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1920년대 소설에 나타난 빈궁 양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the Poverty Aspect Having Been Showed in 1920's Novel
Abstract
이 연구는 192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 중 김동인ㆍ염상섭ㆍ현진건ㆍ최서해의 작품에 나타난 '빈궁'의 양상을 분석하여, 당대 사회의 빈궁 문제가 이들 작가의 작품에 하나의 모티프로 수용되는 양상을 살피고, 작품 간의 상호관련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본론이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연구는 각 장마다 서로 다른 방법을 도입하는 다원주의적 방법을 활용하여 작품 분석의 효율성과 종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이 시기의 소설에 빈궁 문제가 적극적으로 수용될 수 있었던 배경을 문학ㆍ사상적 배경과 사회ㆍ역사적 배경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실주의와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 민족의 빈궁한 현실과 3ㆍ1운동의 성과가 빈궁 모티프의 형성에 끼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L. 골드만의 소설사회학 이론을 따라 김동인ㆍ염상섭ㆍ현진건ㆍ최서해의 대표작에 나타난 빈궁 모티프의 양상을 분석하였고, 각 작가의 작품이 보여준 공통의 특질을 일반화하여 정리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골드만의 소설사회학 이론과 상호 텍스트성 이론에 따라 이들 작품 간의 상호 관련성을 '빈궁한 민족현실'과 '희생자 모티프'의 형상화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론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 of 'poverty' which appeared to works of Kim Dong-in, Yeom Sang-sup, Hyun Jin-geon and Choe Seo-hae and reviews accepted status of contemporary poverty matters as a motive to their works, and then leaves a purpose in lightening up correlations between their works.
The study composed of 3 chapters in the main subject, and intended to raise efficiency and comprehensiveness by utilizing pluralistic methods having introduced different ways together at each chapter. The contents having been dealt with this study were same as followings.
In the 2 chapter, this study reviewed the backgrounds of being accepted of the poverty matter positively in the novels of these times by dividing them into cultural, ideological backgrounds and social, historical ones. Also, the study confirmed acceptance of realism and socialism thoughts, and the influences of poor reality and results of 3.1 Independence Movement to forming poverty motives.
In the 3 chapter, the study analyzed status of poverty motives having been appeared to masterpieces of Kim Dong-in, Yeom Sang-seop, Hyun Jin-geon and Choe Seo-hae, and arranged common characteristics having been shown from each artist's works after generalizing them according to the theory of novel's sociology from Goldman.
This study reviewed the mutual relevance between the works which were objects of the study in the sides of figurative called 'poor ethnic actuality' and 'victim motive' according to novel's sociology theory from Goldman and intertextuality theory in the chapter 4.
In the chapter 5, this study substituted for a conclusion by summarizing contents of the main subject.
Author(s)
최희정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891
Alternative Author(s)
Choe, Hui J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문성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과 의의 = 1
2. 선행 연구 검토 = 3
3. 연구 방법과 한계 = 6
Ⅱ. 빈궁 모티프의 수용 배경 = 11
1. 문학ㆍ사상적 배경 = 12
2. 사회ㆍ역사적 배경 = 17
Ⅲ. 빈궁 모티프의 수용 양상 = 26
1. 김동인 : 빈궁 인식과 패배주의적 대응 방식 = 27
2. 염상섭 : 민족의 빈궁 현실과 지식인의 자아각성 = 39
3. 현진건 : 빈궁 해결의 주체와 민중의 발견 = 52
4. 최서해 : 현실부정과 자연발생적 투쟁의 옹호 = 66
Ⅳ. 빈궁 모티프의 상호 텍스트적 대화 = 78
1. 민족적 빈궁의 형상화 = 78
2. 수난과 희생의 서사 = 82
Ⅴ. 결론 = 85
참고문헌 = 88
Abstract = 9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최희정. (2010). 1920년대 소설에 나타난 빈궁 양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