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보건의료인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 일중독,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Calling on Life Satisfaction, Workaholism,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Health Care Providers
Abstract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보건의료인을 연구대상으로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 일중독, 직무소진 그리고 이직의도 간에 비선형 관계에 대하여 실증하였다.
코로나 감염병 사태 이전인 2019년 10월부터 같은 해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보건의료인 206명(남성 10명, 여성 196명)을 대상으로 소명의식, 삶의 만족, 일중독,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IBM SPSS 20.0과 SIGMA PLOT 10.0을 이용하여 이차항 회귀분석 및 비선형 그래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 간 선형적 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소명의식과 소명의식 제곱값이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이며 예상했던 바와 다르게 회귀모형의 설명력도 거의 증가하지 않아 가설1은 기각되었다. 둘째, 소명의식과 일중독 간의 선형적 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일중독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선형적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차항 회귀식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J형 관계가 나타났다. 소명의식이 중간수준인 경우 일중독 수준은 점차 감소하다가 소명의식이 과도한 수준인 경우 일중독도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가설 2는 채택 되었다. 셋째, 소명의식과 직무소진 간에 선형적 관계는 유의하지 않아 성립되지 않았으나, 비선형적 관계는 유의한 결과를 보여 소명의식이 낮은 수준보다 중간 수준으로 갈수록 직무소진이 완화되었다가 다시 소명의식이 과도한 수준일 경우 직무소진의 증가 정도가 다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가설 3은 지지 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명의식과 이직의도는 선형관계 일차식과 비선형관계 이차식이 모두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가설 4는 기각 되었다.
연구 결과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보건의료인의 소명의식은 과도한 수준을 넘어서는 경우, 자신의 건강과 개인의 생활 영역을 희생하는 심각한 일중독 증상이 보여지며 직무소진이 되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함에 보건의료인이 요청하지 않더라도 개인의 건강과 생활을 돌보고 재충전 할 수 있도록 의무적 휴식 또는 휴가를 지급하여 일의 영역과 개인의 생활 영역에 균형을 맞춰 줄 필요가 있다. 또한 보건의료인의 중간수준의 소명의식은 어려운 근로환경을 이겨내고 직무소진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보건의료인의 소명의식이 낮아지거나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함양 시킬 필요가 있으나 과도한 수준으로 갈 경우 직무 소진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속 관절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특히, 지금 사회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워라밸 프로그램을 병원조직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workaholism,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general hospitals.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19, which was before the COVID-19 outbreak. The survey measured calling, life satisfaction, workaholism,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206 health care providers (10 males and 196 females).data analysis, quadratic regression analysis and nonlinear grap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20.0 (IBM Corp.) and Sigma Plot 10.0 (Systat Software Inc.).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where the form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atter, which appears to suggest that a higher calling is associated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results on calling and calling squared were insignificant, which wer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showing little increase in the variance explained in the regression model. Therefore, hypothesis 1 was rejected. Second,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workaholism, where the form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atter, suggesting that a higher calling i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workaholism. The results of the quadratic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is on the non-linear relationship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J-type relationship. Hypothesis 2 was accepted since workaholism gradually decreased at moderate levels of calling, whereas workaholism gradually increased at excessive levels of calling. Third,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job burnou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significant. Hypothesis 3 was supported since job burnout gradually decreased as calling increased from low to moderate levels, whereas job burnout gradually increased again at excessive levels of calling. Lastly, both the linear relationship and the non-linear quadratic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turnover intention were insignificant, and hypothesis 4 was rejected. Implications of ou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When health care providers have excessive levels of calling, they manifest severe workaholism at the expense of their health and personal life along with job burnout. Therefore, health care providers need to be provided with mandatory breaks or vacation time for a work-life balance, even when not requested, to ensure that they can take care of and recharge their health and life. Moreover, since health care providers benefit from a moderate level of calling in terms of overcoming difficult working conditions and alleviating job burnout, the calling needs to be continuously encouraged to prevent it from decreasing or vanishing. In contrast, as excessive levels of calling adversely affect job burnout, it would be beneficial to implement an ongoing health care program for health care providers. In particular, the Work and Life Balance program, which is gaining support currently, needs to be implemented actively in hospitals. Finally, the study offers a discussion on the study limitation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Author(s)
장송희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137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771
Alternative Author(s)
Jang, Song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인사·조직전공
Advisor
김정훈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6
1. 소명의식(Calling) 6
1) 소명의식에 대한 개념 6
2) 소명의식의 역사 10
3) 소명의식의 유사 개념 14
4) 소명 의식에 대한 선행연구 15
2. 삶의 만족(Life Satisfaction) 16
1) 삶의 만족에 대한 개념 16
2) 삶의 만족의 유사 개념 18
3)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4) 삶에 만족에 대한 선행연구 21
3. 일중독(Workaholism) 22
1) 일중독에 대한 개념 22
2) 일중독의 2차원적 개념 23
3) 간호사의 일중독에 대한 선행 연구 24
4. 직무소진(Job Burnout) 25
1) 직무소진에 대한 개념 25
2) 소진과 우울증의 구분 27
3)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8
4) 직무 소진이 미치는 영향 31
5) 직무 소진에 대한 선행 연구 32
5. 이직 의도(Turnover intention) 33
1) 이직의도에 대한 개념 33
2) 이직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34
Ⅲ. 연구 방법 36
1. 연구 문제 36
2. 연구 가설 설정 36
1)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 36
2) 소명의식과 일중독 38
3) 소명의식과 직무소진 40
4) 소명의식과 이직의도 42
2. 연구 모형 43
3. 측정 도구 44
1) 소명 의식 44
2) 삶의 만족 45
3) 일중독 45
4) 직무 소진 46
5) 이직 의도 46
4. 연구 대상 및 범위 47
5. 자료 분석 48
Ⅳ. 연구 결과 49
1.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9
2. 타당성 분석 50
3. 신뢰도 분석 53
4. 연구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54
5. 가설검증 56
1)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 간 관계 분석 56
2) 소명의식과 일중독 간 관계 분석 59
3) 소명의식과 직무소진 간 관계 분석 62
4) 소명의식과 이직의도 간 관계 분석 66
Ⅴ. 결론 69
1.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69
2. 연구의 한계점 72
3. 향후 연구방향 72
설문지 74
참 고 문 헌 7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장송희. (2021). 보건의료인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 일중독,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Business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