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주택임차인 보호제도와 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rotection System for Residential Lessee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It
Abstract
It would be difficult at the present moment to predict exactly what problems may arise in the future. However, there should be efforts to find solutions for problems related to regulation of public order so that the risk of causing unreasonable consequences can be minimized. Since Housing Lease System is something that is being newly developed, a thorough examination of past problems can lead to a future Housing Lease System that is more rational and accords with substantial justice. In using of others▽ real estate, it is actually impossible for a tenant to make a contract with a landlord in equal status. And even after the contract, a tenant▽s right of lease was still in unstable condition, which leaded to raise the problem of tenant protection. So it was definitely necessary to develop the protection measure for the problem. Therefore,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as enacted on Mar. 5, 1981, to protect the housing tenant▽s the basic right to live and the stability of housing life and started to provide the protection for tenants in social political prospect. In modern society, an aspect of the national housing life often changes depending on the change of social affairs. So,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as enacted responding to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since then, it has been improved many problems presented by amending twelve times. However, there are still lots of things left to be desired. The house lease system has been generated and evolved into a peculiar law that can not be found in the example of foreign practices or legislations.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stable residing lives for commonality, and has the feature of special law and social law from the viewpoint of the civil law. The Ministry of Justice is trying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plans that can effectively secure the rapid recovery of security as part of plans to settle this social dispute?CEnactment Proposal for the Introduction of Security Insurance System for the Returning of the Deposit Money and Improvement of Civil Law System issued by Office of Legal Counsel within the Ministry of Justice. I explained about the main contents of Housing Lease System and dealt with the important contents of Housing Lease System and suggested especiall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opposition factor, Lease registration command system and Camouflage Lessee in Housing Lease System.
Author(s)
오미진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054
Alternative Author(s)
Oh, Mi-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행정대학원 법학과
Advisor
김성욱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2


제2장 주택임차인 보호와 관련한 비교법적 고찰 3

제1절 영국의 주택임대차 3

1. 적용범위 3
2. 대항력 3
3. 존속기간 4
4. 차임규제 6

제2절 독일의 주택임대차 7

1. 적용범위 7
2. 대항력 8
3. 존속기간 8
4. 차임규제 10

제3절 일본의 주택임대차 12

1. 적용범위 12
2. 대항력 12
3. 존속기간 13
4. 차임규제 16

제4절 각국 법제의 비교 검토 18

1. 적용범위 18
2. 대항력 18
3. 존속기간 19
4. 차임규제 20


제3장 현행 주택임차인 보호제도의 규율모습 21

제1절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범위 21

1.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물적 적용대상 21
(1) 주거용 건물 21
(2) 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 22
(3) 겸용주택 23
(4) 판례의 태도 23

2.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인적 적용대상 25
(1) 임대인의 자격 25
(2) 임차인의 자격 27

제2절 주택임차인의 대항력 28

1. 대항력의 의의 28
2. 대항력의 취득요건 28
(1) 주택의 인도 29
(2) 임차인의 주민등록 31
3. 대항력 발생시기 33
(1) 주민등록법상의 전입시기 33
(2) 전입신고의 효력발생시기 34
(3) 확정일자에 의한 우선변제권발생시기 35
4. 대항력의 범위 36
(1) 대항력 있는 임차인의 경우 36
(2) 중간임차인의 경우 38
(3) 대항력의 유지 여부 40

제3절 존속기간 41

1. 존속기간의 의의 41
2. 민법상 존속기간보장 42
(1) 임대차기간을 약정하는 경우 42
(2) 임대차 계약의 존속기간을 약정하지 않은 경우 45
3.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존속기간보장 45
(1) 최단존속기간의 보장 45
(2) 법정갱신 46
(3) 보증금 미반환 계약존속(법정존속기간) 48

제4절 보증금 보호를 위한 우선변제권 48

1. 확정일자 임차인의 우선변제권 48
(1) 의의 48
(2) 우선변제권의 성립요건 49
2. 소액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 51
(1) 의의 51
(2) 소액임차인의 보증금 범위와 기준 52
(3) 최우선변제권의 요건 53
1) 소액임차인에 해당할 것 53
2) 대항요건을 구비하고 존속할 것 53
3) 임차주택이 경매 또는 체납처분에 의하여 매각되었을 것 53
4) 배당요구 또는 우선권행사의 신고를 하였을 것 54
(4) 소액보증금의 배당순위 54
1) 일반채권자와의 관계 54
2) 조세채권과의 관계 55
3) 임금채권 등과의 관계 55
4) 재산형, 과태료 채권과의 관계 56
5) 기타 공과금채권자와의 관계 56
6) 담보권자와의 관계 56

제5절 임차권등기명령제도 57

1. 입법취지 57
2. 임차권등기명령의 요건 58
(1) 임대차의 종료 58
(2)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한 경우일 것 60
(3) 신청권자 60
(4) 피신청권자 62
(5) 임차주택 62

3. 임차권등기명령의 효과 64
(1)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의 취득 64
(2)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의 유지 65
(3) 소액보증금의 최우선변제권 배제 65
(4) 임차권등기와 배당요구 66


제4장 주택임차인 보호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67

제1절 적용범위 제한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67

1. 물적 적용대상 67
(1) 문제점 67
(2) 개선방향 68
2. 인적 적용대상 69
(1) 문제점 69
(2) 개선방향 69

제2절 존속기간 및 차임과 관련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69

1. 임대차 계약갱신청구권 70
(1) 문제점 70
(2) 개선방향 70
2. 차임규제 71
(1) 문제점 71
(2) 개선방향 72

제3절 주민등록의 요건과 대항력의 발생시기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 72

1. 주민등록 요건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72
(1) 문제점 73
(2) 개선방향 74
2. 대항력의 발생시기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 75
(1) 문제점 75
(2) 개선방향 75

제4절 주택임차인의 우선변제권과 관련한 문제점과 개선방향 76

1. 문제점 76
2. 개선방향 77

제5절 임차권등기명령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78

1. 임차권 등기명령제도에 대한 문제점 78
(1) 재임대를 통한 보증금 마련 기회의 차단 78
(2) 적용대상 주택의 범위 한정 79
(3) 여유자금이 있는 임차인만 보호 79
(4) 임차권등기 후의 소액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 배제 79

2. 개선방향 80

제5장 결 론 83

참고문헌 85
ABSTRACT 9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오미진. (2012). 주택임차인 보호제도와 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 Law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