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리더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Leader's Coaching Behavior 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rment in an Organization
Abstract
최근 급변하는 경영환경의 변화는 기업조직과 구성원에게 내외적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른 인재의 능력은 조직의 지속성장과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현대의 조직에서는 전문인재를 보유하기 위해 전문지식을 갖춘 인재들이 조직에 몰입하게 할수 있도록 하여 직무만족도을 높여 조직에 남아 있게 하기 위한 적절한 리더의 코칭행동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리더십 유형 중에서도 리더의 코칭을 통한 리더십은 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조직구성의 역량개발 및 향상을 위한 학습지원의 역할 또한 코칭이 포함하기도 하면서 이러한 리더의 코칭 역할 수행은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생명보험회사 리더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의정부시 H생명보험회사를 대상으로 3개 거점을 중심으로 총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자료 분석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들의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보다는 직무몰입도를 더 중시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몰입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분명한 목표가 제시되어야 하고 자신이 수행한 업무 결과를 즉시 알 수 있어야 하며 도전과 능력이 균형이 이루어야 한다(Csikszentmihalyi, 2003). 따라서 구성원의 직무몰입을 높이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리더가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고 도전적인 과제를 적절하게 제시하고 권한을 부여해야 하며 수행 결과에 대하여 정확하고 빠른 피드백이 뒤따라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코칭행동 하위요인 중 방향제시가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통하여 H보험회사 리더의 방향제시 기반 코칭활동은 구성원의 몰입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만족을 느낄 수 있고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수 있는 요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방향 제시는 조직 구성원의 현업 업무에 관심을 갖고 구성원이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비전을 갖고 나아갈 수 있도록 방향을 이끌어 주는 것이다. H보험회사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명확한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여 목표와 비전을 가지고 업무에 임할 수 있게 이끌어 줄 수 있는 리더가 되어야 한다.
Nowadays,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requires the organizations and the members to respond promptly to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Accordingly, the ability of the individuals has emerged as the critical element for the growth of the organization and its competitiveness. Therefore, today's organizations need leader's appropriate coaching to keep high potential members in their organizations by engaging individuals with expertise and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embers to remain in the organizations.
Among various types of leadership, the leadership of coaching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mean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s. The leader's coaching also includes a role of learning support in developing abilities of the individuals and this has shown a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work engagement of the organization members in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der's coaching on job satisfaction and work engagement of the organization members in H life insurance compan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02 participants in three different branches of H life insurance compan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v. focusing 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emphasis on the work engagement than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members was required. For more active engagement, a specific business target and prompt outcome of each individual's work needed to be presented. In addition, a balance between the members' challenges and their abilities was also required (Csikszentmihalyi, 2003).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leaders to acknowledge the ability of each member exactly and suggest appropriate challenging tasks. Moreover, leaders also need to provide fast and accurate feedback on the results of the members' work.
Second, the leader's guidance was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work engagement of the organization members. So, the leader's coaching of H life insurance company resulted in increasing the active engagement of their members. For this reason, the coaching of guidance can be used as a critical element in improving the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 and increasing the members' satisfaction while they work. A leader's successful guidance is to pay attention to the members' progress, help them to set appropriate target and proceed with advanced vision. Thus, the leaders in H life insurance company are also required to present specific business target to their members and lead them to work with advanced vision.
Author(s)
장정혁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11
Alternative Author(s)
Jang, Jeong Hyeok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3
3. 연구의 제한점 3
4.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5
1. 코칭행동의 개념과 구성요인 5
2. 직무만족 15
3. 직무몰입 25
4. 코칭과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간의 관계 32

Ⅲ. 연구방법 35
1. 연구 대상 35
2. 연구 도구 36
3. 자료 분석 3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9
1. 주요변인 기술통계 39
2. 연구변인 간 상관관계 39
3. 리더의 코칭행동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41

Ⅴ. 결론 및 제언 47
1. 요약 및 논의 47
2. 결론 48
3. 제언 49

참고문헌 51

ABSTRACT 56

부록 설문지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장정혁. (2016). 리더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