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Habeeb의 협상력과 WINSET 틀을 활용한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입지 선정 과정의 협상론적 분석 : 협상 당사자와 이해 당사자들의 협상 행위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ypical conflicts and negotiation processe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of Jeju-do arising from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possible location of the Jeju Environmental Resources Recycling Center in Dongbok-ri,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analyzed the conflict-to-agreement process with a negotiation theory. Through this, I suggested both public and private implications and political proposals to reach a prevention of social loss and social agreement of a constructive manner. First of all, I considered some theories abou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conflicts and concepts as well as some elements of negotiation, then I set Habeeb's negotiation theory, Winset, and ZOPA as a framework for analysis after I had focused on them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I set the selection process of location for the Jeju Environmental Resources Recycling Center, which was the biggest issue in Jeju from 2013 to 2014, as a case study object, and then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ose cases via the mass media, white papers, research reports, statistical data, and various internet data. After this, I analyzed further, focusing on Winset between negotiators and the Zone of Possible Agreement(ZOPA) by apply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which was se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o the case of the Jeju Environmental Resources Recycling Cente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n imbalance of power in the conflict structure over the Jeju Environmental Resources Recycling Center a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d superior negotiating power based on its authority to give approval and project implementation in terms of total power betwee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Dongbok-ri. However, Dongbok-ri could be equal to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by maximizing a serious problem in waste disposal facilitation and administrative burden in order to gain the status of a clean area, 'power by issues', and 'behavioral power' as a location area. Then it could draw negotiations by solving the power balance and seeking change in a basic Winset structure and Zone of Possible Agreement. That is, the negotiations between relatively weak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Dongbok-ri allowed the creation of the Jeju Environmental Resources Recycling Center to proceed on time through eco-friendly construction,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of the village, indirect compensation to the local residents, etc., which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ould concede (support), and draw a win-win result in the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 and job creation by helping regional development with minimal damage to the environment in Dongbok-ri.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early Winset is important to secure negotiating power in the negotiation process, and strengthening negotiating power which parties can accept is necessary to secure the Zone of Possible Agreement. Thus, negotiators need to develop alternatives which c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negotiating process and seeking their mutual benefit. As a result, to change Winset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Winset's chang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ith superior 'total power' of negotiating power plays an important role, and various incentive structures should be offered. On the other hand, residents with inferior negotiating power should develop issues actively to make up for 'total power' by strengthening 'power by issues' and 'behavioral power'. Accordingly, I'm trying to present some measures as follows to prevent social loss by smoothly following the process of conflicts. First, the negotiator who is superior in total power (mostly administrative agency) should provide enough information for the negotiation subject and make positive changes by disclosing the dominant position of power in a transparent manner. This needs to strengthen participatory democracy by disclosing information. Second, negotiators should be fully aware of Winset structure change before negotiation and after, and continue negotiation long enough until they reach the Zone of Possible Agreement. Stakeholders should form an official consultative group which stakeholders, such as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could participate in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and need to negotiate non-disruptively. Third, negotiators with inferior negotiating power (mostly local residents- village associations) need to raise a range of questions through power by issues to increase negotiating power, and secure specific implementation measures through behavioral power. They should acquire various information and maximize their negotiating power by increasing awareness and getting help from experts. Lastly, the administrative agency which conflict-inducing businesses in various regions and businesses involving negotiation, so it needs to work hard to reduce social costs by having a (tentatively named) negotiation management team or by training internal negotiation experts in advance.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입지선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공공과 민간부분의 갈등 및 협상과정을 살펴보고, 갈등에서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협상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과 민간에 대해 사회적 손실 방지와 건설적 방향의 사회적 합의를 이를 수 있는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먼저 공공갈등의 개념 및 특성 등 제이론과 협상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고찰하였으며, 이론적 고찰을 통해 Habeeb의 협상이론과 Winset과 ZOPA를 중점적으로 살펴 본 후 본 연구의 분석의 틀로 설정하게 되었다.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제주지역에서 가장 큰 쟁점이슈였던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의 입지선정 과정을 설정하고, 언론 및 백서, 연구보고서, 통계자료, 각종 인터넷 자료를 통해 해당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이후 이론적 고찰에서 설정된 분석의 틀을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의 사례에 적용하여 협상당사자간의 윈셋(Winset) 및 합의 가능영역(ZOPA)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를 툴러싼 갈등구조 안에서 제주특별자치도와 동복리 사이에서 '총체적 힘'에서 제주특별자치도가 인허가권 및 사업시행을 바탕으로 협상력이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힘의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협상과정에서 동복리는 입지지역으로서 폐기물 처리시설의 난제와 행정의 부담, 청정지역으로서의 위상 '이슈별 힘' 및 '행태적 힘'을 극대화하여 제주특별자치도와 대등한 관계에서 설 수 있었다. 이후 힘의 불균형을 해소하면서 기본 윈셋구조 및 합의 가능영역의 변화를 꾀함으로써 협상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즉, 상대적약자인 제주특별자치도와 동복리의 협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양보(지원)할 수 있는 친환경 건설, 마을발전계획 수립, 주민 간접보상 등을 통해 적기에 제주환경자원센터 조성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고, 동복리는 환경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지역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지원과 일자리 창출에 있어 상호 Win-Win의 결과를 도출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협상과정에서 협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초기 윈셋의 구성이 중요하며, 협상가능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이 수용할 수 있는 여러 대안들을 적극적으로 제시하여 윈셋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협상력 강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협상 당사자들은 협상과정의 이해와 상호 이익이 되는 대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윈셋의 변화는 협상력의 '총체적 힘'이 우위에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윈셋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유인구조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반면 협상력이 열세인 지역주민은 '이슈별 힘'과 '행태적 힘'을 강화하여 '총체적 힘'을 보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슈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에 공공과 민간부문의 갈등 및 협상과정을 원활히 진행하여 사회적 손실 방지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총체적 힘에 우위가 있는 협상자는(주로 행정기관) 힘의 우위를 숨기지 말고 투명하게 공개를 하여 협상대상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 긍정적인 변화를 주어야 한다. 이는 정보공개를 통한 참여민주주의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협상당사자들은 협상 전후의 윈셋구조변화를 충분히 인지하고 합의가능영역에 이르기까지 충분히 협상을 지속해야 한다. 최초 계획 수립 시부터 이해 당사자들인 지역주민과 지자체 등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공식적인 협의체를 구성하여 중단없는 협상이 필요하다. 셋째, 협상력이 열위에 있는 협상자는(주로 지역주민, 마을회 등) 협상력 증대를 위해서 이슈별 힘에 의한 다양한 문제제기, 행태적 힘에 의한 구체적 실행방안 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각자의 인식제고 확대 및 전문가의 도움 등으로 협상력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다양한 지역의 갈등유발사업 및 협상이 수반되는 사업을 추진하는 행정기관은 항상 지역주민, 단체 들과 대립하게 될것이므로 사전에 (가칭)협상관리 팀을 두고나 내부 협상전문가를 양성하여 사회적 비용 절감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Author(s)
채종협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673
Alternative Author(s)
Chae, Jong Hyub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일반행정전공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제 2 장 갈등관리와 협상에 대한 이론적 검토 6

제 1 절 갈등과 갈등 관리 6
1. 공공갈등의 개념과 특성 6
2. 공공갈등 관리 요인 7
제 2 절 협상의 개념 및 구성 요소 10
1. 협상의 개념 10
2. 협상의 구성요소 및 협상력 11
3. Habeeb의 협상이론 12
4. Winset과 ZOPA 15
제 3 절 선행연구 고찰 16

제 3 장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정책 실태 26

제 1 절 제주특별자치도 폐기물 처리현황 26
1. 폐기물 발생 요인 26
2. 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시설 27
제 2 절 폐기물 정책의 변화 29
1. 폐기물 관리정책 변혁 29
2. 폐기물관리 체계 및 정책방향 32
3. 폐기물 책무관계의 변화 32
4. 제주 지역의 폐기물 관리방향 33
5. 제주 지역의 폐기물관리 실천목표 34

제 4 장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입지 선정과정 사례분석 36

제 1 절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개요 36
1.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입지 선정 과정 36
제 2 절 협상과정 분석 53
1. 분석의 틀 53
2. Habeeb의 협상력 분석 54
3. WINSET과 ZOPA 분석 64

제 5 장 결론 67

제 1 절 연구의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67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69

【 참고문헌 】 71
【 Abstract 】 75
【 부록 1】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영향지역 주민지원 계획 78
【 부록 2】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입지 추진일지 8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채종협. (2018). Habeeb의 협상력과 WINSET 틀을 활용한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입지 선정 과정의 협상론적 분석 : 협상 당사자와 이해 당사자들의 협상 행위를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