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스포츠강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및 직무탈진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elationship among Role Stress, Stress Coping and Job Burnout of Sport Instructors in Jeju Island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강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인과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하여 J도에 근무 중인 스포츠강사 197명을 대상으로 역할스트레스 질문지, 스트레
스대처방식 질문지, 직무탈진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과 Amos 18.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주요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분
석한 결과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집단 경험하는 역할스트레스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대처는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탈진은 여성 집단과 초
등학교 스포츠강사가 경험하는 직무탈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스트레스는 스트
레스대처에 정(+)의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스트레스는 직무탈진에 정(+)
의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대처는 직무탈진에 부분적으로 부(-)의 직
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극적 대처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쳤을 뿐,
소극적 대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역할스트레스
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는 적극적 대처를 경유하여 간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강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
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를 통해서만 직무탈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소극적 대처보다 적극적
대처를 사용하여 탈진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stress and
the stress coping method of sports instructors.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of role stress, stress coping method, and job burnout which were distributed to
197 sports instructors working in Jeju province. On the collected dat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18.0. The major results of the analysis obtained
are as follow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levels of role stress experienced by the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 group were high, and more stress coping methods were used by the
high age group. Also, job burnout experienced by the female group and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were high. Second, role stress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stress coping.
Third, role stress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job burnout. Fourth, stress coping had partially
negative direct effects on job burnout and that only positive cop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and passive coping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stress and the job burnout, stress coping had negative indirect
effects via positive cop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stress and the
job burnout of sports instructors, job burnout was reduced only through active coping among
the stress coping methods, implying that burnout can be mitigated by active coping rather than
passive coping.
Author(s)
곽도규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56
Alternative Author(s)
Gwak, Do gyu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모형 4
4. 연구의 가설 5
5.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스포츠강사 7
1) 스포츠강사제도의 도입배경과 개념 7
2) 스포츠강사의 역할스트레스 7
2. 역할스트레스 9
1) 스트레스의 개념 9
2) 역할스트레스의 개념 9
3. 스트레스대처방식 13
4. 직무탈진 15
5. 선행연구 고찰 17
1)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 17
2)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 19
3)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직무탈진의 관계 20
4)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및 직무탈진의 관계 21
Ⅲ. 연구 방법 23
1. 연구 대상 23
2. 측정 도구 24
3. 연구 절차 30
4. 자료 분석 30
Ⅳ. 연구 결과 32
1. 스포츠강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및 직무탈진의 차이 32
1) 성별에 따른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및 직무탈진의 차이 32
2) 연령에 따른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및 직무탈진의 차이 33
3) 경력에 따른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및 직무탈진의 차이 35
4) 학교급간에 따른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및 직무탈진의 차이 37
2.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및 직무탈진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 38
3.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의 매개효과 40
1)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의 다중매개효과 40
2)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간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의 단순매개효과 42
3)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간의 관계에서 소극적 대처의 단순매개효과 43
Ⅴ. 논의 45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및 직무탈진의 차이 45
2. 역할스트레스가 스트레스대처에 미치는 영향 46
3. 역할스트레스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47
4. 스트레스대처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48
5.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의 매개효과 49
Ⅵ. 결론 51
참고문헌 52
61
부록 : 연구의 설문지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곽도규. (2015). 스포츠강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및 직무탈진의 관계
Appears in Collections:
Medical Science > (The)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