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인문학 이미지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ling Program Using Humanities Images and Its Effect Validation for Establishment of Ego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bstract
이 연구는 Marcia의 자아정체감 네 가지 지위 범주에 맞게 인문학 도서『꽃들에게 희망을』의 일부 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김창대 외(2011)의 4단계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근거하여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계획수립 및 프로그램의 구성, 예비 및 본 프로그램의 개발·평가 등을 거쳐 최종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계획수립 단계에서는 이론적 검토와 선행연구 및 학생 요구 설문조사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 단계에서는 인문학 이미지를 활용한 놀이 활동 중심으로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내용을 수집·선정하여 예비프로그램을 수립하였다. 수립한 프로그램은 예비 진행을 통해 그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발굴과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수정·보완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본 프로그램의 실행 및 평가 단계에서는 전문가의 타당도 평가와 본 프로그램 실행 결과의 양적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최종프로그램은 본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확정하였다. 최종프로그램은 Marcia의 자아정체감 지위 범주에 맞춘 인문학 이미지와 놀이 활동 중심의 내용으로 총 10회기로 구성하였으며, 회기당 45분씩 주 2회 진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배정하고, 실험집단에 대해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집단 간과 집단 내의 사전 및 사후, 추후 간의 차이를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의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목표로 Marcia의 네 가지 지위인 혼미와 유실, 유예, 성취를 나비의 발육 4단계인 알과 애벌레, 고치, 성충의 인문학 이미지와 연결하였으며, 내용은 청소년기 특성에 맞춘 친숙한 놀이 활동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무조건적 긍정적인 존중과 공감적 이해, 신뢰와 경청, 이해 및 수용의 분위기 형성을 통해 지금-여기의 반응에 집중하여, 주 2회 45분 10회기를 적용하였다. 1회기에서 3회기까지는 집단의 초기 단계로 몸으로 익히는 인문학과 자아정체감 이해의 과정이며, 4회기에서 6회기까지는 노랑 애벌레가 그의 만남을 통한 변화와 성장 과정으로, 7회기에서 9회기까지는 친구의 도움을 통한 줄무늬애벌레의 변화와 성장 과정이다. 마지막 10회기는 노랑나비의 기다림과 줄무늬애벌레가 줄무늬나비가 되어 함께 날아가는 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Marcia의 성취를 의미한다.
둘째,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Marcia의 자아정체감 네 가지 지위와 인문학 이미지를 활용하여 개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에게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에서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결과 주체성과 주도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주체성은 실험집단의 사전과 사후, 추후 검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미래확신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Erikson의 자아정체감 이론과 Marcia의 자아정체감 네 가지 지위 이론, 박아청의 자아정체감 연구 등의 선행연구와 전문가 40인의 타당성 설문조사를 토대로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인문학 이미지와 놀이 활동 중심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이 연구는 한 집단에 적용한 사례로 그 효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지만, 다양한 지역에서 여러 집단에 적용하는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을 검증, 보완이 이루어지면 그 효과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ego identity by utilizing some images from the humanities book 『Hope for the flowers』 according to Marcia's four status of ego identity and to validate of its effect for the first-year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final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of planning, organizing, preparatory, and evaluation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stablish the ego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4-step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Kim et al. (2011). In the planning step of the program, the purpose and goal of the program were set through theoretical review, precedent research, and student demand survey. In the program composition step, a preliminary program was established by collecting and selecting cont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focusing on play activities using humanities images. The regualr program was created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preliminary program through the finding the problems in the preliminary program and the evaluation process of the preliminary program. In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ep of the regular program, the effects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the expert's validity evaluation an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program's execution. The final program was confirmed by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regular program. The final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10 sessions with contents of humanities images and play activities tailored to the category of Marcia's ego identity status and is scheduled to be held twice a week for 45 minutes per sessi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recruited seven students each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pplied the program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he effect of applied the program was analyzed by using the t-test of SPSS statistics ver. 21.0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within groups before, after and later.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how to organize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go identity establis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goal of ego identity establis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Marcia's four identity status - confusion, loss, procrastination, and achievement were linked to the humanistic images of four developmental stages, egg, larva, pupae and adult and the contents were composed meaning of customized and familiar play activitie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cused on the responses of here and now through the formation of an atmosphere of unconditional positive respect, empathic understanding, trust and listening,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mong participants. Session 1 to session 3 were the early stage of the group,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humanities and ego-identity. Session 4 to session 6 were the process of change and growth through the meeting of the yellow caterpillar. Session 7 to session 9 were the process of change and growth of the striped caterpillar through his friend help. The last 10th session consisted of the yellow butterfly's waiting and the process of the striped caterpillar becoming a striped butterfly and flying away together and this means Marcia's achievement.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go identity establis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develope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to ego identity establishment of the first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the pre- and post-tes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pre- and post-tests on the sub-factors of ego ident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sonality and self-directed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the post-test, and among the sub-factors of ego identity, all sub-factors except future confid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is study was finally confirm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find me’ focusing on humanities images and play activities appropria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such as Erikson's ego identity theory, Marcia's four status theory of ego identity and research for ego identity of Park A-Cheong, and validity survey of 40 experts.
There are limitations to generalizing the effect of this program because of applied to only one group.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 program is ver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applying to various groups in other regions.
Author(s)
오명애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101
Alternative Author(s)
Oh Myung-A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가.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7
나. Marcia의 자아정체감 8
다. 인문학 도서의 이미지 8
Ⅱ. 이론적 배경 10
1. 청소년의 특성과 자아정체감 10
가. 청소년의 개념 및 이해 10
나. 초기청소년기 중학생의 발달적 특성 11
다. Marcia의 자아정체감 18
라.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22
2.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자아정체감 32
가. 집단상담의 정의 32
나. 집단상담의 목적 33
다. 청소년과 집단상담 35
라.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자아정체감 38
3. 인문학 도서의 이미지와 자아정체감 41
가. 청소년기 인문학의 필요성 41
나. 이미지와 성찰적 인문학 44
다. 청소년과 인문학 46
라. 인문학과 자아정체감 50
Ⅲ.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53
1. 프로그램 개발 절차 및 과정 53
가. 프로그램 개발 절차 53
나. 프로그램 개발과정 54
2. 프로그램 내용 구성 71
가. 프로그램 내용 구성 71
나. 최종 프로그램 선정 83
다. 프로그램 실시 및 평가 96
Ⅳ.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검증 98
1. 분석 방법 및 과정 98
가. 연구 설계 98
나. 연구 대상 및 절차 99
다. 측정 도구 100
라. 자료 처리 101
2. 분석 결과 101
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동질성 검증 101
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후검사 차이 검증 102
다.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차이 검증 103
라.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증가분 차이 검증 104
마. 실험집단 사후, 추후 검사 차이 검증 105
바.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지속성 106
V. 논의 및 결론 109
1. 논의 109
가.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의 109
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논의 112
2. 결론 및 제언 115
참고문헌 118
Abstract 130
부록 133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오명애. (2023).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인문학 이미지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3-02-17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