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국내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특성과 번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of "Bomul", a Domestically Cultivated Camellia Cultivar
Abstract
본 연구는 지금까지 동백 엽예품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고 특히 번식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품종보존 및 자생화훼류 또는 고부가 자원식물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학술적 기초자료 및 상업적 대량번식방법을 찾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성조사 및 실험에 이용한 공시품종은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일반동백과 국내 품종등록(품종보호제1680호) 및 일본에 식물품종등록출원(제22093호)을 한 동백 "보물"을 이용하였다.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에 대한 형태적 특성, 양적형질특성 및 번식방법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은 분지성이 많고 왜화성이 강해 착화수가 많으며 분화용 엽예품 및 조경수로써 가치가 높다.
2. 동백 "보물"은 잎, 꽃받침의 중투무늬 및 열매의 줄무늬가 있어 사계절 감상할 수 있는 최고의 동백품종이다.
3. 대량번식할 수 있는 번식방법으로는 기접 또는 절접에 의한 접목방법으로 대목 또는 환경요인에 영향없이 60%이상의 활착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대량생산번식 방법을 찾아내어 산업화 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노력이 성공적으로 결실을 맺는다면 자생식물의 보존과 이용에 커다란 발전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생식물을 이용한 산업의 전망을 밝게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to establish a commercial mass-propagation method of leaf-variegated camellia cultivars and to provide academic data. These data can be used for preserving the native cultivar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native floral crops as useful genetic resources. Lack of precedent studies on this subject contributes to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Tested cultivars used for characteristics observation and experiments are the native ones of Jeju Island and the cultivar "Bomul", which has been registered as Cultivar Preservation No. 1680 in Korea and applied for the cultivar registration (App. No. 22093) in Japan.
The reasons for the choice of Bomul are as follows;
1. Bomul, a domestically developed camellia cultivar, is excellent in Branching habit and dwarfness and abounds in flower buds, and therefore has a high esthetic value as a potted variegated cultivar or an ornamental plant.
2. Bomul can be dearly appreciated at all seasons for the variegated pattern in its leaves and sepals, and the stripes in its fruits.
3. Its mass-propagation is possible through approach grafting or veneer grafting. Statistics show that more than 60% of grafts have survived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stock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out a method to mass-propagate and "Bomul", a camellia cultivar and industrializing it.
This attempt, if its goal is successfully attained, will lead to a tangible progress in preserving and utilizing native camellia cultivars and brighten up the prospect of the industry founded on their propagation.
Author(s)
한옥상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943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원예학과
Advisor
소인섭
Table Of Contents
Summury 1
Ⅰ. 서언 3
Ⅱ. 연구사 5
Ⅲ. 재료 및 방법 8
1.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특성조사 8
2.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번식 8
3.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특성 통계분석 14
Ⅳ. 결과 및 고찰 15
1.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특성조사 15
1) 형태적 특성 15
2) 양적 형질 특성 24
2.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번식방법 24
3.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특성 통계분석 26
Ⅴ. 초록 27
Ⅵ. 참고문헌 28
Ⅶ. APPENDIX 31
1. 국내 동백 엽예품의 현황 31
2. 동백 "보물"의 양적형질 T-검정 34
3. 국내 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특성조사 3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한옥상. (2010). 국내육성품종 동백 "보물"의 특성과 번식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orticul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