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카페의 공간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pace-Storytelling of Cafe : Focusing on Jeju Theme Cafe
Abstract
사람들이 카페를 찾는 이유는 단순히 커피를 마시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집에서 느끼는 것과 다른, 카페가 선사하는 또 다른 분위기와 감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커피를 마시는 단순한 공간에서 상호 교감하는 소통의 장소로 변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끊임없는 변화와 특별함을 원하는 카페 경영자나 사용자들이 카페 공간 스토리텔링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카페의 고유 기능을 바탕으로 하면서 제주도의 문화를 색다르게 경험하는 공감과 소통의 장소로서 카페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공간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전략, 카페의 개념과 역사, 문화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공간 스토리텔링의 중요성과 소통의 장소로서 카페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둘째, 카페 공간을 공간 매핑과 공간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카페 문화 공간을 만들어내는 스토리텔링의 유형을 유추하였다. 셋째, 소통의 장소로서 국내외 및 제주도 카페의 사례를 분석하여 카페의 공간 특성과 이미지를 알아보고 구성 방식의 장·단점을 진단하였다. 넷째, 이를 바탕으로 제주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높일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 형태의 카페 모델을 기획하였다.
특히 기획 모델은 첫째, 제주인의 감성과 문화적 가치가 보다 잘 전달되도록 제주도 작가들의 공간을 상설 전시관으로 두고 있다. 둘째, 주제는 제주도 작가들의 작업실과 전시관을 통해 구현하였다. 셋째, 서사에 따라 장소를 이동하면서 감정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카페와 전시관을 기획하여 공존을 지향하고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설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장소성의 다섯 가지 테마에 맞추어 공간 스토리텔링을 기획하였으며 여섯 단계의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공간을 기획하였다. 공간의 배치는 카페의 건축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조감도와 투시도를 반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설계도와 조감도로 제시하여 예술가와 향유자 모두에게 카페 공간 스토리텔링의 가치를 느껴보도록 구상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소정의 결과가 지역의 커뮤니티와 감성을 공유할 수 있는 카페의 공간 스토리텔링에 활용되고, 나아가 다양한 복합 문화 공간의 스토리텔링과 지속적인 연구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People visit cafes not only because they are places to drink coffee, but also because there is another atmosphere and sensibility that cafes offer,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they feel at home. This means that it has changed from a simple space for drinking coffee to a place of communication that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ccordingly, cafe managers and users who want constant change and speciality are interested in cafe space storytelling.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cafe space storytelling as a plac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that experiences Jeju Island's culture differently based on the cafe's unique functions.
To this end, first, prior studies on the concept and strategy of spatial storytelling, the concept, history, and culture of cafes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spatial storytelling and the meaning of cafes as places of communication. Second, the type of storytelling that creates a cafe cultural space by classifying the cafe space according to space mapping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as inferred. Third, as a place of communication, we analyzed the cases of cafes at home and abroad and Jeju Island to find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mages of cafes, and diagnos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omposition method. Fourth, based on this, a cafe model in the form of a complex cultural space was planned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Jeju Island.
In particular, the planning model first has the Jeju artist's space as a permanent exhibition hall to better convey the emotions and cultural values of Jeju people. Second, the theme was embodied through Jeju artists' studios and exhibition halls. Third, cafes and exhibition halls were planned so that people could feel emotional changes while moving around according to the narrative, aiming for coexistence and setting it up as a space with communication. Specifically, spatial storytelling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five themes of location, and space was planned by applying six stages of spatial storytelling. The layout of the space reflected a bird's ey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to help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the cafe,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a design and a bird's eye view to make both artists and enjoyers feel the value of cafe space storytelling.
Finally, it is hoped that the predetermined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spatial storytelling of cafes that can share emotions with local communities,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storytelling and continuous research of various complex cultural spaces.
Author(s)
김현주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705
Alternative Author(s)
Kim, Hyun Jo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Advisor
박여성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Ⅱ. 카페 스토리텔링의 이해 5
1. 공간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전략 5
2. 카페의 개념과 역사 9
1) 카페의 개념 9
2) 해외 카페의 역사 10
3) 한국 카페의 역사 11
3. 카페 스토리텔링 14
1) 장소로서의 카페 14
2) 콘텐츠로서의 카페 15
Ⅲ. 카페 공간의 유형 분류 18
1. 공간 매핑을 통한 분류 18
2. 테마별 특성 분류 24
1) 개인 공간 26
2) 소통 공간 26
3) 문화 공간 27
4) 표현 공간 27
5) 힐링 공간 28
6) 체험 공간 28
Ⅳ.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테마 카페의 사례 30
1. 사례조사 대상 및 범위 30
2. 국내외 카페 사례분석 30
3. 제주도 카페 사례분석 37
1) 역사 문화 카페 37
2) 체험 카페 38
3) 전시, 공연 카페 39
4) 제주 특산물 카페 40
Ⅴ. 모델 제안 44
1. 기획 방향 및 전략 44
1) 기획 방향 44
2) 기획 전략 45
2. 카페 기획과 스토리텔링 적용 47
1) 공간구성 47
2) 핵심이미지 48
3) 공간 배치의 개괄 48
4) 공간스토리텔링 적용과정 51
Ⅵ. 결론 61
참 고 문 헌 64
Abstract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김현주. (2024). 카페의 공간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Storytell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