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헨리 제임스의 윤리적 감식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Henry James's Ethical Connoisseurship
Abstract
헨리 제임스는 예술가의 감식안으로 삶을 경험하고 관찰하며 이를 의식의 영역으로 확장하여 예술작품으로 재현함으로써 삶의 도덕적 초상을 그린 작가이다. 제임스의 인물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하는 윤리적 감식안의 상태는 자기 변화에 이르기 위해 깨달음을 거쳐 도달하게 되는 모든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운 장자의 '유'의 단계와 맥을 같이한다.『장자』「내편」에 소개되는 인간과 동물들은 자신을 구속하는 고정된 목표와 경직되고 편협한 사고에서 깨어나 모든 구속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행동하고 반응할 수 있는 상태를 지향한다. 이들이 내부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과정은『미국인』의 크리스토퍼 뉴먼,『여인의 초상』의 이사벨 아처,『대사들』의 루이스 램버트 스트레더가 보여주는 감식안의 발전 단계와 흡사하게 전개된다. 이들의 감식안은 제한적이고 미숙한 시각으로 자신과 세상을 보는 '소지'의 편협한 감식안에서, 자기 자신과 세상에 대한 깨달음에 이르게 되는 '명'의 비판적 감식안, 나아가 어떠한 것에도 구속되지 않는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유'의 윤리적 감식안으로 변화한다. 장자의 '유'는 미셸 푸코가 욕망과 쾌락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윤리적 주체가 되기 위한 선행조건으로 제시한 '자유로운' 상태와 일맥상통한다. 푸코에 의하면 욕망하는 인간은 외부의 구속이나 통제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상태에서 자기 배려와 자기에로의 전도를 거쳐 윤리적 주체로 성장한다. 푸코의 윤리적 주체는 취향과 쾌락을 통제함으로써 자신과의 관계에서 우위를 지킬 수 있으며, 자기 자신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서도 윤리적으로 비난받지 않는 만족감을 주는 '쾌'를 창출하는 주체로서 자신의 삶을 '예술작품'으로 만들어 나간다. 제임스는 자신의 인물들이 타인과 자신에 대한 관찰과 사유의 결과를 푸코가 주장한 쾌락의 윤리를 구현할 수 있는 행동으로 구체화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작품에 윤리성을 고취하며 삶을 예술작품으로 재현한다. 모든 구속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상태인 '유'의 단계에서 뉴먼, 이사벨, 스트레더는 자기 자신을 포함한 모든 대상에게 윤리적 감식안을 적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푸코의 '쾌'를 구체화하는 판단을 한다.『미국인』의 뉴먼은 벨가드가와 충돌하면서 자신이 맹종하던 유럽의 전통과 예술의 정신성이 아니라 양심적으로 성취한 자신의 경제력 즉, 물질성이 '쾌'의 근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뉴먼은 유럽의 정신성을 상징하는 귀족인 벨가드가가 기반으로 하는 물질성인 귀족의 작위와 명예는 양심이 결여되어 통속성을 넘어설 수 없는 것인 반면, 자신이 이루어낸 경제적 성공의 근간은 양심이었음을 인식하고, 양심의 산물로서 자신의 물질성을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벨가드가를 상대로 계획하던 복수를 단념하는 뉴먼의 행동은 양심에 기반을 두는 물질성에 윤리성을 부여하며 윤리적 주체로서 '쾌'를 구현하는 선택이 된다. 『여인의 초상』의 이사벨은 '유'의 상태에서 자신의 결혼생활에 윤리적 감식안을 적용함으로써 인간의 육체성 즉, 인간의 육체적 욕망과 의지를 그녀 자신의 결혼의 윤리성의 범주로 수용한다. 이사벨은 자신이 결혼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오스먼드의 육체성에 그의 예술성과 인생 전반에 대한 감식안과 동등한 가치를 부여했음을 인식하지만, 자신의 결정이 윤리적으로 비난받을 만한 선택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다시 오스먼드에게 돌아가는 것은 이사벨이 오스먼드의 섹슈얼리티를 수용하는 경우에도 푸코가 주장한 '쾌'를 추구할 수 있다는 확신을 반영하는 윤리적 주체로서의 선택이다. 『대사들』의 스트레더는 파리에서의 경험을 통해 물질성과 육체성을 인간 윤리의 영역으로 수용함으로써 독보적인 윤리적 감식안의 발전 양상을 보인다. 파리의 자유로운 분위기는 울렛의 틀에 굳어진 스트레더의 규율적 도덕성의 영역을 통속적인 일상의 삶까지 확장시킨다. 스트레더는 자신과 뉴섬 부인 사이에 존
재하는 물질성, 채드와 마담 비요네 사이에 존재하는 육체성까지 확장된 윤리성의 범주에 수용하며 어떤 비난으로부터도 자유로운 윤리적 가치를 부여한다. 스트레더가 다시 울렛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하는 것은 자신의 주인인 윤리적 주체
로서의 선택이며 푸코가 주장한 '쾌락의 윤리'를 구현하는 것이다. 제임스의 세 인물들이 '유'의 단계에서 윤리적 감식안을 발휘하여 수용하는 인간의 물질성과 육체성은 제임스의 통속성의 범주에 해당되는 자질이다. 제임스의 세 인물들은 윤리적 주체로 성장하면서 자신들의 통속성 즉, 물질성과 육체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고 통속성을 윤리성의 영역으로 수용함으로써 인간의 도덕적 초상을 완성한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ethicality of Henry James's works in the light of Chuang Tzu's 'Yu' and Michel Foucault's ethical subject. In his empirical representation of life as an artwork, Henry James adopts the artist's
connoisseurship and completes the moral portrait of life. The ethical connoisseurship Jamesian protagonists eventually embody in their lives can be interpreted in an association with Chuang Tzu's 'Yu', the state of freedom that can be achieved in a liberal and unrestricted state. Jamesian connoisseurship can also be analysed in relation to Foucault's ethical subject, the level of self-awareness which can be established in a relationship with oneself through care of the self. In "The Inner Chapter" of Chuang Tzu, humans and animals aspire to the state of freedom where they can be free from any constraints and prejudices. The process these characters go through to attain freedom is similar to that of development of Jamesian connoisseurship. Three Jamesian protagonists, Christopher Newman, Isabel Archer, and Lewis Lambert Strether, evolve from
immature and prejudiced connoisseurship of 'SoJi', to critical connoisseurship of 'Myung', and finally to ethical connoisseurship of 'Yu'. In the ideal state of freedom, 'Yu', Jamesian protagonists apply and extend their own connoisseurship to their own self as well as other relevant individuals, which enables them to make decisions that can embody Foucault's pleasure as an ethical subject. In The American, Newman, confronting French aristocrat the Bellegardes, recognizes that the reason for pleasure is his materialistic desire based on his
conscience rather than the spirituality of European tradition and culture which he chases after blindly. He realizes that since the Bellegardes' materialistic desire lacks conscience, it could not overcome and surpass banality. Accepting materialistic desire and will in his own achievement, Newman renounces revenge on the Bellegardes, which is the actual embodiment of Foucault's pleasure as an ethical subject. In The Portrait of a Lady, Isabel, preferring the theoretical reason rather than the concrete one, decides to marry Osmond according to her own theory. With the immature and prejudiced connoisseurship of 'Soji', she distorts and
expands Osmond's physicality into his spirituality such as art and history. Isabel applies the ethical connoisseurship to her marriage and realizes she herself valued Osmond's physicality which was as essential as his artistic and spiritual nature. Eventually Isabel embraces physicality, namely physical desire and physical will, into her ethical category, which materializes Foucault's pleasure. Strether in The Ambassadors is a perfect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connoisseurship into the realm of ethics which includes human materialistic
and physical desire and will. As Mrs. Newsome's ambassador, at first he grants that Woollett's disciplinary morality contrasts with Paris's diversity and freedom. Out of Woollett's disciplinary morality which excludes human sexuality as typical vulgarity, Strether extends his ethical category into Foucault's ethics of pleasure where pleasure-oriented human needs and will for materials and the body are regarded as inescapable and unblemished nature of ethics. Three Jamesian protagonists eventually reach the ethical phases where
materialistic desire and physical will, still understood as two typical factors of human banality, are accepted and exerted in an irreproachable way as the essential ethical nature.
Author(s)
양지영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776
Alternative Author(s)
Yang, Ji 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Advisor
임정명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Ⅰ. 서 론 1
Ⅱ. 장자, 푸코, 제임스의 감식안 18
1. 소지(小知): 편협한 감식안 18
2. 명(明): 비판적 감식안 23
3. 유(遊): 윤리적 감식안 27
Ⅲ.『미국인44
1.『미국인』의 소지: 루브르 회화의 경우 44
2.『미국인』의 명: 오페라『돈 지오반니』의 경우 61
3.『미국인』의 유: 벨가드가의 혼인 연회의 경우 73
Ⅳ.『여인의 초상87
1.『여인의 초상』의 소지: 예술적 심미안과 섹슈얼리티 87
2.『여인의 초상』의 명: 푸코적 관능과 섹슈얼리티 102
3.『여인의 초상』의 유: 푸코적 윤리성과 섹슈얼리티 111
Ⅴ.『대사들127
1.『대사들』의 소지: 규율적 도덕성의 경우 127
2.『대사들』의 명: 랑비네 풍경화의 경우 148
3.『대사들』의 유:『리뷰』지의 경우162
Ⅵ. 결론180
Works Cited 186
Abstract 192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양지영. (2019). 헨리 제임스의 윤리적 감식안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