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詩經 ] 助詞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Postpositions in the Book of Songs
Abstract
󰡔詩經󰡕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 그 속에는 지금으로부터 2천 5백 여 년에서 3천 년 전의 거의 500년 동안 중국에서 불리어진 민간의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사대부들의 詩歌 및 신에게 제사 지낼 때 부르던 頌歌들이 실려 있다.
󰡔詩經󰡕??은 經典이기 이전에 詩歌이며, 민중의 노래이므로 허사의 어법의미를 통하여 시어의 감정과 느낌을 이해하는 것은 실사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詩經󰡕의 조사를 크게 語法과 語音 및 조사의 發生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어법 부분에서는 용례를 통해 조사의 용법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고, 어음 부분에서는 각 조사의 어음 간에 어떤 어음적 특징이 있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詩經󰡕 조사의 발생에 있어, 의미를 가진 실사에서 조사가 되기까지 어떠한 詞義 변화의 기제가 작용한 것인지 살펴보았다.
어법부분에서 󰡔詩經󰡕의 조사를 살펴보면 각각 구조조사, 어기조사, 보음조사로 구분할 수 있다.
구조조사는 그 글자가 다른 조사에 비해서 많지 않지만 같은 기능을 하는 조사들끼리는 어음적 공통성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어법 역할이 같은 구조조사끼리는 聲母나 韻部가 같거나 비슷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어기조사는 크게 두 가지 성질로 분류할 수 있는데, 단어와 관계된 경우와 전체 문장의 어기에 관계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단어의 어기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대부분 文中이나 文頭에 나타난다. 이러한 조사들은 조사로 활용되기 이전의 실사 의미와 관계된 것들이 많으며, 다른 실사의 앞이나 뒤에 놓여 그 실사 의미를 강화하는데, 文頭보다 文中에 훨씬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문장 전체의 어기와 관련이 있는 경우는 대부분 文末에 놓이며 일정한 어기를 나타내기도 하고, 문맥이나 어조를 통해 이미 주어진 어기를 강화하거나, 어기조사가 가지는 고유의 어기색채를 더하기도 한다.
보음조사는 다른 조사와 비하여 그 글자가 가장 많으며, 다른 조사에 비하여 入聲韻이 더 많이 나타나는 편인데, 이러한 入聲韻이 있는 조사는 '亦', '逝', '遹', '式', '越', '抑', '曰'과 같은 文頭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入聲이 문장의 가장 처음에 오게 되면 語音이 두드러지므로, 듣는 사람의 주목을 끄는 효과가 있다.
󰡔詩經󰡕 조사의 어음 방면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을 聲母면에서 먼저 살펴보면 聲母는 舌面音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다음으로 牙音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전체 助詞 語音의 61.1%에 달하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韻部면에서 韻部는 주요모음으로 ∕-a-∕, ∕-ə-∕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이는 전체의 79%에 해당한다. ∕-a-∕는 구강의 앞쪽에서 혀의 위치는 낮게 발음되며, ∕-ə-∕는 구강의 중간에 위치하는 모음으로 발음하기가 매우 쉽다. 이렇게 助詞의 주요모음이 ∕-a-∕, ∕-ə-∕에 집중되는 것은 결국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쉽게 발음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음성적 선택이라 할 수 있다.
陰陽入 三聲을 보면 음성운이 많이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모음으로 끝나는 開音節이기 때문에, 노래가사의 連音에 적합해서일 것이다.
시경 조사와 압운의 관계를 보면, 조사 자체가 압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조사 앞의 글자가 압운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보음조사가 文末에 한 번 나타날 때는 모두 직접 압운자가 되고 있다.
󰡔詩經󰡕의 助詞의 發生과 관계 되는 것은 크게 소리와 의미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의미와 관계 되는 경우는 각각 代詞, 動詞, 形容詞에서 인신된 경우인데, 여기서의 인신은 조사에 어느 정도의 실사의미가 남아 있어서 앞이나 뒤의 다른 실사 어기를 강화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조사로는 '其', '斯', '是', '之', '于', '來', '有', '而', '若', '如', '然' 등 11개가 있다.
전체 71개 조사에서 이렇게 인신된 조사 11개를 제외한 나머지 60개 조사는 실사의미와 어떤 관련도 없이, 語音과 관계되어 假借된 조사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詩經󰡕 대부분의 조사가 語音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Author(s)
임수진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583
Alternative Author(s)
Im, Su-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Advisor
안재철
Table Of Contents
Ⅰ. 緖論 1
1. 연구 동기 및 목적 1
2. 기존의 硏究 및 본고의 硏究 方向 4
3. 助詞의 개념 정의 및 用語의 定立 12

Ⅱ. 󰡔詩經󰡕 助詞의 語法 18
1. 構造助詞 22
1) 名詞句 構成 22
2) 修飾句 構成 23

2. 語氣助詞 24
1) 文末에 놓이는 경우 26
2) 文中에 놓이는 경우 34
3) 文頭에 놓이는 경우 45

3. 補音助詞 47
1) 文頭에 놓이는 경우 49
2) 文中에 놓이는 경우53
3) 文末에 놓이는 경우 58

Ⅲ. 󰡔詩經󰡕 助詞의 語音 61
1. 上古音 分析 64
1) 構造助詞 65
2) 語氣助詞 65
3) 補音助詞 68

2. 語音 特徵 70
1) 聲母에서의 特徵 71
2) 韻部에서의 特徵 72

3. 押韻 特徵 73
1) 助詞 앞의 글자가 押韻되는 경우 75
2) 助詞가 직접 押韻되는 경우 79

Ⅳ. 󰡔詩經󰡕 助詞의 發生 81
1. 引伸된 경우 84
1) 代詞에서 온 경우86
2) 動詞에서 온 경우89
3) 形容詞에서 온 경우92

2. 假借된 경우 95
1) 雙聲이 되는 경우 96
2) 疊韻이 되는 경우 110
3) 기타 129

Ⅴ. 結論 135

參考文獻 13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임수진. (2011). [詩經 ] 助詞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