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자녀의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mpact of maternal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on offspring's mental health and psychiatric disorder
Abstract
아동학대, 아동 방임, 역기능적 가정환경의 경험을 포함하는 부정적 아동기 경험은 성인기 신체질환 및 정신건강에 위험인자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부모의 부정 적 아동기 경험은 자녀의 정신건강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세대간 전이 양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아직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자녀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와 같 은 정신건강문제 및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 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18세 이전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의 빈도 및 자녀의 정신건 강문제와 정신질환의 빈도를 조사하고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어머니의 우울감, 자녀의 정신건강문제,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 및 교차비에 대해 조사하고, 또한 어머니 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어머니의 우울감을 통해 자녀의 정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만 6-18세의 자녀를 둔 463명의 어머니(42.78±5.68세)와 자녀(13.26±3.90세)를 대상으로 18세 이전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을 10개 영역에서 설문하는 부정적 아동기경험척도(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cale)와 벡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자녀의 정신질환 및 정신건강문제를 선별하기 위해서 DSM-Ⅳ 진단 기준에 근거하여 구성된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 (DISC) Predictive Scales (DPS)와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를 조사하였다.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에 따른 DPS에서 선별된 정신질환 및 K-CBCL의 내재화, 외현화 T점수의 차이를 비교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 우울감이 자녀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 및 정신질환에 미치는 위험비를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한 위험비를 가진 부정적 아동기 경험 영역이 어머니의 우울감을 매개로 자녀의 정신질환 이환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개 이상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을 갖고 있는 대상자는 35.42%였으며, 3개 이상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을 경고한 경우가 11.0%였다. DPS를 통해 선별한 자녀의 정신질환 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14.3%),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12.3%), 적대적 반항장애 (11.4%), 사회불안장애(7.3%) 순이었다. 1가지 이상의 정신질환이 선별된 경우를 임상 고위험군으로 정의했을 때 임상 고위험군의 빈도는 전체 자녀의 44.1%였다. 임상고위험 군에 속할수록 어머니의 BDI-II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부정적 아동기 경 험 척도 중 성학대, 정서적 방임, 이혼, 가정폭력, 음주문제를 겪었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또한 어머니가 3개 이상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있는 경우 자녀의 정신질환의 공존이환율이 더 많았고, 내재화 및 외현화의 T 점수가 부정적 아동기 경험 이 없는 대상자의 자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우울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부정적 아동기 경험의 빈도가 유의하게 많았으며(p<0.001), 우울군에 해당하는 대상자 의 자녀는 내재화(p=0.004), 외현화 문제(p=0.002)의 평균 점수와 이환된 자녀의 정 신질환의 평균 수가 2.11(±1.997)개로 우울군에 해당하지 않는 대상자의 자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 중 역기능적 가정환경이 어머 니 우울감의 유의한 관련요인이었으며(OR=2.995, 95% CI=1.570-5.711, p<0.001), 개별 항목 중 음주문제(OR=4.235, 95% CI=2.034-8.815, p<0.001)가 있을 경우 어 머니가 우울군에 속할 위험비가 높았다. 어머니의 역기능적 가정환경 경험(OR=2.263, 95% CI=1.406-3.642, p<0.001), 음주문제(OR=2.586, 95% CI=1.354-4.941, p=0.004)는 자녀의 정신질환의 유의한 위험비를 보였으며, 우울감(OR=4.119, 95% CI=2.101-8.077, p<0.001)은 자녀의 정신질환에 유의한 위험비를 보였다. 역기능적 가정환경은 자녀의 정신질환의 수가 많아지는 유의한 총 효과(Effect size=0.515, 95% CI=0.348-0.683), 직접 효과(Effect size=0.339, 95% CI=0.168-0.510), 간접효과 (Effect size=0.176, 95% CI=0.082-0.289)를 보였다. 역기능적 가정환경이 자녀의 정신질환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모형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우울감을 통한 부분 매 개 모형이 유의하였다. 결론: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은 자녀의 정신질환과 내재화 및 외현화와 같은 정신 건강문제에 중요한 관련요인이다. 그 중 18세 이전에 가족의 음주문제를 포함한 역기능 적 가정환경을 경험하는 것은 어머니의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자녀의 정 신질환의 이환이 높아지는 것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역기능적 가정환경은 어머니의 우울감을 매개하여 자녀의 정신질환의 수가 많아지는 것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향후 부정적 아동기 경험의 세대간 전이의 매개 요인 및 기전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Introductio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 including child abuse, child neglect, and household dysfunction are known to be risk factors for adult physical illness and mental health problem. In particular, maternal ACE may negatively affect the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 of their offspring.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maternal ACE on their offspring's psychopathology and psychiatric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maternal ACE and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mental health problems in Jeju Island. Also,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ACE o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offspring‟s mental health problems, psychiatric disorder. And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on the effects of ACE and their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was investigated.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463 mothers (42.78 ± 5.68 years) with children aged 6-18 years of age and their offspring‟s (13.26 ± 3.90 years). Mothers reported on their ACE before age 18 and Beckdepression inventory-II and also completed Diagnostic Predictive Scales (DPS) and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the screening tool for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and mental health problem. Differences betwee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T-scores in K-CBCL and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 screened in DPS according to maternal ACE score were compar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odds ratio of mothers‟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on offspring‟s mental health problem, psychiatric disorder and maternal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was analyzed through path analysis. Results: 35.42% of subjects had at least one ACE, and 11.0% reported three or more ACE. The psychiatric disorder of offspring w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4.3%),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12,3%),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11.4%). When one or more psychiatric disorder was screened from DPS defined as a clinical high risk group, the frequency of clinical high risk group was 44.1% of offspring. In the clinical high risk group, the maternal BDI-II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01), and the frequency of sexual abuse, emotional neglect, divorce, domestic violence, and alcohol problems in ACE item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control group. In addition, if the mother had more than three ACEs, the offspring‟s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ubjects who did not have ACE (p<0.001). Maternal depress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ACE and their offspring‟s internalizing (p=0.004), externalizing scores (p=0.002) and number of psychiatric disorder (p<0.00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Maternal household dysfunction (OR=2.995, 95% CI=1.570-5.711) and alcohol problem experiences (OR=4.235, 95% CI=2.034-8.815, p<0.001) is associated with maternal depression. Maternal household dysfunction (OR=2.263, 95% CI=1.406-3.642, p<0.001) and alcohol problem experiences (OR=2.586, 95% CI=1.354-4.941, p=0.004) is also associated with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Maternal depression (OR=4.119, 95% CI = 2.101-8.077, p<0.001) is associated with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Household dys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total effect (Effect size=0.515, 95% CI=0.348-0.683), direct effects (Effect size=0.339, 95% CI=0.168-0.510) and indirect effects (Effect size=0.176, 95% CI=0.082-0.289) on increasing the number of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In the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household dysfunction affects the number of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rough the maternal depression was significant. Conclusion: Maternal ACE are important factors in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Among ACE items, the mother‟s experience of household dysfunction such as parent‟s alcohol problems before the age of 18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aternal depression and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Maternal ACE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comorbidity of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through mediated by maternal depress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mediators and mechanisms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CE and offspirng‟s psychopathology.
Author(s)
강나리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396
Alternative Author(s)
Kang, Na R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Advisor
곽영숙
Table Of Contents
초록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i
목차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iv
표 목록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vi
그림 목록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ix

I. 서론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1
II. 이론적 배경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4
1. 부정적 아동기 경험과 정신건강ㆍ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4
2. 모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자녀의 정신건강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ㆍ ㆍ ㆍ 5
3.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의 세대간 전이와 어머니의 우울증 ㆍ ㆍ ㆍ ㆍ 6
III. 연구의 목적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8
IV. 연구 방법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9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9
2. 측정 도구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9
3. 자료의 분석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13
V. 연구 결과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15
1. 부정적 아동기 경험, 자녀의 정신건강 문제 및 정신질환 빈도 ㆍ ㆍ ㆍ ㆍ 15
vii


2. 자녀의 정신질환 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 및 우울감 비교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17
3.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과 정신건강 문제와 정신질환 ㆍ ㆍ ㆍ ㆍ ㆍ17
4. 어머니의 우울감과 부정적 아동기 경험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18
5. 어머니의 우울감과 자녀의 정신건강문제와 정신질환 ㆍ ㆍ ㆍ ㆍ ㆍ ㆍ ㆍ19
6.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 항목과 어머니의 우울감 ㆍ ㆍ ㆍ ㆍ ㆍ ㆍ19
7.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 항목이 자녀의 정신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20
8.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 항목이 자녀의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ㆍㆍ 22
9. 어머니의 우울감이 자녀의 정신건강문제와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 ㆍ ㆍ 23
10. 어머니 우울감의 매개효과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24
VI. 고찰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53
1. 연구대상 및 자료에 대한 고찰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53
2.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54
3.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56
VII. 결론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67
참고문헌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68
부록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77
초록(영문)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ㆍ 78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나리. (2020).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자녀의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edicin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