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景德傳燈錄 偈頌의 詩歌形式과 禪思想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Prosody and Philosophy of Chan Buddhism in the 『Jing De Chuan Deng Lu』
Abstract
『景德傳燈錄』은 北宋眞宗(1004)때 吳僧道原이 저작한 禪宗燈史이다. 傳燈이란 하나의 燈(스승)에서 또 다른 하나의 등(제자) 으로 끊임없이 이어져 傳承된다는 의미이다.
이 책은 과거 7佛과 인도의 28祖와 중국의 初祖 菩提達摩와 그 후대로 면면히 이어지는 五家 52世 1701人의 禪匠들을 師資相承의 차례에 따라 열거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俗姓, 家系, 出生地, 수행경력, 주석한곳, 入寂, 世壽, 諡號 등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는 禪宗傳燈史인 것이다.
일찍이 『傳法寶紀』․『楞伽師資記』․『歷代法寶記』․『寶林傳』․『祖堂集』등 종래의 燈史가 있었지만 이를 종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집대성 하였을 뿐만 아니라 諸方의 禪師들의 言論 및 賛頌詩歌까지도 수록한 것이 『景德傳燈錄』이다. 景德이라는 年號가 책이름 앞에 붙은 것은 著者 道原이 이 책을 편찬한 후 眞宗황제에게 바쳤기 때문이다.
眞宗은 이 책을 揚億등 文人들에게 교정토록 하여 大藏經에 편입하여 유통시켰다. 그러므로 『景德傳燈錄』은 宋代, 元代, 明代에 걸쳐 크게 유행하여 교계 및 문단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0세기의 중국은 唐에서 五代, 宋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사회 전 분야에서 변동이 일어나는 시기였다. 禪은 이러한 시기에 전란이 미치지 않은 양자강 이남에서 公案禪이라는 새로운 五家의 가풍을 형성하여 줄기가 힘차게 뻗어 갔으며 그 과정에서 등장하는 수많은 禪僧들의 問答과 행적들이 알알이 선불교의 지침이 되었다.
그들의 語錄은 그 언어가 질박하고 사실적이며 생소하거나 이해하기 어렵지 않아서 위로는 통치자에서 아래로는 평민에 까지 모두 받아들일 수 있는 당시의 口語였다. 선종어록의 저술은 禪學을 널리 보급하는데 있기 때문에 이를 체득하려면 당시의 언어습관을 알아야 할 것이다.
언어학상 선종어록에 부여되는 가치는 佛學사상의 가치와는 자못 다르다. 현대인들이 晩唐․宋代의 언어를 이해하고자 할 때 선종어록의 공헌은 상당하리라고 본다.
唐宋代의 口語는 近代 漢語의 전반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선종어록이 중국의 語彙學, 語法學, 音韻學 연구에 중요한 대상으로 부각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보았다.
偈頌과 中國詩歌의 형식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偈頌은 초기에는 古代 中國韻文의 정통이라고 할 수 있는 『詩經』의 형식을 따랐겠지만, 漢魏朝의 中古時期에는 古體詩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唐代에는 당시 유행하던 近體詩의 영향을 받아 그것의 형식을 따랐을 것이고, 宋代에는 當時에 유행하던 詞에 이르기까지 영향․계승 관계가 성립된다고 할 수 있다.
『景德傳燈錄』에서는 선사들의 偈頌을 "偈曰", "頌曰" 또는 "偈頌曰" 그리고 16여수에는 "詩曰"이라고 區分하여 기록하고 있다. 이는 當時에 유행하던 近體詩의 형식을 따른 것을 "詩曰"이라고 하였을 것이며, 近體詩의 형식을 벗어난 것을 偈曰, 頌曰, 偈頌曰이라고 하였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므로 오늘날 偈頌이 4언, 5언 및 7언으로 되어 있어 中國詩歌와 유사하다 하여 4언, 5언 그리고 7언 등 숫자만 맞추어 偈頌을 짓는다면 偈頌이 되는 것이 아니다. 전혀 형식이나 운율이 맞지 않는다면 이미 좋은 偈頌이 될 수 없는 것이다.
達摩로부터 비롯된 中國禪의 역사는 『楞伽經』의 사상에 근원을 두고 시작되어 慧可․僧璨․道信․弘忍 등의 다섯 祖師를 거쳐 중국적인 선풍을 확립했다. 이들은 不立文字, 敎外別傳을 특색으로 하여 直指人心, 見性成佛을 종지로 삼았다. 五祖 弘忍의 뒤를 이어 神秀와 慧能이 漸修와 頓悟를 들고 나오면서 북종선과 남종선의 구분이 있게 된다. 이어서 師資相承을 특색으로 하는 潙仰․臨濟․曹洞 등 五家七宗을 비롯한 수많은 종파가 唐代를 대표하며 중국선종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宋代로 들어오면서 1700公案으로 대표되는 公案禪이 유행했으며 수많은 禪語錄과 함께 偈頌詩歌가 이루어졌다. 偈頌이 왕성하게 일어난 것은 石頭門下에서이다. 그리고 동시에 馬祖門下에서도 일어나기 시작하여 禪門偈頌이 폭넓게 형성되면서 각각의 風格을 이루게 된다. 이들 개개의 풍격으로 본다면 潙仰은 謹嚴, 臨濟는 痛快, 曹洞은 細密, 雲門은 高古, 法眼은 詳明함을 보이고 있는 것이 偈頌을 통해 본 五家 禪思想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JingDeChuanDengLu(景德傳燈錄)』is a chronicle of Zen or Chn Buddhism authored by DaoYuan(道原) who lived under the reins of the Emperor ZhenZong(眞宗) of the Song dynasty in northern China (1004). 'ChuanDeng' ('Record of the Transmission of the Lamp'), refers to the meaning of endless transmissions of Chn Buddihist gongansor Zen's koans (a story, dialog, question, or statement in the history and lore of Chn (Zen) Buddhism) by passing them through one lamp (a master) to another lamp (a disciple).
This book listed 1,701 Chn gurus through 52 generations over 5 patriarch's halls to include: 7 Buddhas, 28 ancestors from India, and Bohidharma, the founder of the Chinese Chn, reaching the later posterity by enumerating them from a master to a disciple. It is a historic record of Chn that detailed their secular names, genealogies, birth places, pursuit of asceticism, places where they stayed, their attainments of Nirvana, ages, and pen names.
There existed earlier versions of records to include 『ChuanFaBaoJi(傳法寶紀)』,『LengJiaShiZiJi(楞伽師資記)』,『LiDaiFaBaoJi(歷代法寶記)』,『BaoLinZhuan(寶林傳)』,『ZuTangJi(祖堂集)』, and so on. However, the 『JingDeChuanDengLu』is the one that systematically compiled all of them in a comprehensive manner and became the ultimate version of compilationas it also contains the great teachers' essays and hymnal poems. The name of dynastic calendar year, JingDe, was used as the prefix of the book's title because the author dedicated it to the Emperor ZhenZong.
The Emperor made YangYi(楊億) and other literates proofread the book and circulated it by including in the DaZangJing(大藏經) or tripitaka collection.Accordingly, 『JingDeChuanDengLu』became widely popular and largely influenced in the Chn sector and literary circles throughout the eras of Song, Yuan, and Ming dynasties.
China in the tenth century is the transitional period passing from Tang dynasty through the era of Five Dynasties followed by Song dynasty. Hence, Chn flourishedin the southern part of the YangZi River, where the disturbance of war could not reach, by shaping up a new patriarchal tradition of five families, which is gongan Chn (or koan Zen). There emerged Chn dialogues that led the way among numerous Chn monks and their life achievements, which became the guidelines for the Chn Buddhism.
Their analects, YuLu(語錄) were described in a simple and realistic colloquial language of those days as to be easily accepted by both the ruler and the plebeian, and they were far from unfamiliar or difficult to practice. Since the purpose of writing Chn analects was to widely propagate the dogmatism of Chn Buddhism, it is necessary to know about those days'oral customs in order to comprehend them.
The value assigned to Chn analects quite differs from the value assigned to the philosophy of Buddhism. Chn analects should greatly contribute to help the moderns understand the languages used in the eras of Tang and Song dynasties.
The colloquial language used in the eras of Tang and Song corresponds to the forepart of the modernChinese expression. Accordingly, the paper focuses on the emerging importance of Chn analects as a research object for lexicology, grammar, and phonology. The study on Buddhistic hymns and Chinese poems in terms of format composition reveals that the hymns initially followed the format of the 『Shi Jing(詩經)』, the oldest collection of Chinese poetry and the orthodoxy of ancient Chinese metrical composition. However, they should hav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style poem, 'GuTiShi(古體詩)' in early medieval times, South and North Dynasties of Han and Wei, while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the modern style poems, 'JinTiShi(近體詩)' that were popular in the Tang dynasty. Then, the lyric poetry, Ci(詞), that prevailed in Song dynasty existed to influence them, as well. Hence,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and succession could berecognized.
In『JingDeChuanDengLu』, the masters distinguished the recorded Buddhistic hymns by using "JiYue(偈曰)", "SongYue(頌曰)", or "JiSongYue(偈頌曰)" in some of them and "ShiYue(詩曰)" in 10 or more pieces. The "ShiYue" was probably used for the hymns that followed the form of 'JinTiShi', a popular formatat that time while using "JiYue", "SongYue", or "JiSongYue" for those that did not follow the form of 'JinTiShi'.
Although the contemporary JiSong(偈頌), a poetic expression of Buddhistic teaching, are composed of 4 or 5 or 7 Chinese characters, which is similar to the Chinese lyric poetry, just matching the rule does not make them a true JiSong. If the composition ignores a certain format and rhythm, it cannot qualify to become a good JiSong.
Author(s)
김종식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44
Alternative Author(s)
Kim, Jong-Si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Advisor
안재철
Table Of Contents
Ⅰ. 序論 = 1
1. 硏究目的 = 1
2. 硏究方法 및 範圍 = 6
Ⅱ. 『景德傳燈錄』의 成立과 內容 = 9
1. 作者 = 10
2. 成立背景과 過程 = 18
3. 編纂資料 = 40
4. 體制와 內容 = 53
5. 板本과 流通 = 66
Ⅲ. 『景德傳燈錄』偈頌의 詩歌形式 = 79
1. 中國詩歌의 變遷 = 79
1) 先秦詩歌 = 79
2) 唐以前의 古體詩 = 82
3) 唐以後의 近體詩 = 89
4) 宋詞 = 95
2. 偈頌 槪說 = 98
1) 淵源 = 98
2) 風格 = 104
3. 『景德傳燈錄』 偈頌의 形式 = 128
1) 近體詩의 形式과 類似한 偈頌 = 129
2) 近體詩의 形式과 相異한 偈頌 = 143
3) 近體詩의 形式과 一致하는 詩 = 151
Ⅳ. 『景德傳燈錄』偈頌의 禪思想 = 157
1. 達摩의 禪思想과 中國禪의 展開 = 157
1) 達摩의 禪思想 = 159
2) 中國禪의 展開 = 170
2. 五家의 禪思想 = 174
1) 潙仰宗(方圓黙契․體用雙彰)292) = 174
2) 臨濟宗(機鋒峻烈․五逆聞雷)336) = 186
3) 曹洞宗(綿密回互․妙用親切)363) = 197
4) 雲門宗(紅旗閃爍․孤危險峻)390) = 205
5) 法眼宗(聞聲悟道․見色明心)413) = 214
Ⅴ. 結論 = 223
參考文獻 = 229
ABSTRACT = 238
附錄 = 241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종식. (2007). 景德傳燈錄 偈頌의 詩歌形式과 禪思想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