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건강가정사업 인지 및 프로그램 요구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Healthy Family Project and Demands for the Program : Mainly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bstract
오늘날 이혼율의 증가와 맞벌이로 인한 육아문제 발생, 청소년 비행증가 등 가족의 역할이 한계적 상황에 다다르게 되자 국가가 개입하여 가족의 안정성 유지를 위해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을 제정하였다.
건강가정기본법은 법의 구체적인 실현인 "건강가정사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설치하도록 하였고 이에 센터는 가족구성원 전체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건강가정사업이 실효성을 얻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지역 주민이 제공받고 싶은 서비스와 프로그램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건강가정사업에 대한 인지와 그 요구를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전 지역주민들이 건강가정사업에 대한 인지여부 및 센터의 이미지를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홍보방법 모색이 가능하므로 이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사업의 효과적인 운영과 센터의 발전방향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제 건강가정사업이란 단어는 생소하고 직접적인 이미지가 연상되지 않으므로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한 인지여부를 파악하였다.
설문지는 2006년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가이드북에서 제공한 요구도 조사의 내용을 기초로 예비조사를 통하여 작성하였으며 제주도내에 거주하는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총 500부를 배부하여 316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χ2검정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해 전체 응답자중 35.1%가 알고 있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센터의 이미지를 살펴본 결과 "누구든지 이용가능하며 가정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곳" 또는 "가정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으로 인지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센터의 역할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가정 교육, 상담, 문화 프로그램의 요구를 살펴보면 결혼지속년수가 10년 이상, 10-19년, 39세 미만의 연령대, 학력, 5명이상의 가족구성원의 변수에서 공통적으로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에 대하여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지속년수가 20년 이상, 40세 이상, 4명이하의 가족구성원 수의 변수에서 "노후설계교육"에 대하여 프로그램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에 대해 요구가 높으며 연령이 높고 결혼생활을 오래 지속할수록 "노후설계교육"에도 요구가 높았다. 이를 통해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건강한 노후생활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담 프로그램의 요구는 10년 이하, 10-19년의 결혼지속년수 및 39세 미만, 불교 및 기타 종교의 변수에서 "부모자녀관계 개선을 위한 상담"에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지속년수가 20년 이상, 40세 이상, 기독교의 변수에서 "중년상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문화 프로그램 요구는 전반적으로 "자녀와 함께하는 주말 여가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지속년수가 20년 이상 변수에서 가족등산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의향은 교육프로그램 59.8%, 상담프로그램 57.0%, 문화프로그램 59.8%로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참여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약 40%의 응답자가 불참의사를 밝혀 추후 조사를 통해 그 원인을 분석하여 보다 많은 시민들이 건강가정사업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프로그램 참여가능시간은 각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토요일 오후를 가장 선호 했으며 그다음은 토요일 오전, 평일저녁 순이었다.
넷째, 제주지역 기혼자들은 주로 TV,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해 가족생활관련 정보를 습득하고 있으며 그다음 친구 및 이웃주민, 인터넷 정보검색, 가족 및 친인척, 전화 및 문자메세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거나 만족하는 수준을 보였다.
센터에서 제공되기를 바라는 내용은 도내 가족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가장 원하고 있었고 그 다음 자녀양육과 관련된 정보, 여가생활관련 정보, 갈등해결방법, 부부관계 향상과 관련된 정보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제공 방법은 신문, TV등 언론매체를 가장 선호했다.
다섯째, 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는 공통필수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 인지 여부는 각 7영역의 프로그램에 대해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족생활 프로그램에 대해 79.7%가 필요하다고 답해 앞서 각 영역별 프로그램 요구와 동일하게 부모-자녀 관계의 향상에 높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역주민들의 상당수가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아직 알지 못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홍보방법을 통하여 센터를 알릴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혼자들은 각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자녀와 관계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고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프로그램에 참여의지도 있었다. 그러나 불참의사를 밝힌 응답자도 있으므로 그 원인을 잘 파악하여 그들도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할 필요가 있다.
전국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는 공통필수 프로그램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가족생활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센터에서는 적절한 시간적 배치를 통해 7가지 프로그램의 순차적인 진행을 추진토록 해야 하겠다.
위의 결과를 반영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다양한 내용을 다루어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 및 지역 가정의 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As the divorce rate, the problems of raising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and adolescents-in-trouble have been on the rise, the government was involved in enacting "The Healthy Family Act" for safer families in 2004.
The Act helped establish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o efficiently operate "Healthy Family Project", an actual tool for the act. The center has introduced a variety of projects for family members.
For the project to yield tangible results, however,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what services and programs the residents want. As the healthy family program is based on a whole family, each family member can be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the parents' interests and demands for the programs. If married couples in Jeju study the awareness and demands for the projects and manage the program, that will maximize the efficiency. In addition, before the program began, I tried to understand if the residents were aware of the healthy family project and center image to promote it appropriately and to introduce realistic data on where to go and how to operate it efficiently. The word, "Healthy Family Project," however, is new and somewhat vague. Therefore, I chose to study the awareness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e questionnaire was a preliminary research based on "2006 Management Guidebook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used 316 questionnaires out of the total 500 of married couples living in Jeju.
I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12.0, frequency analysis and χ2 inspect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below;
First, 35.1% of the respondents already knew the center. I asked what they think about the center ;Many respondents say, "It is available to everyone and it is a place where family matters can be efficiently solved." or "The center manages programs to raise the family happiness index. It shows that many people have positive image of the center and they know clearly what roles the center plays.
Second, in terms of the demands for healthy family education, consultation, cultural programs, "the eduction to improve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the highest demand of all demands, commonly from the variables; couples of ten year marriage or longer, couples below 39 year old, education and family members of more than five. The highest demand for the program among couples of more than 20 years of marriage, couples above 40 year old and family members of less than four was "later-year plans." As a whole, they want to get "an education to improve parents-children education" the most. The older they are and the longer their marriage year continues, the more they demand "later year plan," which shows their higher interests in the healthy later life.
Couples of less than ten years and between 10-19 years of marriage and Buddhism and other religious groups showed high demands for "programs to improve parents-children relations", while couples of more than 20 years of marriage life, older than 40 year old and Christian group demand "consultation related to middle years" most.
When it comes to the cultural program demand, people want to join "weekend program with children" and the demand of hiking was the highest among the couples of more than 20 years of marriage.
Third, 59.8%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are interested in attending educational programs, 57.0%, consultation programs, and more than half, cultural programs.
About 40%, however, said they would not join any of the programs, which shows we need efforts to encourage more people attend by analysing their reasons through further research. Most of them from each variables prefer Saturday afternoon, followed by Saturday morning and late weekdays.
Fourth, the ways couples in Jeju get information on family lives are from TV, newspaper and other media. Next, followed by information from friends, neighborers, Internet,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telephone conversation and text message, in order. They usually are satisfied a lot or just satisfied.
They want to get information from the center; first, information on family programs in Jeju, followed by raising-kids issues, leisure programs, problem-solving ways, improving couple relations. The most preferable medias are newspaper and TV.
Fifth, the nationwide common-required programs are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seven programs. Especially 79.7% of parents with teenage-children said they are necessary and showed their high interests in the improving parents-children relations.
As the result shows, we need to promote the center widely because most of the residents don't know the center well. The couples were highly interested in programs to improve parents-children relations and more than half of them showed their willingness of joining the programs. Some people, however, showed they would not attend the program, so it is necessary to give them motives to join them, by finding out why they are unwilling to join them.
From the result, we found out that families with teenage children showed their highest demand for family programs, from the common-required programs in the nationwide centers.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should exert their efforts to manage effective programs with a variety of contents and raise health of local families.
Author(s)
김효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36
Alternative Author(s)
Kim, Hyo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혜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1. 건강가정 = 4
1) 건강가정의 등장배경 = 4
2) 건강가정의 개념 = 5
2. 건강가정사업 = 7
1) 건강가정사업 = 7
2) 건강가정지원센터 = 7
3) 제주도내 건강가정지원센터 현황 = 12
3. 가족 정책 = 13
4. 프로그램 요구도 =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8
1. 연구문제 = 18
2. 측정도구 = 18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9
4. 자료처리 = 2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1
2. 건강가정지원센터 인지여부 = 23
1)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인지여부 및 이미지 = 23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가정지원센터 인지 = 24
3.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 요구 = 26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 요구 = 27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담 프로그램 요구 = 31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 프로그램 요구 = 33
4) 교육, 상담, 문화 프로그램 참여의향 = 37
5) 프로그램 참여에 가장 적합한 시간 = 38
6) 가족생활관련 정보 습득방법 및 만족도 = 39
7) 건강가정지원센터에 요구하는 정보내용과 제공방법 = 40
4. 공통 필수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지도 = 41
Ⅴ. 결론 및 제언 = 44
참고문헌 = 47
Absrtact = 50
부록 =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효주. (2009). 건강가정사업 인지 및 프로그램 요구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