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 Lev.)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Abstract
제주지역에서 자생하는 황칠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method)으로 측정한 황칠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민감도는 시험 미생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농도인 5 mg/mL에서 S. aureus KCTC 1916가 유일한 생육 저해환(6.7 mm)을 보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ni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실험에서는 균주 중 B. cereus KACC 12672가 가장 낮은 농도인 2.5 mg/mL에서 생육이 저해되었으며, S. aureus KCTC 1916은 3 mg/mL, S. aureus KCTC 1621은 4 mg/mL, S. mutans KACC 16833는 5 mg/mL, L. monocytogenes KCTC 13064는 7.5 mg/mL, L. monocytogenes KCTC 3710는 10 mg/mL의 MIC를 확인하였다. 또한 E. faecalis KCTC 3206의 MIC는 15 mg/mL로 실험 대상 균주 중 가장 높은 수치의 MIC를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ni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한 추출물의 최소사멸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실험에서는 실험 균주 B. cereus KACC 12672는 MBC(MIC)는 5(2.5) mg/mL, 다음으로 S. aureus KCTC 1621과 KCTC 1916이 각각 6(3)과 8(4) mg/mL 그리고 S. mutans KACC 16833이 10(5) mg/mL으로 확인되었다. 황칠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 1, 0.5 그리고 0.1 mg/mL에서 각각 89.8%, 76.4%, 44.7% 그리고 19.1%로 측정되었으며, 농도 감소에 따라 그 활성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추출물의 항균활성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한 BHA는 추출물과 같은 농도인 5, 1, 0.5 그리고 0.1 mg/mL에서 각각 92.6, 92.5, 90 그리고 49%로 확인되었으며, 0.1%에서만 활성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황칠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천연 보존제와 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from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Of the fourteen strains of twelve species of microorganisms tested, the extract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n gram-positive bacteria of six species, but not against five gram-negative bacteria and a yeast strain. The diameter of the growth-inhibition zone by disc diffusion method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strongest growth inhibition was observed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 at 5 mg/ml.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extract was between 2.5 mg/ml and 15 mg/ml, where the lowest concentration was against Bacillus cereus KACC 12672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KCTC 3206.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values defined as being ≧ 99.9% reduction in viable cells against the tested strains were higher than the MIC values. Time killing
curves using the optimum MIC were drawn on seven trains for 48 hr. Although the growth of B. cereus KACC 12672 was detected after 12 hr's incubation, no significant growth was observed in the other strains during incubation for 48 hr.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of the ethanol leaf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f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can be utilized as a natural preservative and antioxidant.
Author(s)
이수경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972
Alternative Author(s)
Sugyeong L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식품공학과
Advisor
박은진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1. 서론 2
2. 재료 및 방법
2.1. 황칠나무 잎 추출 및 보관 5
2.2. 사용균주 및 배양조건 5
2.3. 항균활성 8
2.4. 최소저해농도 8
2.5. 최소사멸농도 8
2.6. 생육저해 효과 9
2.7. 항산화 활성 9
2.8. 통계처리 10
3. 결과 및 고찰
3.1. 항균활성 11
3.2.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 13
3.3. 생육저해 효과 15
3.4. 항산화 효과 16
4. 결론 22
국문요약 25
참고문헌 2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이수경. (2017).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 Lev.)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