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개여뀌 추출물이 몇 가지 식물과 감자생육에 대한 알레로패시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llelopathic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from Persicaria blumei on Several Plants and Growth of Potato
Abstract
본 연구는 몇 가지 작물, 식물병원균 그리고 잡초에 대한 개여뀌의 allelopathy 효과와 개여뀌 추출물의 관주가 심지재배 중인 감자의 생육 및 수량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개여뀌 추출물에 대한 발아효과 실험결과, 개여뀌의 수용성 추출액 처리시 가시비름의 발아율은 25%에서 억제되었으나, 벤트그라스의 발아율은 추출액의 농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특히 개여뀌의 추출액 농도 25%가 처리된 크림슨 클로버의 종자발아와 생체량은 대조구보다 촉진되었다. 개여뀌추출액에 의한 대부분 수용체 식물의 초기생장은 25%, 50%농도에서 촉진되었으나, 유근은 모든 농도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즉, 수용체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억제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몇 가지 식물병원균에 대한 실험결과 개여뀌 수용성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Phytophthora infestans, Pythium graminicola, Pythium ultimum의 균사생장을 강하게 억제시켰다. 식물체 부위별 개여뀌의 총 페놀함량을 조사한 결과 잎(1082.3㎎/ℓ)에서 가장 많았으며 뿌리(228.6㎎/ℓ), 줄기(207.8㎎/ℓ) 순이었다. 감자 시험구 처리는 개여뀌추출물 무처리, 25%, 50%, 75%, 100%로 하였으며, 개여뀌추출물의 처리는 정식1일 후부터 5일 간격으로 처리구에 따라 관주하였다. 개여뀌의 수용성 추출액농도가 증가함에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맹아가 완료되는 시기가 1일이 빨랐고, 경수는 0.3~0.4/1주 개가 많았다. 경장은 생육초기에는 개여뀌추출물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컸으나, 생육중반이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경직경 및 지상부 생체중은 개여뀌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양호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감자의 총수량/m²은 개여뀌를 처리한 100%구에서 13.8kg/ m²로 가장 많았으며 처리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감자의 크기별 개수는 4g이하, 5~30g미만의 괴경 수량은 각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31g 이상의 괴경 수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개여뀌추출물처리구가 현저히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식물체와 미생물에 대한 allelopathy의 효과발현은 비료, 토양조건과 allelochemicals의 농도, 생육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개여뀌 추출물의 감자 생육과 수량형질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llelopathic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Persicaria blumei on the germination of several receptor plants and growth of fungal plant pathogens. Especially, the effects of P. blumei extract on the growth and yield variables of potatoes in a wick hydroponic culture were tested.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 in P. blumei was higher in leaves (1082.3㎎/ℓ) but lower in roots (228.6㎎/ℓ) and stems (207.8㎎/ℓ), which is an allelopathic chemical. The seed germination of Amaranthus spinosus was inhibited at 25% P. blumei extract, while Agrostis stolonifera ssp. palustris was not affected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Especially, the seed germination rate and fresh weight of Trifolium incarnatum at 20% P. blumei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lot. The early growth of most receptor plant seedlings was promoted at 25% and 50% of P. blumei extracts, but the radicle growth of all receptor plant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 25% of P. blumei extract. The response of receptor plants to P. blumei extra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lant species and the plant parts. The growth of plant pathogenic fungus in PDA medium showed an increasing inhibition tendenc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 blumei extract. Especially, P. blumei extract showed the great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hytophthora infestans, Phythium graminicola, and Pythium ultimum. Each 500ml of distilled water (control) and P. blumei extracts (25%, 50%, 75%, 100%) was watered to potato plants at 5d intervals from 1d after potato transplanting. The potatoes with P. blumei extract emerged 1d earlier and had 0.3 to 0.4 more stem numbers per plant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plot. The plant height was higher in plots with P. blumei extract than in control in early stage of potatoes (50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mid-stage of potatoes (70 and 90d). The stem diameter and fresh weight of potatoes showed a higher values in plots with P. blumei extract than in control plot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otal potato yiel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 blumei extract, showing a maximum yield 13.8kg/m² in 100% P. blumei extract. The numbers of tubers in classes of < 5g and 5 to 30g per plant did not show a specific trend among experimental treatments while it in class of > 30g was much higher in plots with P. blumei extract than in control plot. Accordingly, the P. blumei extra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and yield variables of potatoes compared with control.
Author(s)
우성배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50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농학과
Advisor
송창길
Table Of Contents
Ⅰ. 서언 = 1
Ⅱ. 연구사 = 3
Ⅲ. 재료 및 방법 = 5
1. 개여뀌 수용성 추출액 = 5
2. 개여뀌 수용성 추출액이 발아 및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 5
3. 개여뀌 수용성 추출액이 식물병원균에 미치는 영향 = 7
4. 개여뀌 수용성 추출액이 감자생육에 미치는 영향 = 8
Ⅳ. 결과 = 10
1. 개여뀌의 부위별 총 페놀함량 = 10
2. 개여뀌 수용성 추출액이 수용체 식물에 미치는 영향 = 11
1) 수용성 추출액이 수용체 식물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 11
2) 수용성 추출액이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 14
3) 수용성 추출액이 뿌리털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7
3. 개여뀌 수용성 추출액이 식물병원균에 미치는 영향 = 25
4. 개여뀌 수용성 추출액이 감자생육 및 수량형질에 미치는 영향 = 27
1) 생육형질 = 27
2) 수량형질 = 29
Ⅴ. 고찰 = 32
Ⅵ. 적요 = 35
인용문헌 = 3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우성배. (2009). 개여뀌 추출물이 몇 가지 식물과 감자생육에 대한 알레로패시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Agricultural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