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高齡者를 위한 中間施設의 空間的 特性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bstract
최근 정부에서는 공적노인장기요양보호에 대한 제도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시설적인 측면에서도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이 다양화와 지역사회보호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시설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을 갖는 노인들에게 필요한 의료와 일상생활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다시 지역사회에 복귀시킬 수 있는 이른바 중간시설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중간시설의 시설 공급에 있어서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서비스가 효율적, 전문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되기 위한 물리적 환경과 건축계획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중간시설이 부재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중간시설의 설치 및 운영을 오랫동안 해오고 있는 일본의 노인보건시설에 대한 연구 분석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면분석을 근거로 노인보건시설의 내부공간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공간특성의 유사성을 통해 시설의 유형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중간시설 계획 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으로는 첫째 국내외 문헌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중간시설과 중간시설로써의 일본 노인보건시설의 개념에 대해서 정리하고 둘째, 노인보건시설의 사례조사 및 시설의 분석을 통해 공간구성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노인보건시설의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출하여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유형별 시설외적환경요인의 특성에 관해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입소자의 입?퇴소의 특성을 유형별로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인보건시설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체공간과 부문별 공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건물형태, 부분별 조합형태, 복도형태를 통해 전체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부분별로는 요양실의 복도형태, 복도결합형태, 공용공간의 공간구성, 서비스스테이션의 결합형태, 재택서비스공간의 공간구성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보건시설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진찰실과 리허빌리테이션실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이 내용은 다음 연구과정에서 시설의 유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게 된다.
2) 분석지표 선정과정과 요인분석을 통하여 조사대상시설의 유형화하는데 가장 영향력을 끼치는 요인으로 복도형태, 재택서비스공간구성, 서비스스테이션 결합형태와 요양실 복도형태를 도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요인의 성격을 종합해보면 거주단위, 개호단위와 전체시설을 단계적으로 구성하는 방식과 주간보호자를 위한 재택서비스공간의 공간구성 형태가 시설을 유형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중간시설에서 공간을 계획하는데 입소자의 생활공간의 중심에서 확대하여 계층적으로 공간을 배치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3)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4가지 요인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 5개의 유형으로 시설을 분류하였다. 「유형Ⅰ」에는 전체 79개 시설에서 27.8%에 해당하는 22개 시설이 포함되어 있으며, 「유형Ⅱ」에는 전체시설에서 15.2%인 12개 시설이 이에 해당된다. 「유형Ⅲ」은 전체시설에서 19.0%에 해당하는 15개 시설,「유형Ⅳ」에는 전체시설의 32.9%로 가장 많은 26개 시설 그리고 「유형Ⅴ」에는 전체시설의 5.1%인 4개 시설이 이에 해당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분류된 각 시설의 공간구성을 제시하였다.
4) 입소자의 입?퇴소 장소 특성은 가정 복귀를 주요 기능으로 하여 병원에서 가정 혹은 사회복지시설 로 이동하는 입소자보다 가정에서 가정, 병원에서 병원으로 이동하는 입소자보다 많았다. 이것은 일본 노인보건시설이 주요기능인 가정 복귀의 주요 기능이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있으며 실상으로는 복귀의 기능 보다 리허빌리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더욱 중점으로 두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중간시설을 설치하게 될 경우 자립도가 높은 대상으로 가정복귀이 기능까지 포함하면서 기능훈련을 중심으로 하는 단기입소의 위주의 시설이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하여 일본 노인보건시설의 공간적 특성과 시설의 유형을 분류하여 중간시설의 건축계획적 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국내에서 발생될 노인보건정책과 시설체계의 기준 및 건축계획 시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Recently the government in The Republic of South Korea is about to enforce korean long term-nursing care system for the elderly and we are able to predict to change many changes in diversified fields. Besides this tendency, in the side of the facilities, the function of an elderly care facility and community care services which can support a new facility have been demanded. This requirement shows that the elderly ,who have lived in a local area with chronic illness, should been offered a necessary medical service and a daily services so necessity for intermediat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ould be recognised.
Therefore ,in supplies of intermediat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guidelines on the architecture plan are needed as well as the side of quantity in order that the service is supplied efficiently and professionally. However, because there is a lack of intermediat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study focuses on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japan where the japanese has builded and maintained them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blue prints and the similarities among them , I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inside space in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draw the patterns of the facilities so near the future from now on the aim in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materials when a plan of intermediat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s appli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ble to be summarized below.
1)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in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whole space and the sectional space were divided and analysed. According to a building form , a sectional association pattern and a pattern of corridor, I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space and ,in parts, a pattern of corridor, an associated pattern of corridor, a space organization of public space, an associated pattern of service-station and an space organization of home service were divided and analysed. Additionally the position in the consultation room to be in service of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rehabilitation room were analysed. That content was used for the basic factor in classification of patterns in the facilities in the process of study.
2) According to the process of selecting index and factor analysi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ubject of facility to be surveyed, are a pattern of corridor, an space organization of home service, an associated pattern of service-station and a pattern of corridor of a rest room. When I synthesized the character of the factors through analysing them, the residing units, the nursing units, the method to compose an whole facility gradually and the space organization of home service for daycare user is important factors so it should be considered to extend daily space of daily space of residents in order to plan the space in intermediate facilities for the elderly.
3) With the four factors through analysing index, I put the cluster analysis in operation. At last the five patterns were extracted. 「Pattern Ⅰ」is the consultation room and this pattern of corridor are single corridor and impartial pattern. The service-station is in the middle of impartiality. 「Pattern Ⅱ」 is almost as same as 「Pattern Ⅰ」and connected to the pattern of connection in the middle of corridor. 「Pattern Ⅲ」 is that this pattern of corridor is located in the service-station mixed pattern. 「Pattern Ⅳ」 is that the consultation room and the pattern of corridor are the patterns of double corridor and enlightened corridor and the service-sta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of corridor. 「Pattern Ⅴ」 is that the consultation room and the pattern of corridor are the patterns of single corridor and enlightened corridor and the associated pattern of service-station is the pattern of the others. As I study the characteristic of space organization of home service, 「Pattern Ⅱ」 and 「Pattern Ⅴ」 are the pattern of dispersal, but the service of space of home service are concentrated in the rest of low floor.
4)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entrance and exit for residents is aim to return home the residents who go to home or social welfare institution are fewer than the other residents who go from home to home or from hospital to hospital. There is upward trend towards using the facilities for a shot time because most residents stay under six months and the resident's self-independent rank is hardly high. It is certain that the main function of the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japan has rarely influenced and ,in effect, supporting the service in rehabilit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function of a return. If we build the intermediat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t is decided that the facilities to contain the function of a return to home and consider a short term especially for function exercise is efficient.
To sum up, I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in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patterns of facilities so suggested the materials of the architectural plan. In the near futur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standard of the health system for the elderly in the interior and the system of this facilities and the important materials of the building project.
Author(s)
김수이아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89
Alternative Author(s)
Kim, Sui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김태일
Table Of Contents
제1장 序論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 연구의 배경 = 1
2) 연구의 목적 =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1) 연구의 범위 = 3
2) 연구의 방법 = 4
3. 선행연구 고찰 = 7
제2장 理論的 考察 = 12
1. 중간시설의 개념 = 12
1) 중간요양과 중간시설의 정의 = 12
2) 중간시설의 유형 = 14
3) 중간시설의 필요성 = 15
2. 중간시설로서 일본 노인보건시설의 개념 = 17
1) 노인보건시설의 등장배경 = 17
2) 노인보건시설의 정의 = 19
3) 노인보건시설의 기능과 기준 = 24
3. 일본 노인보건시설의 공간구성 = 29
1) 노인보건시설의 공간구성 = 29
2) 각 부문별 공간의 특징 = 31
제3장 日本 老人保健施設의 事例調査 및 空間特性 分析 = 36
1. 조사대상시설의 개요 = 36
1) 조사대상시설의 선정기준 = 36
2) 조사대상시설의 일반적 특성 = 40
2. 공간의 기능 및 구성 현황 = 45
1) 전체 공간구성 = 45
2) 부문별 공간구성 = 52
제4장 日本 老人保健施設의 類型別 空間構成 特性 = 65
1. 조사대상시설의 유형분류 = 65
1) 분석방법 = 65
2) 분석지표의 선정과 요인분석 = 67
3) 군집분석방법을 이용한 유형분류 = 72
2. 유형별 공간구성특성 분석 = 75
1) 유형별 기본 특성 = 77
2) 유형별 공간구성 특성 = 78
3) 유형별 외적환경요인 특성 = 85
3. 입소자의 입·퇴소 특성 분석 = 90
1) 입소자의 일반적 특성 = 91
2) 유형별 입소자의 입·퇴소 특성 = 92
제5장 結論 = 96
參考文獻 = 99
Abstract = 10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수이아. (2007). 高齡者를 위한 中間施設의 空間的 特性에 관한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Architectural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