 회복 및 교사의 긍정적 담임직무 인식전환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수준은 대다수 직무변인에서 사립학교 교사, 전문계 교사 및 담임을 선호하는 교사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단, 성취감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도시소재 교사, 일반계 교사가 높고, 사회적 인정, 보수, 발전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여교사의 만족도가 높다. 창의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남교사가 높고 다양성, 보수, 보상에서는 부장교사가 높았다. 관리자와의 인간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농촌소재 학교 및 비담임 교사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담임직무를 수행하는데 근무환경이나 직무여건이 직무만족 수준을 결정하므로 공립, 도시소재, 일반계 학교의 근무환경 개선 및 남교사, 평교사의 직무여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개인특성별 담임직무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태는 개인특성별로 대부분의 교사가 안식년제 도입 및 야간 시간외 수당의 현실화를 담임직무 동기유발 방안으로 제시하고, 특히 농촌소재 학교 교사는 담임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담임선호 경향은 일반계, 남학교, 10년 미만의 교육경력 교사, 평교사, 현직 담임교사에서 많이 나타났고, 사립, 일반계, 남학교, 남교사, 평교사, 10년 미만 교육경력교사, 도시소재 학교 교사가 방과 후 늦게까지 학교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직무 부담은 공립, 전문계, 여학교, 여교사, 담임교사, 농촌소재 교사에서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직무 부담이유는 대부분 개인 여가시간 활용의 제한, 일탈된 학생의 생활지도 및 상담 때문으로 나타났다. 담임직무의 가장 큰 보람은 적극적인 인성 및 생활지도로 학생의 변화된 모습을 보았을 때이며, 담임직무 동기는 학교장의 일방적 통보나 어쩔 수 없이 떠맡는 관행에 의해 경력, 나이순으로 10년 미만의 초임교사가 우선 담임에 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는 학생 및 학부모들의 호응도가 낮아 담임직무를 맡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교사의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고 담임직무의 생산성 향상과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담임보직 문화의 개선과 담임직무에 대한 경제적 배려 외에 높은 존경도나 신뢰의 회복을 위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또한 근무환경의 개선, 부담임 체제의 적극적 활용, 담임직무 선호 풍토 조성 및 공립·일반계 고등학교에 대한 과감한 투자, 경력이 많은 교사의 담임직무 수행과 우대방안으로 교단의 변화를 주는 일련의 정책적 합의가 요구된다. 그럼으로써 적극적인 담임직무의 수행 및 바람직한 교육현장의 활로를 찾고 중등교육의 질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and conflicts on homeroom teachers' duti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job satisfac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chose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n homeroom teachers' duties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eachers' personal variables? Third, what's the effects of perceptions on homeroom teachers' dutie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a tool of the study, the researcher used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and randomly selected and distributes questionnaires to 350 teachers in Jeju city. Among them, 325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F test and Scheffe test, t-test and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eacher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10 years, preferred to be a homeroom teacher, and assiduously participated in guidance, have felt the highest job satisfactions. And teachers who regarded teaching as a professional or holy job had experienced much more job satisfactions than teachers who regarded teaching as a labor job. But as time passed, high respect to teaching job had lessened and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 teaching job was a labor job, not professional or holy job. The word 'educational worker' reflects a thought that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eaching and other job, except that teaching re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which layperson could not have. Thus, it should be taken some measures to recover respect and trust on teaching job, and change teachers' perceptions on homeroom teachers' duties.
Seco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highest at private high schools, and the next was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ho want to be a homeroom teacher. Job satisfaction based on accomplishments was high for teachers who worked at urban or academic high schools,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social recognitions, remunerations and possibilities of future growth was high for female teachers. Namely, working environments and working condition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so it is needed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of teachers.
Third, most teachers selected introducing a sabbatical year system and increasing overtime allowance for night classes as one of motivators. Also teachers at rural areas preferred to give additional scores for promotion to administrative position.
Finally, to solve teachers' psychological conflicts and increase productivities of homeroom teachers' duties, it needs to be changed in cultural patterns of being assigned to a homeroom teacher, and reach social consensuses on restoring the people's trust or high respects on the teaching profession as well as financial supports for homeroom teachers' duties. Also, it is needed to reach political consensuses on way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expand the assistant homeroom teacher system, create a climate in which homeroom teacher's duties are preferred, and increase investment to a public and an academic high schools. As a consequence we can expect at a qualitative improvement of a secondary education and can trace a desirable way out of the education field, an active performance of a class teacher's duty.
Author(s)
박형우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20
Alternative Author(s)
Park,HyeongWo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2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4
1. 담임교사의 역할과 직무 4
2. 직무만족의 개념과 동기이론 6
3. 선행연구의 고찰 18

Ⅲ. 연구 방법 21
1. 연구대상 21
2. 연구도구 22
3. 자료처리 23
4. 연구모형 24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25
1. 교사의 담임직무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 25
2.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49
3. 교사의 개인특성별 담임직무 인식과 직무만족 66

V. 요약 및 결론 86
1. 요약 86
2. 결론 88
3. 제언 89

⃞ 참고문헌 91
⃞ Abstract 95
⃞ 부록 9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박형우. (2007). 고등학교 교사의 담임직무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