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교육에 관한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rt Education Based Public Arts : Focus on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Abstract
우리 생활 주변에는 다양한 형태의 공공미술이 존재한다. 도시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만들기 위해 건물 앞에 놓은 조각이나 외벽에 그린 벽화, 공원의 조형물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모두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공미술품이다. 공공미술의 개념이 정립된 것은 40여년 남짓이며, 짧은 역사 탓인지 공공미술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시민들에게 이해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교육되어진 적이 거의 없다. 이로 인해 우리는 아무리 작품성 높은 공공미술이 주위에 있더라도 건축물의 부속물로 여겨 무심코 스쳐지나가게 되며, 미술관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독특한 가치를 지닌 풍부한 문화예술을 향유 할 기회를 놓치고 마는 것이다.
오늘날의 공공미술은 공공성의 유행과 맞물려 최대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공공미술의 기능과 역할을 최대한 살리고, 미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그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올바른 안목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올바른 의식과 안목은 어릴 때부터 주어지는 환경으로부터 자연스럽게 길러지는 것이므로 공공미술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 미술교육에서는 공공미술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우선 공공미술과 도시환경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도시환경에서의 공공미술의 필요성 및 교육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타당성을 마련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거주하고 있는 제주의 공공미술 현황을 조사하고, 도민 200명을 대상으로 공공미술에 대한 인식과 교육 흥미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통해 공공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지도안 구성에 앞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공미술에 효과적인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자 2009 개정 교육과정 연구시범중인 제주도내 3개중학교의 미술교과서의 공공미술부분을 분석하였다.
앞서 연구한 과정을 통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공공미술에 대해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 하였으며, 이에 알맞은 교수학습지도안 및 학습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그 동안 스쳐지나갔던 가까이 있는 공공미술에 대해 새로운 눈으로 볼 수 있는 안목과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단순 작품 감상활동에서 벗어나 일상적으로 친숙해 있는 공공미술작품의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생활 속 미술에 대해 흥미를 느끼도록 하여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공공미술의 감상비평학습을 통해 올바른 미적의식을 키움은 물론, 도시환경과 지역사회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러나 공공미술을 활용한 교육이 실제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직 미술교사들의 실천이 중요하며, 다양한 프로그램 및 자료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거나 제작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된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We have different forms of art people witness in public today. Displaying a piece of painting or an unusual object near a public building is considered a way of expressing one's art. History of public art is not as ancient as other arts such as paintings or sculptures. With only approximately 40 years of short background, it is not taught formally in public schools for students and for adults, not many books are available about public arts today. It is unfortunate that there are many objections and debates among people and how truly valued public arts are not credited as ones' image because of our lack of knowledge on public art. In art galleries, people miss opportunity to enjoy the beauty behind ones' famous arts because they simply don't know. They are just considered a bunch of objects displayed for people to see because they look unusual.
It is necessary to co-exist public art and pop trend together with support of people. More vital roles are needed to announce in general art and strong emphasis on importance of it are must to improve perception of people on public art today. In addition, public education should mandate public art classes just as important as science or math classes. To support this proposal, we surveyed in many different ways from attitude and interest of 200 local people on public art to three middle schools that are teaching public art in a class temporarily as an experiment to examine how much students enjoy learning it.
Although the attitude and perception of many people toward public art consider vague as true art the goal is to discover the true value and beauty of public art. It shouldn't just be a simple art people see and forget next day but rather inspire by one's public art and pay as much respect as other known arts today such as paintings or sculptures.
Author(s)
김다남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49
Alternative Author(s)
Kim, Da-Na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김방희
Table Of Contents
목 차


i

Ⅰ. 서 론 1

Ⅱ. 공공미술의 이론적 배경 3
1. 공공미술의 개념 3
2. 공공미술의 전개 4
3. 공공미술의 유형 8
4. 도시환경과 공공미술 21
5. 공공미술의 교육적 가치 23

Ⅲ. 제주지역의 공공미술 현황 및 인식도조사 분석 25
1. 제주지역의 공공미술 현황 25
2. 제주지역의 공공미술 인식설문조사결과분석 34

Ⅳ. 공공미술과 미술교육의 연계 40
1.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중등 미술교육 40
2.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공공미술 내용분석 41
3. 공공미술 지도 계획 45

Ⅴ.결 론 56
참고문헌 59
ABSTRACT 63
부록 6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다남. (2010).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교육에 관한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