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무선줄넘기 운동과 비만치료제 복용이 과체중 여성의 건강체력 및 심혈관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14년에 비만을 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규정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질병코드 (E66)를 부여할 정도로 심각한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비만으로 인해 파생되는 건강상의 문제는 매우 다양하며 특히 성인 여성에 있어서는 제2형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및 동맥경화 등과 같은 만성질환이 남성에 비해 높아 관심이 배가되고 있다. 특히 성인 여성에 있어 비만은 혈관의 동맥 경직 현상이 두드러지고 시간이 경과되면서 동맥 경화증에 의한 심뇌혈관 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Blacher & Safar, 2005). 우리나라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에 따르면 2019년도 만 30세 이상 여성의 비만 유병률은 27% 정도이며, 연령에 따라 그 유병률이 계속 증가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즉, 체중 증가와 운동량 감소 경향에 따른 비만과 대사증후군 예방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사전연구에 따르면 규칙적이고 장기적인 유산소 운동이 비만 여성의 체성분, 혈중지질, 동맥경화지수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비만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운동방법과 운동강도를 이용하여 체지방 감소에 따른 신체조성의 변화와 심혈관 질관의 위험요소인 혈중 지질 및 콜레스테롤의 감소 및 대사성 증후군의 개선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며(김형묵, 2009; Horowitz, 2001), 규칙적이고 장기적인 유산소성 트레이닝은 체중 및 체지방량 감소를 통한 신체 조성의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Kohrt, Malley, Dalsky and Holloszy, 1992).
이에 본 연구는 8주간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무선줄넘기 운동과 비만 치료제 복용의 단독 또는 혼용으로 사용하였을 때 처지 전 후 건강관련 체력, 신체구성 및 심혈관질환 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제주시 소재 Y 의원 비만 클리닉 회원 중 BMI가 23㎏/㎡이상인 중년여성 중 실험 참여 동의서를 작성한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대상자들은 통제집단 8명, 무선 줄넘기 운동집단 8명, 비만 치료제 복용 집단 8명 및 무선줄넘기 운동과 비만치료제 복용 병행집단 8명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처치 종료 후 통제군과 실험군 모두 건강관련체력, 신체구성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무선 줄넘기 운동이 비만 치료제를 복용하는 과체중 성인 여성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8주 동안 주 3회 1일 60분 동안 최대심박수 40∼70% 강도로 무선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8주간 무선 줄넘기 운동과 비만 치료제 복용에 따라 신체구성 변인에는 집단 간에 차이와 시기 간에 변화가 있었다. 신체구성 성분 중 체중의 경우 네 집단 간에 유의한 교호효과(F = 19.114; p<0.001)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 효과는 체지방량(F = 14.598; p<0.001), 제지방량(F = 11.667; p<0.001) 및 BMI(F = 22.919; p<0.001)에서 나타나 무선줄넘기 운동과 비만 치료제 병행이 의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선줄넘기 운동과 비만 치료제 병행의 효과성 분석 결과 체중, 체지방량, 제지방량 및 BMI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비만 치료제를 복용한 집단이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약제가 지방 산화를 활성화시켜 기초대사량 증진과 체내의 열 발생을 유도하여서라고 추정된다.
둘째, 8주간 무선 줄넘기 운동과 비만 치료제 복용에 따라 건강관련 체력 변인에는 집단 간에 차이와 시기 간에 변화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근력 변인 중 악력의 경우 네 집단 간에 유의한 교호효과(F = 4.036; p<0.05)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 효과는 배근력(F = 4.896; p<0.05), 근지구력(F = 4.176; p<0.05), 유연성(F = 3.517; p<0.05) 및 심폐지구력(F = 7.932; p<0.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무선줄넘기 운동과 비만 치료제 병행이 의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선줄넘기와 비만치료제를 복용을 병행하는 집단에서 악력, 배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및 심폐지구력 등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이유는 약제 복용을 통한 기전 작용과 운동 병행을 통한 신체활동량의 증가가 건강체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8주간 무선 줄넘기 운동과 비만 치료제 복용에 따라 심혈관계 변인에는 집단 간에 차이와 시기 간에 변화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CRP, IL-6, Leptin, TG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TC의 경우 네 집단 간에 유의한 교호효과(F = 4.002; p<0.05)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 효과는 HDL-C(F = 3.589; p<0.05) 및 LDL-C(F = 4.466; p<0.05)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무선줄넘기 운동과 비만 치료제 병행이 어느 정도 의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비만치료제를 복용하는 여성들에게 규칙적인 무선줄넘기 운동의 중요성을 어느정도 입증한 결과로 보이며, 운동이 이들의 건강한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본 연구에서 CRP, IL-6 및 Leptin에 있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이유는 이들 염증지표의 변화를 유도하기엔 무선줄넘기 운동강도나 운동 기간이 다소 부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운동에 의한 염증반응지표의 개선을 위해서는 8주 이상의 더 오랜 기간의 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무선줄넘기 운동은 비만치료제를 복용하는 여성의 신체구성, 건강관련 체력의 향상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비만 치료제를 단독으로 처치하는 것보다 운동과 병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비만 여성들에게 비만 치료제 복용과 무선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의 병행이 비만 치료 향상에 기여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how it affects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body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factors before and after the situation when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jump rope exercise and obesity treatmentin obese women for 8 weeks.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was for 32middle-aged women with a BMI of 23kg/㎡ or more among members of the obesityclinic at Y Clinic in Jeju-si who wrote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Theselected subjects were wirelessly assigned to 8 control groups, 8 wireless jump ropeexercise groups, 8 obesity treatment groups, and 8 wireless jump rope exercise andobesity treatment groups. After treatment,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group analyzed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body composition, and risk factors forcardiovascular disease to verify the effect of wireless jump rope exercise onoverweight adult women taking obesity treatments. The study subjects performed awireless jump rope exercise program with a maximum heart rate of 40-70% for 60minutes per day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and the results concluded asfollows.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changes in body compositionvariables according to wireless jump rope exercise and obesity treatment for 8 weeks.Among the body components, weight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four groups. This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in body fat mass, percent fat, and BMI,and it was analyzed that jump rope exercise and obesity treatment were meaningful.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jump rope exercise and obesity treatment,significant changes were confirmed in weight, body fat mass, percent fat, and BMI,which is estimated to be because the drug activates fatty oxidation while exercising.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changes in health-relatedphysical fitness variables according to wireless jump rope exercise and obesity- 65 -treatment for 8 week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grip strength among musclestrength variable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between the four groups.These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back muscle strength, muscle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indicating jump rope exerciseand obesity treatment. The reason most of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uch asgrip, back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were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throughmedication.Thir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changes in cardiovascularvariables according to wireless jump rope exercise and obesity treatment for 8 weeks.Specifically, CRP, IL-6, Leptin, and TG did not show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utTC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This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inHDL-C and LDL-C, and it was analyzed that jump rope exercise and obesitytreatment parallelism were somewhat significant.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proving to some extent the importance of regularwireless jump rope exercise for women taking obesity treatments, and it is believedthat exercis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healthy lives. On the other hand, thereason for the lack of significant effect on CRP, IL-6 and Leptin in this study isestimated to have been somewhat insufficient in radio jump intensity or exercise periodto induce changes in these inflammatory indicators, thus requiring a longer period of 8weeks or more.From these results, wireless jump rope exercise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effect on improving the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andreduci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women taking obesity treatments alone, provingthat it is more effective to exercise than to treat them alone. Therefore, it can beconcluded that the combination of taking obesity treatments and the wireless jumprope exercise program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obesity treatment for obesewomen.
Author(s)
이동주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592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김영표
Table Of Contents
I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가설 4
4. 연구의 제한점 4
5. 용어의 정리 5
II. 이론적 배경 7
1. 비만 7
2. 건강체력과 운동 9
3. 심혈관 위험인자 11
III. 연구 방법 14
1. 연구 대상 14
2. 연구 설계 14
3. 무선줄넘기 프로그램 16
4. 비만치료제 처치 17
5. 측정 및 방법 18
6. 자료처리 21
Ⅳ. 연구 결과 22
1. 건강체력 중 신체구성의 차이와 변화 22
2. 건강체력의 차이와 변화 30
3. 심혈관 위험인자의 차이와 변화 40
Ⅴ. 논의 54
1. 무선줄넘기 운동과 비만치료제 적용에 따른 건강체력의 변화 54
2. 무선줄넘기 운동과 비만치료제 적용에 따른 심혈관 위험인자의 변화 59
Ⅵ. 결론 63
Abstract 64
참고문헌 66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ines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