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AHP기법을 이용한 재난관리체계 우선순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riority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AHP Technique : With Emphasis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bstract
재난환경의 불확실성, 복잡성이 증대됨에 따라 재난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으며, 재난 발생빈도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이러한 재난환경의 변화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재난관리체계의 개편에 대한 압력 내지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렇다면 재난관리체계를 어떠한 방향으로 개편해야 할 것인가? 다시 말해서 재난관리의 4단계 즉 예방 및 완화단계, 대비단계, 대응단계, 복구단계 중에서 어떠한 단계를 중심으로 재난관리체제를 개편할 것인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난관리단계별 활동 중에서 어떤 활동을 중심으로 재난관리체계를 개편해야 할 것인가? 이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단계와 각 단계별 활동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우선순위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AHP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사례로는 제주특별자치도를 선정하였다.
재난관리단계인 예방 및 완화단계, 대비단계, 대응단계, 복구단계 4가지 단계를 평가영역으로 설정하였고, 각 재난관리단계별 활동을 기준으로 16개의 평가요소를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예방 및 완화단계에서의 ① 규제 및 법령정비 등 예방정책수단 강구, ② 재난위험성 분석, ③ 재난발생지역 대상 파악·선별, ④ 예방안전교육 활동, 대비단계에서의 ⑤ 비상연락망 및 경고시스템 정비, ⑥ 대응시스템의 가동 연습, ⑦ 자원동원관리체계 구축, ⑧ 재난대응훈련 및 홍보 활동, 대응단계에서의 ⑨ 주민경고 시스템의 가동, ⑩ 긴급대피, ⑪ 긴급대응, ⑫ 구조 및 구호활동, 복구단계에서의 ⑬ 잔해물 제거 및 방제, ⑭ 재정지원 및 임시시설 마련, ⑮ 재난심리상담, ? 주민피해 상황조사 및 평가 활동으로 세분화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소방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HP를 이용한 우선순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난관리단계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예방 및 완화 단계(.314) → 대응단계(.296) → 대비단계(.238) → 복구단계(.152)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전문가들은 재난환경의 변화에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사후복구보다는 사전예방에 초점을 맞추어 재난관리체계를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재난관리 과정별로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편성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으며, 재난의 예방 및 완화기능을 매우 강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소방관련 전문가들은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의 재난관리체계에 있어서 예방 및 준비단계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난관리단계별 활동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방 및 완화단계에서의 활동 우선순위는 규제 및 법령 정비 등 예방정책수단 강구(.329) → 예방안전교육(.255) → 재난위험성 분석(.209) → 재난발생지역 대상파악/선별(.208)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대비단계에서의 활동 우선순위는 비상연락망 및 경고시스템의 정비(.277) → 자원동원관리체계 구축(.276) → 재난대응훈련 및 홍보(.228) → 대응시스템의 가동연습(.219)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대응단계에서의 활동 우선순위는 구조 및 구호활동(.376) → 긴급대피(.223) → 주민경보시스템의 가동(.203) → 긴급대응(.198)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복구단계에서의 활동 우선순위는 재정 지원 및 임시시설 마련(.401) → 잔 해물 제거 및 방제(.238) → 주민피해상황 조사 및 평가(.219) → 재난심리상담(.143)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전체 평가요소인 각 재난관리단계별 활동에 대한 복합 가중치 및 우선순위는 규제 및 법령정비 등 예방정책수단 강구(0.136) → 구조 및 구호활동(0.111) → 예방안전교육(0.106) → 재난위험성 분석(0.087) → 재난발생지역 대상파악/선별(0.086) → 긴급대피(0.066) → 비상연락망 및 경고시스템 정비(0.066) → 자원동원관리체계 구축(0.066) → 재정 지원 및 임시시설 마련(0.061) → 주민경보 시스템의 가동(0.060) → 긴급대응(0.059) → 재난대응훈련 및 홍보0.054) → 대응시스템 의 가동연습0.052) → 잔 해물 제거 및 방제(0.036) → 주민피해상황 조사 및 평가(0.033) → 재난심리상담(0.022)의 순으로 나타났다.
As the uncertainties and complexities of disaster environment are increasing, the scales of disasters are enlarging and the frequencies of disasters are also increasing. For more efficient responses to such changes in the disaster environment, the demands to improv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are increasing.
Then, how should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be improved? In other words, which of the four steps of disaster management - prevention and mitiga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 should be improved? More specifically, which activities among the activities in each step of disaster management should be improved?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priorities of each step of disaster management and the activities in each step. The AHP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priority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The four steps of disaster management - prevention and mitiga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 were selected for the evaluation and 16 evaluation item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ctivities in each step of disaster management. Specifically,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1) preventive policy measures, such as regulations and laws, (2) disaster risk analysis, (3)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disaster-prone areas, and (4) preventive safety training activities of the prevention and mitigation step, (5) emergency contact network and warning system, (6) response system operation drill, (7) resource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and (8) disaster response training and promotional activities of the preparation step, (9) citizen warning system, (10) emergency evacuation, (11) emergency response, and (12) rescue activities of the response step, and (13) debris removal and disaster management, (14) financial support and temporary shelter provision, (15) disaster psychology counseling, and (16) loss and casualty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of the recovery step.
Fire safety expert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survey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priority using AHP:
In result of analyzing the priority of each step of disaster management, the order of priority was: prevention and mitigation (.314) → response (.296) → preparation (.238) → recovery (.152). Experts believed that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should be focused on preliminary prevention rather than post-recovery for efficient responses to the changes in disaster environment. In fact,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operate systems where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organizations are established for each step of disaster management an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mitigation is strongly emphasized. Also, fire prevention expert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esponded that the prevention and preparation steps of their disaster management system are not executed properly.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iority of each activities of disaster management:
In the prevention and mitigation step, the order of priority was: preventive policy measures, such as regulations and laws (.329) → preventive safety training (.255) → disaster risk analysis (.209) →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disaster-prone areas (.208). In the preparation step, the order of priority was: emergency contact network and warning system (.277) → resource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276) → disaster response training and promotional activities (.228) → response system operation drill (.219). In the response step, the order of priority was: rescue activities (.376) → emergency evacuation (.223) → citizen warning system (.203) → emergency response (.198). In the recovery step, the order of priority was: financial support and temporary shelter provision (.401) → debris removal and disaster management (.238) → loss and casualty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219) → disaster psychology counseling (.143).
Overall, the complex weighted values and priorities of the activities in each step of disaster management were: preventive policy measures, such as regulations and laws (0.136) → rescue activities (0.111) → preventive safety training (0.106) → disaster risk analysis (0.087) → identification/selection of disaster-prone areas (0.086) → emergency evacuation (0.066) → emergency contact network and warning system (0.066) → resource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0.066) → financial support and temporary shelter provision (0.061) → citizen warning system (0.060) → emergency response (0.059) → disaster response training and promotional activities (0.054) → response system operation drill (0.052) → debris removal and disaster management (0.036) → loss and casualty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0.033) → disaster psychology counseling (0.022).
Author(s)
고인종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86
Alternative Author(s)
Ko, In-J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강영훈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과정 4
1.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2. 연구의 과정 5
제2장 재난관리에 대한 이론적 검토 7
제1절 재난 및 재난관리 7
1. 재난의 의의 7
2. 재난관리의 개념과 단계분류 16
제2절 재난관리체계의 이론 24
1. 재난관리체계의 이론적 동향 24
2. 재난관리체제의 운용원칙 27
3. 재난관리체계의 선행연구 29
제3장 국내외 재난관리체계 비교와 문제점 32
제1절 국내외 재난관리 체계 현황 32
1. 외국의 재난관리체계 32
2.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 42
제2절 제주특별자치도의 재난관리체계 49
1. 상설 재난관리체계 49
2. 비상설 재난관리체계 49
제3절 제주특별자치도 재난관리체계의 문제점 51
제4장 분석모형의 설정 53
제1절 방법론의 고찰 53
제2절 계층분석기법(AHP) 55
1. 기본개념 55
2. 적용절차 56
3. AHP와 재난관련 선행연구 검토 60
제3절 분석모형 61
제5장 재난관리단계 실태 분석 64
제1절 자료수집 및 분석 64
1. 자료수집과 전문가조사 64
2. 분석의 신뢰성 64
제2절 분석의 결과 65
1.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인식 65
2. AHP분석 결과 70
3. 소결 74
제6장 결론 76
제1절 연구의 요약 76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77
【참고문헌】 79
【Abstract】 84
【부록】 설문지 8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인종. (2010). AHP기법을 이용한 재난관리체계 우선순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