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의 체형만족도에 따른 영양지식, 식습관 및 체중조절 실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Weight Control Attitude by Students' Body Image Satisfaction at High School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실태와 영양지식, 식습관 관련요인들을 조사·분석함으로써 고등학생들이 바람직한 체형 인식의 중요성을 깨닫고 학교현장에서 실천적인 체중조절 관련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고등학생 529명을 대상으로 2008년 1월 14일부터 1월 18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Program(Ver. 1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t-test, χ2-test, ANOVA(Dunca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BMI는 남녀 모두 정상 수준에 속하였으며, 체중군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정상체중군이 59.4%였으나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저체중군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둘째, 본인의 현재 체형 인식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좀 더 살찐 체형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남녀 모두 비만일수록, 체형만족도가 낮을수록 스스로 살쪘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체형인식에 있어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마른 체형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남학생은 체중군별 차이가 없었으나 여학생은 비만일수록 마른체형을 선호했다.
셋째, 체형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비만일수록 체형만족도가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체형만족도가 낮을수록 남녀 모두 스스로 살쪘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체중조절관심도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비만일수록, 체형만족도가 낮을수록 남녀 모두 체중조절관심도가 유의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체중조절 시도 경험과 체중감량경험에 있어서도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고, 체형만족도가 낮을수록 남녀 모두 체중조절시도 경험이 유의적으로 많게 나타났다.
여섯째, 영양지식 점수는 성별, BMI, 체형만족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일곱째, 식이섭취태도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체형만족도에 따른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여덟째, EAT-26점수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EAT-26의 점수가 20점 이상 되는 섭식장애 대상자도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많았다. 체형만족도가 낮을수록 남녀 모두 EAT-26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20점 이상 되는 대상자도 유의적으로 많게 나타났다.
아홉째, 체중조절관심도와 BMI, 섭식장애, 영양지식과 식이섭취태도, 식이섭취태도와 체중조절관심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체형만족도와 BMI, 체중조절관심도, 섭식장애정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조사대상자의 성별 등의 일반사항 및 체형만족도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영양지식 점수가 식이섭취태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바, 올바른 신체상을 정립시켜 체형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단순 영양지식의 제공이 아닌 식행동 변화까지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영양 교육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body image perception, weight control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by the students' body image satisfaction and (b) provide th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of weight control at high school in Jeju, Korea. The subjects included 529(78%)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and they were surveyed from January 14 to 18, 2008.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OVA(Duncan's multiple comparis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hes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MI of all respondents including boys and girls were in the normal range. In aspect of weight distribution, a group of normal weight showed 59.4% but a rate of girls' low body weight group was higher than boys' significantly.
Second, boys had more body image satisfaction than girls and the more obese they were, the more body image satisfaction they did significantly.
Third, more girl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more fat than boys, and this tendency was deepened as they were more obese and more dissatisfied with body image. More girls recognized thin shape as ideal shape than boys and they who were more fat preferred thin shape.
Forth, girls were more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than boys. Both boys and girls were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as they were more obese and less satisfied with their shape, significantly.
Fifth, More girls had weight control and reduction experience than boys, significantly. Both boys and girls had more weight control experience as they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significantly.
Sixth, nutrition knowledge score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BMI and body image satisfaction.
Seventh, the dietary attitude scores was more higher in girls than boys, significantly. However, the attitude scores of eat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satisfaction with body image.
Eighth, EAT-26 scores was more higher in boys than girls, significantly. Both boys and girls who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had high EAT-26 scores and many of them did a score of 20 or above, significantly.
Ninth, subjects'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weight control concern and food ingestion disorder. Also, nutrition knowledg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dietary attitude and food ingestion disorder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body image satisfaction.

In conclusion, nutrition knowledge scor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body shape satisfaction but nutrition knowledge score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dietary attitu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educate systematic nutrition program that can induce changes in dietary behavior, not only provide simple nutrition knowledge. so that may raise body shape satisfaction by establishing accurate perception of body image.
Author(s)
左惠眞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39
Alternative Author(s)
Jwa, Hea-Ji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蔡仁淑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4
1. 체형만족도 4
2. 영양지식 및 식습관 6
3. 섭식장애 7

Ⅲ. 연구 방법 9
1. 조사대상 및 방법 9
2. 조사내용 9
3. 자료의 통계처리 12

Ⅳ. 연구결과 및 고찰 13
1. 일반사항 및 체격실태 13
1) 일반사항 13
1) 체격실태 15
2. 체형인식도 및 체형만족도 17
1) 성별 및 체질량지수(BMI)군에 따른 체형인식도 17
2) 성별 및 체질량지수(BMI)군에 따른 체형만족도 19
3) 체형만족도에 따른 체질량지수(BMI) 비교 21
4) 체형만족도에 따른 체형인식 23
3. 체중조절관심도 및 체중조절실태 25
1) 체중조절관심도 25
2) 체중조절실태 30
4. 영양지식 39
1) 성별에 따른 영양지식 39
2)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영양지식 41
3) 체형만족도에 따른 영양지식 43
5. 식습관 45
1) 식사 횟수 및 식사형태 45
2) 식사시간과 식사습관 47
3) 간식습관 49
4) 식이섭취태도 51
5) 체형만족도에 따른 식습관 53
6. 섭식장애정도 64
1) 이상식행동 점수(Eating Attitude Test-26) 64
2) 섭식장애군 분포 65
3) 체형만족도에 따른 섭식장애정도 66
7. 각 요인별 상관관계분석 70

Ⅴ. 결론 및 제언 72

참고문헌 75
부록 83
Abstract 9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左惠眞. (2008). 고등학생의 체형만족도에 따른 영양지식, 식습관 및 체중조절 실태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