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박남수 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Park Nam-soo's Poetry
Abstract
한 시인의 삶은 그 시인의 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기 마련이다. 박남수는 전전의 이북에서도, 전후의 이남에서도 정착하지 못한 채 오로지 시에만 기댈 수밖에 없었다.
박남수는 《문장》의 후예로서 정지용이 추구한 전통적 노선을 계승하면서, 그것을 이미지즘의 정제된 언어로 표현하고자 하는 데서 출발한다. 당초 그가 보여준 근대적 지향은 박용철, 김영랑 등 시문학파로 대표되는 서정시와 길항했다. 《문장》으로 데뷔한 이후 그는 이미지 중심의 절제된 형식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면서 자기만의 고유성을 획득한다.
박남수의 모든 시집에서는 일관되게 이미지즘의 영향이 발견된다. 그의 이미지즘은 중기 시에 이르러 그 정점을 보여준다. 김광균, 김춘수, 김종삼 등이 보여준 존재론적 사유와 친연성을 띠면서도, 박남수는 자신만의 고유한 시 세계를 완성해간다. 그것은 이미지즘에 실존주의를 결합하는 것으로서의 언어적 실험을 경유한 것이었다.
전후시의 분포에서 박남수는 모더니즘 계열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즘에서 출발한 그의 모더니즘은 전후의 난삽한 그것과는 다른 것이며, 실존주의적 색채를 띠면서 그 독자성을 얻는다.
평생 박남수의 존재를 흔든 불안의식은 시대에 기인한 면이 있으며 그것은 후기 시에서 노화와 죽음이라는 테마와 결합하면서 변주된다. 그는 그것을 순환론적 사고로 극복하려고 한다.
이 논문은 박남수의 모든 시집을 통해 그의 시 세계의 특질을 살펴보면서 시의 변모 양상을 밝히고자 했다. 박남수는 대상의 본질을 찾기 위해 이미지에 매달린다. 본질과 현상을 동시에 지니는 대상을 시의 소재로 삼으면서 이미지즘의 시 세계를 끈질기게 추구한 것이다.
박남수의 시 세계는 1시집과 2시집의 초기, 3시집과 4시집과 5시집의 중기, 6시집과 7시집과 8시집의 후기로 그 시기를 나눌 수 있다. 첫 시집 『초롱불』은 일제강점기의 어둠 속에서 여명을 찾으러 떠난다고 하는 일종의 ‘출사표’로서 이해할 수 있다.
전후 시를 형상화한 두 번째 시집 『갈매기 소묘(素描)』는 전쟁으로 말미암은 황폐에 맞서 그 반동으로 오히려 더 순수의 대상을 모색하는 양상을 띤다. 전쟁의 피폐한 현실을 삭제해버려 비현실성마저 띠게 되는 그의 공간 이미지는 순수한 것의 죽음을 진혼(鎭魂)하는 양상을 보인다. 시인은 현실 문제의 근원적 질문으로 비순수의 원인을 인간에게서 찾는다.
박남수는 중기에 이르러 이미지를 도구로 삼아 본질을 추구하는데, 그가 꾸준히 보여준 본질 추구는 순수한 본질을 찾기 위한 과정이다. 그는 경계를 통해 언어 세계의 본질을 발견하는 시적 자세를 취한다. 즉, 박남수의 중기 시는 시인에게 처한 상황의 원인을 찾는 과정에서 고독한 세계를 만나게 되고 그 고독의 근원을 탐구하면서 존재론적 사고를 나타내는 모습을 보인다. 그의 시 세계에서 존재론적 이미지즘의 완성을 중기 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세 번째 시집 『신(神)의 쓰레기』에 이르러 그 정점을 보여준다. 『신(神)의 쓰레기』에 실린 「새」 연작시는 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데, “새”는 그의 모든 시집에 걸쳐 이미지화되어 있다. 박남수가 지속적으로 형상화를 꾀한 새는 순수를 상징한다. 그리고 다섯 번째 시집 『사슴의 관(冠)』에서는 실존 의식이 강화되면서 더욱 완숙미가 더해진다.
박남수는 ‘새’를 모티프로 한 시를 많이 썼다. 그가 형상화하려고 한 것은 단순히 하늘을 나는 새가 아닌 ‘본질로서의 새’다. 그가 새를 통해 하고자 한 것은 결국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였다. 새는 박남수의 시적 지향의 오브제로 일관되게 순수 추구의 이미지로 사용된다.
월남 이후 서울이라는 공간에서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시인은 결국 이민을 선택한다. 그리고 아내마저 세상을 떠나게 된다. 『서쪽, 그 실은 동쪽』, 『그리고 그 이후(以後), 『소로(小路)』에는 실향 의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그는 말년에 시간의 유한성과 상실감을 그 시적 테마로 삼는다. 결국 박남수는 마지막 시집에서 회귀 의식을 보이면서 순환성의 모습으로 귀결한다. | This is a thesis analysing Park Nam-soo's poetry collections according to the period of creation to find out his poetic world and look into where the poet's aiming at. Park Nam-soo, unable to settle in any one place, lived a life of wandering intertwined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in which he lived. Such a biographical fact reflected as an aspect of marginal person in his poetry. He tried to find novelty through linguistic experiments on real-world problems. In the course of it, the poetic achievement of existentialism can be confirmed.
Park Nam-soo was born in Pyeongyang, Pyeongannam-do in 1918, and left eight volumes of poetry until his death in 1994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he expressed the image of finding an exit and pure pursuit through his poetry, and he wrote poems of homing consciousness, consistently and continuously in his quest for existence. This article classified Park Nam-soo's poetry period into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and took a look at the transformation process while confirm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Park Nam-soo contemplated the meaning of human nature by taking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he experienced as a topic for poetry. This search for meaning seems to be completed as it gradually transforms in each poetry collection. In his early stage poetry collections of 『Lantern』 and 『Seagulls Drawings』,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there is a tendency toward imagism that seeks light in darkness. In his middle stage poetry collections of 『Garbage of God』, 『Secret Burial of the Bird』 and 『The Crown of the Deer』, he seeks out the essence (existence) that appears through pure pursuit. In his late stage poetry collections of 『West, That Is Actually the East』, 『And Thereafter』, 『Narrow Wa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that concluded back to the world of circulation at the border between life and death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displacement and the awareness of death.
Park Nam-soo shows the image of the peripheral person and unfolds his imagination which is breaking down reality on the border of light and darkness. The aesthetic structure that he earned through his poetry is the point that made his poetry aiming for a free world exist while neutralizing the meaning of distinction. The poet, who could not settle down properly after defecting to South Korea, finally chooses to emigrate. He shows the emotions that arise as his awareness of displacement in a foreign country becomes stronger and the sense of loss becomes daily environment after the death of his wife in the form of a circular reasoning that erases borders while being a marginal person.
Author(s)
현택훈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814
Alternative Author(s)
Hyun Taek-H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Advisor
장인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기존 연구 검토 3
Ⅱ. 문장의 영향과 이미지즘의 시도: 초기시의 세계 7
1. 토속적 세계와 어둠 속의 불빛: 1시집 초롱불 7
2. 전쟁의 폐허와 순수의 추구: 2시집 갈매기 소묘(素描) 13
Ⅲ. 실존주의의 전유: 중기 시의 세계 22
1. 순수와 비순수의 대립 구조: 3시집 신(神)의 쓰레기 22
2. 사물을 지향하는 언어와 즉물성: 4시집 새의 암장(暗葬) 32
3. 존재론적 이미지즘의 완성: 5시집 사슴의 관(冠) 39
Ⅳ. 이민 체험과 죽음 의식: 후기 시의 세계 46
1. 이민 체험과 실향의식: 6시집 서쪽, 그 실은 동쪽 46
2. 보편적인 것으로서의 죽음: 7시집 그리고 그 이후(以後) 50
3. 죽음에의 순응과 순환의 상상력: 8시집 소로(小路) 52
Ⅴ. 결론 56
참고문헌 58
ABSTRACT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2-08-18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