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교과교실제 운영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the Operation of Subject Classroom System : Center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odel schools of Subject Classroom System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는 교과교실제 사례들을 학교 선진형(A형), 과목 중점형 (B-1, B-2형), 수준별 수업형 (C형) 인 유형별로 조사 검토해 봄으로써 효과적이면서도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교과교실제 개선 및 보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특별자치도 교과교실제 시범학교 중 유형별로 5개의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사 94명, 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교실제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들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고등학교 교사보다는 중학교 교사가 교과교실제의 필요성에 대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과교실제의 운영 실태도 중학교 교사가 운영이 잘되고 있다는 비율이 높았다. 교과교실제의 효과적인 학교 규모에 대해서는 중규모인 7~18학급에서 적당하다고 응답한 교사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효율적인 교과교실 운영에 따른 적정 학급 학생수는 21~25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 유형별 차이가 있었다.
한편 학생들은 교과교실제의 필요성에 대하여 그저 그렇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으며, 필요하다, 필요하지 않다 순이었다. 교과교실제의 운영실태는, 5점 척도에서 평균 2.86점 (점수가 낮을수록 잘 되고 있음)으로 비교적 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도 교과교실제에 가장 적합한 학급 규모로는 중규모인 7학급 ~ 18학급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 변인에 따른 교과교실제의 학습 효율성 및 운영 정도, 교사 전문성 신장 기여도, 학생들의 학력 향상 도움 정도, 교사 교수활동 도움 정도에서는 고등학교 교사 보다 중학교 교사들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고 있다. 또한 교과교실제가 학생들의 학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힌 경우는 그 요인으로 학생들의 교실 이동에 따른 불편함과 실제 학생들의 학습 결과 향상에 도움이 안 된다는 점을 꼽고 있다.
교과교실제 운영 시 교사의 교수 활동에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는 효율적인 수업의 진행을 가장 높게 꼽고 있으며, 반면에 교과교실제 운영 시 교사의 교수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교재연구, 교재 재편성에 따른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생들은 교과교실제 운영으로 인한 학습 준비도, 교과교실제 운영시 학력 향상에 미친 영향, 수업 만족도 영역에서 보통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교과교실제의 장점으로 수준별 수업으로 수준에 맞는 수업을 꼽고 있다. 반면에 교과교실제의 단점으로는 이동에 따른 혼란과 피곤함을 가장 많이 꼽고 있다.
셋째, 교과교실제 운영이, 학생들의 이탈 행동방지나 기자재 보호 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감/교장, 부장교사, 교사 순으로 긍정적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현재 구축된 멀티미디어기자재로는 컴퓨터, 전자교탁이나 전자칠판, 빔프로젝트와 스크린을 공통된 품목으로 꼽고 있으며, 앞으로 필요할 기자재로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자기주도적 학습 자료를 꼽고 있다.
한편 학생들은 교과교실제운영이 학생들의 이탈 행동방지나 기자재 보호 등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구축된 기자재는 교사의 분석결과가 공통된 결과였으나, 앞으로 필요할 기자재로는 PDP TV와 다양한 자기주도적 학습자료를 꼽고 있다. 교과교실에 적합한 책상배치로는 1인 1책상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첫째, 교과교실제의 필요성은, 학생 보다는 교사들이, 교사들 유형에서는 중학교 교사가 더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다.
둘째, 교과교실제의 효율성에 대해서 중학교 교사들이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학생들은 보통으로 느끼고 있다.
셋째, 학생들은 교과교실제의 장점을 수준에 맞는 수준별 수업을, 단점으로는 이동에 따른 혼란과 피곤함을 꼽고 있다.
넷째, 교사들은, 교과교실제 운영이 성공하기 위한 요소로 학교운영 체제 및 교육과정의 개선을 최우선으로 꼽고 있으며 관리자는 교사의 헌신과 열정을 꼽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the searching for the better way of operating Subject Classroom System(SCS) to improve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different types of subject classroom system which is operated by the model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o this study performed research tasks including the necessity and efficiency of SCS, the teaching- learning achievement effect of SCS,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and use of learning materials and suggested the better way of operating SCS for achieving the aim of this system.
The results acquir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views were highly affirmative in the necessity and efficiency of SCS but those of students were so-so. Especially middle school teachers' views are the most highly affirmative. The preferable school size is medium( 7~ 18 classes)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re 21~ 25 students.
Secondly, teachers' views were positive in the management, satisfaction with lessons, the improvement of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fostering teachers' professionalism under subject classroom system, but those of students were so-so. In this fields, middle school teachers' views are more positive.
Thirdly, teachers' views were highly positive in the protection of students' mischievous actions and learning materials and implements. Generally, computer, electric board, beam projector are equipped in the subject classroom.
Finally, to the teachers' view,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settle down the Operation of Subject Classroom System successfully i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school management and curriculum system. But, to the principal's view,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Operation of SCS is teacher's devotion and passion.
This study analyzed clearly the view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Operation of SCS, and suggested the way to improve it to bring about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Operation of SCS.
Author(s)
김원복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41
Alternative Author(s)
Kim, Won B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및 연구내용 3
3. 연구의 제한점 4
4.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교과교실제 현황 6
2. 제주특별자치도 교과교실제 추진전략 및 실태 19
3. 교과교실제와 제7차 개정 교육과정 23
4. 교과교실제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25
5. 교과교실제에서의 자기 주도적 학습 26
6. 선행연구 고찰 28

Ⅲ. 연구방법 31
1. 연구의 대상 31
2. 연구도구 32
3. 자료 수집 방법 33
4. 자료 분석 방법 3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5
1. 교사 설문지 분석 35
2. 학생 설문지 분석 47

Ⅴ. 결론 및 제언 61
1. 요약 61
2. 결론 및 제언 63

참고문헌 66

Abstract 68

부 록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원복. (2010). 교과교실제 운영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