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中國과 韓國 企業會計基準 比較 研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China Accounting Standard and Korea Accounting Standard
Abstract
회계란 회계정보의 이용자가 합리적인 판단과 경제적인 의사경정을 할 수 있도록 경제실체에 관한 계량적 정보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과정이다.
1992년부터 중국과 한국 수교 후 양국의 경제교류와 상호경제협조, 투자규모의 지속적인 증대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밀접해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한국의 경제체제와 사회 환경의 차이에 따라 회계법규, 회계처리방법, 회계표현 양식 등에서 다양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 (중국)의 대 중국 (한국)교역활동에 많은 불편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투자활동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국간의 회계영역에 대한 상호연구, 그리고 상호협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과 한국의 회계기준의 주요 차이를 제시하며 국제회계기준의 합치가 양국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중국, 한국의 회계기준에 대한 재무회계의 총칙, 재무제표 요소의 회계처리 및 재무제표의 종류 측면으로 나누어 각각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과 한국의 기업회계기준은 양국의 회계환경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 차이점은 주로 자산의 회계처리에서 볼 수 있다. 둘째, 회계환경의 차이는 양국 회계기준차이의 근본 원인이다. 셋째, 자본시장이 점차로 국제화되고 투자자들과 다국적 법인, 회계법인 등으로 부터 재무제표에 대한 비교 가능성의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회계기준의 필요성이다. 따라서 국제회계기준의 합치는 회계영역의 추세이다.
Globalization and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world economy have resulted in increased economic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nd clos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 enterprises of both countries. However, since both countries follow different accounting standards certain difficulties arise in interpreting the information exchanged among the enterprises of both countries. These misunderstanding post challenges for the users of such accounting information of both countries. It is therefore important tha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in the accounting standards of China and South Korea be developed if we are to reconcile these difference and facilitate the further exchanges among the enterprise of both countries.
On the other hand, under the great trend of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integration of the world capital market, the accounting information as the international common business oriented language has been more and more convergent. Recently most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dopte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 the Chinese Ministry of Finance also issued New Accounting Standards in February 2006, and the New Accounting Standards is fully compatible with the Chinese national condition and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in agreement with the World Bank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started to reformed Accounting Standards, enhanced the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the convergence with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
The findings of the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dentifying, measuring, recognition, communication of the asset, liability, and capital.
Secondly,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is the accounting environment which is highlighted in this study. There is no the most perfect accounting standards but the most suitable.
Thirdly, the global convergence of accounting standards is the capital market's develop tendency.
Author(s)
宋海榮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01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회계학과
Advisor
강희수
Table Of Contents
제I장 서론 2
제1절 연구배경 2
제2절 연구 목적, 방법 및 구성 3

제II장 선행연구 및 회계환경 고찰 4
제1절 선행연구 4
1) 중국국내의 선행연구 4
2) 한국국내의 선행연구 4
제2절 사회제도 환경 5
1) 역사와 회계환경 5
2) 법규체제와 회계환경 6
3) 교육 및 사회문화가치와 회계환경 6
제3절 회계제도 환경 6
1) 중국회계기준에 대한 소개 7
2) 한국회계기준에 대한 소개 10

제III장 중․한 회계기준에 대한 소개 및 비교 13
제1절 기본적인 회계기준의 비교 13
1) 회계기준내용의 비교 13
2) 회계총칙의 비교 13
제2절 자산 (Asset)의 비교 15
1) 재고자산 (Inventory)의 회계처리 비교 16
2) 무형자산 (Intangible Asset)의 회계처리 비교 18
3) 영업권 (Goodwill)의 회계처리 비교 20
4) 투자지분증권-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회계처리 비교 22
제3절 부채 (Liability)의 비교 25
제4절 자본 (Capital)의 비교 26
1) 중국 자본 구성 항목의 소개 27
2) 한국 자본 구성 항목의 소개 29
제5절 수익 (Revenues)․비용 (Expenses) 및 이익 (Income)의 비교 29
1) 수익․비용의 비교 29
2) 이익의 산출과정 비교 31
제6절 재무제표 (Financial Statement)의 비교 32
1) 양국의 재무제표 종류의 비교 32
2)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의 비교 33
3)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의 비교 34
4) 현금흐름표(Cash Flow Statement)의 비교 37
5) 자본변동표 (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의 비교 38
제7절 연결재무제표의 비교 39
1) 연결재무제표의 목적 비교 39
2) 연결재무제표의 종류 39
3) 연결재무제표의 접근방식 40
4) 연결재무제표의 작성 비교 42

제IV장 중․한 국제회계기준의 도입 45
제1절 국제회계기준에 대한 이해 45
1) 국제회계기준 (IFRS)도입의 필요성 46
2) 국제회계기준 도입상의 어려운 문제점 46
제2절 중․한의 국제회계기준(IFRS)의 도입현황 47
1) 중국의 IFRS 도입현황 47
2) 한국의 IFRS 도입현황 48
제3절 중․한․국제회계기준의 차이점 50

제V장 결론 53

참고문헌 56

Abstract 58

중국회계기준의 발전사 60
부록 2> 중국 기업회계기준2006 61
중국 재무제표 양식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宋海榮. (2009). 中國과 韓國 企業會計基準 比較 研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Accoun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