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일본어 사역 표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Causative Expressions in Japanese
Abstract
일본어의 사역 표현은 「-せる」라는 형태적 특징과 더불어, 사역주가 피사역자에게 동작을 하게 하는 사역 작용을 하였고, 피사역자가 동작을 실현하였다는 두 의미를 한 문장 안에 담아 표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실제 사역문을 다수 접해보면, 일반적인「사역」의 의미 외에 보다 다양한 유형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본어 사역문은 타동사문과의 연속성을 배제할 수 없는 문법 형식으로, 그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 중에서도「-せる」형태의 타동사문은 사역문과 가장 혼돈이 큰 부분이다.
사역문과 타동사문은 분명 다른 문법형식이다. 그러므로 보다 정확한 사역표현의 활용을 위해서는 사역문만이 가지는 고유의 문법 기능을 올바르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일본어 사역문의 의미적 특징과 구문적 특징을 살펴보고, 타동사문과의 변별 기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첫째, 일본어 사역문의 의미적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구체적인 사례들을 유형별로 정리해보았다. 전형적인 사역문은 사역주가 피사역자의 행위를 도모하거나 허용하는 간접행위만을 하며, 실제적인 동작은 피사역자에 의해 실현된다. 사역 행위는 적극적인 형태로 표현되기도 하고, 소극적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그 유형에 따라 지시·명령, 허용, 방임·방치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전형적인 유형에서 벗어나, 사역주가 동작주로서 직접 행위를 하거나, 사역의지와 무관한 결과, 심리 혹은 사물의 상태나 현상을 표현하는 사역문들을 비전형적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비전형적인 사역문에는 상태·현상, 유발·인과, 피해·자책·공훈, 행위·조작의 용법이 있었다.
둘째, 사역문의 구문적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피사역자가 취하는 격조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역문에서 피사역자는「に」격 혹은「を」격으로 표현되는데, 타동사의 사역문은 피사역자를 「に」격으로 나타낸다. 자동사 중에서 의지동사의 사역문은 「に」격과「を」격을 모두 취할 수 있으나, 「に」격은 피사역자가 스스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에만 사용되었다. 따라서 피사역자가 사역주의 직접적 혹은 강제적인 행위의 대상으로 표현될 때, 그리고 동작을 실현할 수 없는 비정물인 경우에는 「を」격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상태의 변화를 표현할 때에도 변화의 대상인 피사역자는 「を」격으로 표현되었다.
셋째, 자동사 사역문과 타동사 사역문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립하는 타동사를 가지지 않는 자동사의 경우는, 대상의 변화를 타동사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사역문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대립하는 타동사가 있는 자동사의 사역문은 피사역자가 스스로 행위를 실현한다는 점에서 타동사문과 차이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타동사의 사역문은 피사역자에게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의지가 있어야 하나, 동작 의지를 인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역문이 성립하지 않았다.
넷째, 「-せる」의 형태를 가진 타동사문과 사역문을 비교하여 보았다. 타동사의 사역문과 동일한 「-せる」의 형태를 취하고 있더라도, 「に」격의 피사역자가 나타나 있지 않고 동작주의 행위 대상만이 나타나 있는 경우는 타동사문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자동사의 사역문과 동일한 「-せる」의 형태를 취하고 있더라도, 피사역자가 동작을 실현할 수 없다면 사역문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타동사문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사역문의 의미적 용법에 포함되지 않고 동작주의 일방적인 행위만을 표현하고 있는 경우도 타동사문으로 판단하였다.
In Japanese, causative expressions are characterized by the form of 「-せる」and the fact that a causative sentence can deliver two meanings, which are that of the subject causing a person to do a certain act and a person carrying out an act.
A look at many causative sentences, however, reveals the existence of more diverse types in addition to the general "causative" meaning. In Japanese, in particular, causative sentences cannot exclude a continuity with transitive sentences. In fact, 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are sometimes blurry. Especially, transitive sentences of 「-せる」are most confused with causative ones.
Causative sentences have a clearly different grammatical form from transitive ones, which calls for a need to correctly understand the unique grammatical functions of causative sentences in order to use causative expressions more correctly. Thu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ausative sentences in Japanese in terms of semantics and syntax and to consider the criteria to distinguish them from transitive sentences.
First, specific cases of causative sentences in Japanese were sorted out by their types. In typical causative sentences, the subject engages in only indirect acts such as planning or allowing an act for another person, who actually carries out the act. Causative acts are expressed in either active or passive forms and categorized into instructions and orders, permission, and noninterference and negligence. In addition to those typical categories, there are atypical ones, in which the subject carries out an act him or herself or causative sentences express results or psychology unrelated to the causative will or the states and phenomena of objects. The atypical causative sentences are divided into state and phenomena, induction and cause & effect, damage, self-blame, merits, and acts and manipulation.
Second, the case particles used by the perso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yntactical characteristics of causative sentences more clearly. While the person carries 「に」or「を」in causative sentences, the person in causative sentences of transitive verbs carries 「に」. Among intransitive verbs, volitive verbs can have both 「に」and「を」in causative sentences, but 「に」is used only when the person is capable of doing an act him or herself. Thus 「を」is used when the person is expressed as the target of the subject's direct or forced act or the object is lifeless and cannot perform an act. And 「を」is also used when the person is the target of a change of state.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causative sentences of 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s were examined. When an intransitive verb doesn't have its transitive equivalent, the state of the target cannot be expressed with a transitive verb, which is where a causative sentence comes in. But a causative sentence of an intransitive verb that has a transitive equivalent is clearly different from a transitive sentence in that the person performs an act him or herself. A causative sentence of a transitive verb requires the person to have the will to perform an act. When his or her will for the act cannot be recognized, there is no causative sentence.
And fourth, transitive and causative sentences of 「-せる」were compared. When a sentence only contains the target of the person's act instead of the person of 「に」despite the same 「-せる」as a causative sentence of a transitive verb, it can be called a transitive sentence. Even if a sentence has the same 「-せる」as a causative sentence of an intransitive verb, it is regarded as a transitive sentence since the person cannot perform an act and thus a causative sentence cannot be made. And if a sentence doesn't fall into the semantic usage of a causative sentence and expresses only the one-sided act of the subject, it is regarded as a transitive sentence.
Author(s)
한효심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52
Alternative Author(s)
Han, Hyo si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김승한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2
Ⅱ. 일본어 사역문의 의미적 용법 4
2.1 전형적인 사역문 5
2.1.1 지시·명령 6
2.1.2 허용 7
2.1.3 방임·방치 8
2.2 비전형적인 사역문 10
2.2.1 상태·현상 10
2.2.2 유발·인과 11
2.2.3 피해·자책·공훈 12
2.2.2 행위·조작 13
Ⅲ. 「に」격 사역문과 「を」 격 사역문 15
3.1 피사역자가 「に」 격과 「を」격을 모두 취하는 사역문 15
3.2 피사역자가 「を」 격만 취하는 사역문 16
3.3 피사역자가 「に」 격만 취하는 사역문 20
Ⅳ. 자동사 사역문과 타동사와 사역문 22
4.1 자동사의 사역문 22
4.1.1 자동사의 사역문이 성립하는 경우 22
4.1.2 자동사의 사역문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24
4.2 타동사의 사역문 25
4.2.1 타동사의 사역문이 성립하는 경우 25
4.2.2 타동사의 사역문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26
Ⅴ. 「-せる」 타동사문과 사역문의 상관관계 28
5.1 형태적인 면 29
5.2 의미적인 면 30
Ⅵ. 결론 34
참고문헌 37
예문출전 39
Abstrat 4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한효심. (2010). 일본어 사역 표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