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자동선과공정에서 선과한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 변화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선과장에서 운영하는 비파괴자동선과기에서 선과 공정 중 물 세척 또는 피막제 처리하여 건조한 후 선과한 감귤을 10℃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호흡량을 확인하기 위해 과실 내 CO2 함량을 분석한 결과, 선과하지 않은 감귤의 경우 초기 32.6 ㎖/㎏·h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저장 40일에는 16.8 ㎖/㎏·h 까지 낮아졌으며, 물 세척 건조군과 피막제 처리 건조군에서는 초기 각각 42.1 ㎖/㎏·h과 47.2 ㎖/㎏·h에서 저장 40일이 경과하면서 각각 21.9 ㎖/㎏·h과 20.6 ㎖/㎏·h 까지 감소하였다. 저장 40일 동안 물 세척 건조군과 피막제 처리 건조군의 CO2 함량은 선과하지 않은 감귤보다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산 함량은 물 세척 건조군과 피막제 처리 건조군이 초기 각각 0.86%와 0.86%에서 저장 40일 이후 각각 0.58%와 0.60%까지 크게 감소하였다. 부패율은 물 세척 건조군과 피막제 처리 건조군에서 저장 40일 후에 각각 21%와 24%로 선과하지 않은 감귤보다 약 3배 높게 나타났다. 저장 30일 후에 감귤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호흡량과 CO2 발생량이 높았던 물 세척 건조군과 피막제 처리 건조군은 선과하지 않은 과실에 비하여 단맛과 신맛 정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이취의 발생 정도도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감귤의 자동 선과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외부 충격과 건조 처리는 과실의 품온을 상승시켜 유통되는 감귤의 내·외부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quality changes of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treated by washing or coating agent with the dry treatment during storage at 10℃. After storage for 40 days, the internal CO2 content of non-sorted fruits(NSF) was decreased from 32.6 ㎖/㎏·h to 16.8 ㎖/㎏·h. In case of fruits treated by washing and drying(FWD), the internal CO2 content was changed from 42.1 ㎖/㎏·h to 21.9 ㎖/㎏·h during storage of 40 days. Also, it was decreased from 47.2 ㎖/㎏·h to 20.6 ㎖/㎏·h on fruits treated by coating agent and drying(FCD). In addition, the internal CO2 content of NSF was consistently kept lower than one of FWD and FCD groups during storage. And FWD and FCD groups were 0.86% evenly in total titratable acidity(TA) at the beginning of storage, but TA of FWD and FCD groups were steadily decreased to 0.58% and 0.60% respectively after storage of 40 days. Furthermore, the decay rate of FWD and FCD groups were 21% and 24% respectively after storage of 40 days. These groups were higher 3 times than NSF group. In sensory evaluation after storage of 30 days, FWD and FCD groups, that were generated more internal CO2, were evaluated lower scores than NSF group at sweet and sour attributes. And off-flavor of FWD and FCD groups were revealed more stronger than one of NSF group. Therefore, the dry treatment of automatic fruit sorting process had the negative effects on postharvest quality due to increasing fruit's internal temperature that accelerates the respiration rate of Satsuma mandarin.
Author(s)
박경진
Issued Date
2014
Awarded Date
2014.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620
Alternative Author(s)
Park, Kyung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Advisor
任 尙 彬
Table Of Contents
SUMMARY 1
Ⅰ. 서 론 2
Ⅱ. 재료 및 방법 6
1. 재료 6
2. 실험방법 7
1) 과실 내부 CO2 측정 7
2) 가용성고형물 함량 및 총산함량 7
3) 유리당 및 유기산 함량 8
4) 과실 경도 측정 9
5) 감모율 9
6) 부패율 9
7) 껍질 두께 9
8) 관능평가 10
9) 통계분석 10
Ⅲ. 결과 및 고찰 11
1. 과실 내부 CO2 측정 11
2. 가용성고형물 함량 및 총산함량 13
3. 저장 기간별 당산비 변화 16
4. 유리당 및 유기산 함량 변화 18
5. 과실 경도 20
6. 감모율 22
7. 부패율 24
8. 과피 두께 26
9. 관능평가 28
Ⅳ. 요 약 30
Ⅴ. 참고문헌 3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박경진. (2014). 자동선과공정에서 선과한 온주밀감의 저장 중 품질 변화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