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Vibrio alginolyticus 분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istribution of Vibrio alginolyticus inhabiting the Jeju coast
Abstract
2020년 9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성산, 표선, 한림, 대정을 중심으로제주 연안 해수와 소라의V. alginolyticus 분포변화를 조사하였다. 가검물은 총 360건으로 해수 240건, 소라 120건이었으며 분리된 균에대해 형태 및 생화학적 성상 및 배양성상 등을 이용하여 동정하였으며동정 후 분리된 V. alginolyticus 의 검출률과 인근해안의 이화학적 특성과비교하여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최적배양조건과 항생제 감수성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총 검출률은 전체 가검물 360건중 63건으로 17.5%의검출률을 보였고 해수인 경우 소라 모두 표선지역에서 가장 검출률이높았고 한림지역이 가장 낮은 검출률을 보였다. 표선지역에서 13건(21.7%)으로 가장 많은 분포율을 나타냈으며 한림지역이 8건 (13.3%)으로가장 낮은 분포율을 나타냈다. 소라의 경우 표선지역이 7건 (23.3%)로가장 많은 분포율을 나타냈으며 성산지역과 한림지역이 4건(13.3%)으로가장 낮은 분포율을 보였다.전체 검출률은 표선지역이 20건(22.2%) 가장높았으며 한림지역이 12건(13.3%)으로 가장 낮았다. 해양 환경변화에따른 검출률은 수온이 가장 높은 시기에 가장 높았다. V. alginolyticus의검출률은 인근 해안의 수온 상승률과 비례했으며 수온과 연관성이 높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 4개 지역에서 분리된 균들은공통적으로 Oxytetraxycline, Nalidixic acid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이외에도 Oxolinic acid, Doxycycline, Cprofloxacin 에도 대부분이감수성을 보였다.
Vibrio species are Gram-negative bacteria that are always distributed in seawater, and their appearance tends to increase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s. It is usually infected through contaminated seawater or seafood, and V. alginolyticus infection cases in humans are mainly etiologically associated with skin and ear wound infections such as acute otitis media and celluliti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V. alginolyticus along the coast of Jeju Island and the level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DO, and pH were also investigated, and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of the isolated bacteria was also conducted. In the case of seawater, 13 cases (21.7%) in the Daejeong area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rate, and 8 cases (13.3%) in the Hallim area showed the lowest distribution rate. In the case of shellfish, the Daejeong area showed the largest distribution rate with 7 cases (23.3%), and the Seongsan area and Hallim area showed the lowest distribution rate with 4 cases (13.3%). The overall detection rate was the highest in Daejeong area with 20 cases (22.2%) and the lowest in Hallim area with 12 cases (13.3%). The detection rat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was highest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highest.
Author(s)
최원선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243
Alternative Author(s)
Choi, Won S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명과학과
Advisor
허문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3
2.1 시료 채취 및 대상지역 3
2.2 환경인자, 이화학적 특성 4
2.3 V. alginolyticus 분리, 배양 및 보관 4
2.4 V. alginolyticus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동정 및 배양 성상 6
2.4.1 표준균주 6
2.4.2 TCBS agar 7
2.4.3 Chrom agar 8
2.4.4 그람염색 (Gram staining) 9
2.4.5 Oxidase test 9
2.4.6 Catalase test 9
2.4.7 Sulfide-indole-motility (SIM) 10
2.4.8 Kligler Iron agar (KIA) 11
2.4.9 Metyl-red test 12
2.4.10 Voges-Proskauer test 12
2.4.11 API 20E kit 13
2.5 최적배양조건 (온도, pH, 염도) 15
2.6 항생제 감수성 시험 16
Ⅲ. 결과 및 고찰 18
3.1 분리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18
3.2 샘플링 지점의 환경인자 측정 결과 22
3.3 항생제 감수성 시험 24
3.4 V. alginolyticus의 분리 현황 26
3.4.1 지역별, 검체별 V. alginolyticus 분포 27
3.4.2 지역에 따른 월별 V. alginolyticus 분포 27
3.4.3 지역에 따른 월별 V. alginolyticus 분포 27
Ⅳ. 요약 28
Ⅴ. 참고문헌 29
Ⅵ. 감사의 글 3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최원선. (2021).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Vibrio alginolyticus 분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arine Life Scienc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