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건반을 통한 창작지도법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음악창작을 하는 과정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소리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소리를 선택하려면 창작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소리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소리에 대한 학습은 악기를 연주하거나 가창을 하는 과정 안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창작을 위한 소리의 학습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조성음악의 화음, 종지, 비화성음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건반상의 실습을 통하여 학습자가 조성음악의 주요내용을 학습하고 더 나아가 학습자 스스로 창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연구하였고 학습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건반상의 실습을 통하여 화음을 학습한다. 학습된 화음을 통하여 간단한 악절을 만든다. 이 때 소프라노에서는 자연스럽게 간단한 선율이 만들어진다.
둘째, 종지들을 학습하고, 학습자가 만들어 놓은 악구에 종지를 대입한다. 종지는 악절의 주요 부분에 자연스럽게 연결하거나 확실한 끝맺음을 표현할 수 있다.
셋째, 비화성음을 학습하여 악절의 각 성부 선율을 보완한다. 비화성음은 각 성부의 선율을 꾸미거나 선율적인 주제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다.
학습자는 이러한 과정을 3화음, 7화음, 변화화음 순으로 실습과 창작을 동반하여 학습하게 된다.
건반상의 학습을 통하여 교사와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교사는 어렵지 않은 방법으로 학습자를 평가할 수 있다. 학습자의 창작물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화음연습과 동형진행 등을 통하여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사가 쉽게 귀로 판단할 수 있다. 학습자는 자연스럽게 내청능력을 기를 수 있고 음악적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되어 창작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건반학습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한 강의실 안에 여러 대의 신디사이저(Synthesizer)를 배치해 두어 학습자들끼리 소리로 인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헤드폰을 쓰고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조성음악의 테두리 안에서만 다루었지만 화음의 실습을 토대로 현대음악에서 주로 쓰이는 선법음악으로 확장시켜 교육시킬 수 있다.
The most important thing in writing music is the process of choosing sounds. To select sounds, what a writer preferentially needs is that learning sounds should be preceded. While learning sounds is done well in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s or singing, learning sounds for writing is not done well.
This thesis studied chords of tonal music, cadences, nonharmonic tones in priority to make up for the matters and aims at learning principal contents of the tonal music by practice on keyboards. Futhermore, it aims at gaining a foothold in learners' writing music by oneself. The steps of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learn chords by practice on keyboards and write a simple period through the chords learned. At this time, a simple melody is naturally made in soprano.
Second, students learn cadences and insert them into phrases, which they created. The phrases are able to connect the principal part of a passage naturally or express a certain end.
Third, students learn nonharmonic tones and complement each part melody. These are effective to decorate each part melody or express melodic topics.
Students learn these steps in order of triad, 7th chord, altered chord with practice and writing.
By practice on keyboards, instructors and learners can achieve effects as follows.
Instructors are able to easily evaluate learners. It is evaluated not by creations of learners, but chord practice and sequence so that instructors can evaluate it easily by ear. Learners can naturally improve inner audible ability and pave the way for creation as they obtain the ability to express their ideas in musical language.
It is desirable for the effective education of learning keyboards to arrange several synthesizers in a class with headphones not to disturb other learners.
This study only covers music within the limit of tonal music, but based on the practice of chords, it is possible to educate learners with modal music, which is mainly used in modern music.
Author(s)
곽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815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허대식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가. 연구의 범위 2
나. 연구의 방법 2
3. 연구의 제한점 2

II. 본론
1. 예비지식 3
가. 음계 3
나. 음정 4
2. 3화음 6
가. 개념설명 및 연습 6
1) 장3화음과 전위 6
가) 근음위치 9
나) 제1전위 10
다) 제2전위 13
2) 단3화음과 전위 15
가) 근음위치 17
나) 제1전위 18
다) 제2전위 20
3) 감3화음과 전위 23
가) 근음위치 25
나) 제1전위 26
다) 제2전위 28
4) 증3화음과 전위 30
가) 근음위치 32
나) 제1전위 33
다) 제2전위 36
나. 3화음의 연결 39
1) 종지와 부3화음 39
가) 정격종지 43
나) 반종지 44
다) 변격종지 44
라) 동형진행 45
2) 전위에 따른 종지 46
가) 제1전위 46
(1) 정격종지 46
(2) 반종지 47
(3) 변격종지 48
(4) 동형진행 49
나) 제2전위 51
(1) 정격종지 51
(2) 반종지 51
(3) 변격종지 52
(4) 동형진행 52
3) 비화성음의 활용 53
가) 경과음 53
나) 보조음 54
다) 전과음 55
라) 반도음 55
마) 선행음 57
바) 계류음 57
사) 보속음 58
다. 3화음의 지도법 59
3. 7화음 62
가. 개념설명 및 연습 62
1) 장7화음과 전위 62
가) 근음위치 64
나) 제1전위 66
다) 제2전위 69
라) 제3전위 72
2) 속7화음과 전위 75
가) 근음위치 77
나) 제1전위 79
다) 제2전위 82
라) 제3전위 85
3) 단7화음과 전위 89
가) 근음위치 90
나) 제1전위 92
다) 제2전위 95
라) 제3전위 99
4) 반감7화음과 전위 100
가) 근음위치 103
나) 제1전위 105
다) 제2전위 109
라) 제3전위 111
5) 감7화음과 전위 114
가) 근음위치 116
나) 제1전위 119
다) 제2전위 121
라) 제3전위 124
6) 단장7화음과 전위 127
가) 근음위치 129
나) 제1전위 131
다) 제2전위 134
라) 제3전위 137
7) 증장7화음과 전위 139
가) 근음위치 142
나) 제1전위 144
다) 제2전위 147
라) 제3전위 150
8) 증속7화음과 전위 152
가) 근음위치 155
나) 제1전위 157
다) 제2전위 160
라) 제3전위 163
나. 7화음의 연결 166
1) 종지와 부7화음 166
가) 정격종지 166
나) 반종지 166
다) 변격종지 167
라) 동형진행 168
2) 전위에 따른 종지 170
가) 제1전위 170
(!) 정격종지 170
(2) 반종지 170
(3) 변격종지 171
(4) 동형진행 172
나) 제2, 3전위 173
(!) 정격종지 173
(2) 반종지 174
(3) 변격종지 175
(4) 동형진행 175
3) 비화성음의 활용 176
다. 7화음의 지도법 178
4. 변화화음 180
가. 개념설명 및 연습 180
1) 나폴리6화음 180
2) 증6화음 180
가) 이태리6화음 181
나) 프랑스6화음 182
다) 독일6화음 183
3) 증3화음 및 증속7화음 183
나. 변화화음의 연결 184
1) 종지 184
가) 정격종지 184
나) 반종지 185
다) 변격종지 186
라) 동형진행 187
2) 비화성음의 활용 187
가) 나폴리6화음 187
나) 증6화음 188
다) 증3화음 및 증속7화음 189
다. 변화화음의 지도법 190

III. 결론 192
참고문헌 19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곽진. (2009). 건반을 통한 창작지도법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