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자동차 중심 사회에서 걷기의 사회적 의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ocial meaning of Walking in the Car-dependent : An Analysis of the Conditions for Pedestrian Culture in Jeju
Abstract
본 논문은 자동차 중심으로 굳어진 제주지역의 걷기 양상 분석을 토대로 걷기의 사회적 의미를 고찰했다. 이를 위해 '여가보행'과 '이동보행'으로 나누어 제주지역의 걷기 양상을 분석했다. 시대에 따라 걷기의 사회적 의미는 변화되어왔다. 걷기는 인간의 기본적인 활동이 자, 중요한 이동수단이었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걷기의 속 성은 크게 바뀌었다. 자동차의 발명과 '모터리제이션'은 도시의 공간구조과 그 속에 서 살아가는 인간에게서 '걷기'를 앗아갔다. 산업화된 걷기는 소비를 위한 상품으로 변모되었다. 한국 사회는 근대화를 거치며 모터리제이션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제주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제주에서는 1960년대 이후 개발주의 산업화를 거치며 '관광 개발'이 진행됐다. 국가에 의해 제주 섬 곳곳으로 뻗어나간 도로는 지역의 공간구조 를 자동차 중심으로 뒤바꾸어놓았다. 도보여행코스인 제주올레의 전국적인 인기는 여가로서의 걷기 열풍을 확산시켰다. 그러나 이것 역시 자동차 산업의 번영과 뗄 수 없는 현상이었다. '걷기의 섬'으로 알려진 제주의 지역주민들은 지난 10년 간 저조한 걷기실천율을 보이고 있다. 급격 하게 늘어난 자동차는 차를 타지 않는 사람들을 사고 위험으로 몰아넣었고, 열악한 대중교통 체계는 버스보다는 자가용을 이용하는 습관을 굳어지게 만들며 지역주민 들을 걷기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각종 사회문제가 대두되면서 정책 당국에서 걷기 활성화 정책을 고안 했다. 에너지와 교통, 보건 등 각 부처마다 파편적으로 추진되는 정책은 현안을 해 결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이것은 이미 만연해져버린 자동차 중심의 사회에서 정책 당국이 걷기의 본질적 의미를 간과한 결과이다. 걷기의 사회적 의미는 자동차를 몰 고 다니는 특정 집단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공평하게 도시공간을 누리고, 골목과 동네의 이웃들과 마주치고 어울리며 장소감을 발견하거나 되찾을 때에 회복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meaning of walking in Jeju where car-dependent culture are predominant. In order to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for walking in Jeju, this dissertation suggest two type of walking: 'recreation-related' walking, and 'transportation-related walking. The social meaning of walking has changed through history. Walking has been a basic human activity and an important means of mobilit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meaning of walking has drastically changed due to the invention of the steam engine. With the invention of the automobile and the 'motorization' as a result of it, the urban spatial structure had been transformed into unfavorable one for walking, and the human-beings living in motorized cities began to lose their skill of walking. Walking in industrialized urban society has became only a commodity for consumptio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Korea society accepted 'motorization' as natural. Jeju was no exception. Since the 1960s, Jeju has undergone the growth of tourist industry driven by the industrialization based on developmentalism. All over Jeju Island the roads had been built by government, and then it changed the spatial structure into car-dependent society. The nationwide popularity of Jeju Olle, a tourist course for walking, spread the walking culture as leisure. However, unfortunately,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sperity of the automobile industry. In Jeju, known as 'The Island of Walking,' local residents have been least walking people for the past 10 years compared with other provinces. This is due to the condi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 unfavorable for walking. A rapidly growing number of cars is making pedestrians exposed to risk of accidents. The poor public transport system pushes the people to have private cars rather than to use buses. It has put the local people in a vicious cycle that makes it difficult to walk. As a result of this vicious cycle, various social problems emerged. To respond to them, the local authorities devised the policies of motivating the people to walk. In spite of these policies, and, in some sense, because of being fragmented, the policies such as energy, transportation, and health failed to achieve their intended goals. This dissertation would argue that the failure might stem from the narrow scope of the relevant authorities not recognizing the essential meaning of walking in the car-oriented society. Only when being properly understood, the social meaning of walking could paly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our urban structure into more pedestrian friendly. In doing so, we must consider diverse members' different needs of mobility, not confined to car drivers. The society should restore the urban intra-structure for encounter, gathering, and intermingling among the neighbors, which produces a sense of place.
Author(s)
김태연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8913
Alternative Author(s)
Kim, Tae 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사회학과
Advisor
서영표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과 목적 1
2. 기존 연구 검토 3
1) 걷기의 학문적 고찰 4
2) 걷기와 도시의 상관관계 5
3) 제주지역에서의 연구 6
(1) 도보여행관광과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증진 방안 6
(2) 녹색교통의 수단으로써의 보행 7
(3) 안전한 보행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 8
Ⅱ. 걷기의 사회적 의미 변화 9
1. 근대 이전의 변화 9
1) 직립보행, 인류의 첫 발 9
2) 도로의 등장과 보행자 11
3) 낭만적 걷기, 산책 13
4) 통근하는 도시 보행자 14
2. 현대의 걷기 15
1) 모터리제이션 시대의 도래 15
(1) 자동차의 발명 15
(2) 모터리제이션의 가속화 16
(3) 국내의 모터리제이션 17
2) 산업에 포섭된 걷기 19
3) 보행권의 대두 20
(1) 보행권의 대두와 관련 법규 20
(2) 제주지역 보행 조례와 변천 22
Ⅲ. 제주지역 공간구조와 걷기 양상 24
1. 제주지역 도시계획과 공간구조 형성 24
1) 분업으로서의 관광도시 24
2) 공간구조 형성과 모터리제이션 26
2. 제주지역 걷기 양상과 유형 분석 28
1) 제주지역 걷기 유형 분류 28
2) 여가보행 30
3) 이동보행 33
Ⅳ. 제주지역 걷기 활성화 정책의 내용과 한계 37
1. 교통과 보건 관점에서의 정책 37
1) 녹색교통수단과 대중교통 37
2) 높은 비만율 타파를 위한 걷기 38
3) 자동차 중심 사고의 허상 39
2. 문화와 예술의 관점에서의 정책 41
1) 도시 재생과 상권 활성화를 위한 특화거리 41
2) 벽화골목, 벽화마을의 함정 43
3. 걷기 활성화 정책의 방향 전환 44
1) 골목과 동네 그리고 마주침과 어울림 44
2) 걸을 수 있는 도시와 걸어서 좋은 도시 46
Ⅴ. 결론 48
1. 연구 요약 48
2. 연구 과제 49
참고문헌 51
Abstract 5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태연. (2019). 자동차 중심 사회에서 걷기의 사회적 의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Soc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