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근본적 생태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ritical Analysis of Radical Ecophilosophy : Focusingon Deep Ecology,Social Ecology, and Ecofeminism
Abstract
오늘날 인류사회가 직면한 생태위기는 이제 전 지구적인 공동 현안이 되었다. 당면한 생태위기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요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생태 위기 극복을 위한 다양한 철학적 사조들이 등장하였다. 생태위기가 생태철학의 모태가 된 것이다. 이들 중에는 기존의 지배적 세계관을 정면 부정하는 급진적 경향을 띤 근본적 생태철학이 있다. 이른바 심층생태주의, 사회생태주의, 생태여성주의가 그것이다. 그 각각의 이론들은 나름대로 독특한 관점과 분석을 내놓으면서 지금 인류가 직면한 생태위기에 대한 새로운 성찰의 계기를 제공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다른 한편 그 자체의 이론적 한계와 이론의 현실적 적용에 많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심층생태주의는 사람이든 자연이든 지배받는 대상이 아니라 자유롭고 주체적인 자연과 함께 구성되는 존재로 바라보면서,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생태위기는 자연을 통제하려는 인간 중심적 세계관의 산물로 본다. 드볼과 세션은 그 대안으로 심층생태주의의 8개항을 실천 강령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심층생태주의는 이후 또 다른 근본적 생태철학의 유형들인 사회생태주의와 생태여성주의의 태동에 밑거름이 된다.
그러나 심층생태주의는 인간과 자연의 억압적 관계만을 부각시키는 탓에 생태위기를 불러온 사회구조, 예를 들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성장과 팽창 일변도의 권력구조, 가부장적 문화 등 인간사회 내에 존재하는 억압구조에 대한 문제의식이 소홀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현실 사회구조의 모순에 대한 문제의식이 결여된 심층생태주의는 생태위기 문제를 사회적 차원에서 해결하는 구체적인 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심층생태주의는 인간이 자연에 행하는 파괴적 기능만을 강조하다보니 자연계 속에서 인간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특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 다른 생명체와는 달리 인간이 갖고 있는 가장 독특한 특징은 생각하는 동물이라는 것이다. 생각은 창조를 낳고 창조적 산물로서 문화와 문명은 일면 자연을 파괴하고 인간을 억압한 측면이 있지만, 다른 한편 인간이 자연에 순응하고 극복하는 과정의 하나이기도 한 것이다. 심층생태주의가 인정하는 것처럼 인간도 자연의 한 부분이라면 인간이 스스로 자연에 적응하려는 노력과 그 노력의 산물에 대해 전면 부정하는 것은 자기모순이다. 이러한 자기모순 때문에 심층생태주의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오만을 질책하는 것에 대해서 커다란 지적 자극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생태위기를 해결하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는 없다.
사회생태주의는 오늘날 생태위기 문제를 사회문제에서 기인한 것으로 본다. 특히 인간이 인간을 지배하고 억압하는 사회 위계구조에서 시작된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생태위기의 극복은 사회 모든 영역에 확장되어온 모든 사회적 위계질서의 해체라고 주장한다.
사회생태주의는 심층생태주의와는 달리 인간 이성의 역할을 강조한다. 데카르트 이후의 자연 지배적인 이성이 아닌, 인간의 이성에 의해서 훼손된 생태를 회복시킬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생태주의의 특징 중에 하나는 자연도 인간과 동등한 자유의지적 존재로 보는 것이다. 이로써 인간 중심적 세계관에서 생태 중심적 세계관과 윤리, 생태 친화적인 새로운 경제 질서를 제시한다. 그러나 북친이 자연에게 부여한 자유의지적 자연 진화의 속성은 인간의 자유의지적 진화의 속성과 동일하지 않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우주적 생태계 안에서 인간만이 가장 독특한 이성적 존재로 살아가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객관적 현실이다. 그러므로 북친이 인간과 인간의 문화를 자연의 이차적 존재로 규정하여 과도하게 자연의 파생물로 규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회생태주의는 현질서의 해체와 새로운 생태사회의 건설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경로나 근거를 제시하지 않음으로써 이상주의적인 논변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또한 사회생태주의는 동양사상을 곧바로 비합리적 신비주의로 단정하는 섣부른 선입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자연 생태계의 변화, 특히 비가역적 생태계 파괴의 현실을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 때문에 북친의 사회생태주의는 인간의 능력에 대한 과도한 평가를 하고 있고 생태계 복원에 대한 낭만적 관점의 소유자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생태여성주의는 남성에 의한 여성지배가 인간에 의한 자연 지배로 이어지고 있다고 점을 강조한다. 무엇보다도 성차별이 모든 계급 제도와 인간 착취의 근원이며 나아가 자연 착취의 근원이라고 진단한다. 오늘날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생태위기가 인간에 의한 인간의 지배에서 기인할 뿐 아니라 남성의 여성지배(가부장제)를 통해 강화되고 촉진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생태위기의 본질을 기존의 지배질서가 낳은 산물로 본다는 점에서는 심층생태주의나 사회생태주의와 동일한 관점을 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공생을 주장하는 생태주의는 여성들의 경험에서 나오는 보살핌과 길러냄 윤리와 결합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는 가부장제를 거부하는 것만이 지구를 살릴 수 있는 첩경이라고 주장을 하는 더 급진적인 부류가 있다.
한편 생태여성주의는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평등과 조화를 추구함에 있어 새로운 사유의 틀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러나 고대 여성신화의 추종이라는 신비주의와 남성 전체를 적대시하는 지나치게 여성 중심적이고 단순화된 이분법적 사고방식도 보이는데 이러한 관점은 생태위기나 여성 억압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나 방법을 제시할 수 없다.
생태여성주의가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는 이유는 다른 데 있다. 생태여성주의가 그간의 역사적 여성주의 운동의 전통 속에 심층생태주의와 사회생태주의 영향을 받아 등장한 만큼 이론과 사상의 정교한 체계보다는 여성주의운동의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 대립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여성주의 운동이든 생태여성주의 이념이든 이들이 주장하는 새로운 세계관과 대안이 현실성을 갖기 위해서는 여성 이외의 주체, 즉 남성과 사회적 약자들과의 운동적 연대 이상의 현실적 이념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근본적 생태철학은 생태위기의 근원을 인간 중심적 주류 세계관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과 문명의 이기나 문화에 대하여 정면으로 등을 돌리려 한다는 면에서는 모두 동일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태위기의 진단과 해법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로 들어가면 서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근본생태철학이 생태위기 진단과 대안 모색에 너무 성급하고 단조롭게 현실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데 기인한다. 근본적 생태철학의 이러한 극단적인 관점은 곧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현실성이나 구체적 실행 전략은 제시하지 못하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이 된다.
끝으로 생태위기 문제에 대한 철학적인 물음에 급진적인 대안을 내놓고 있는 소위 근본적 생태철학, 즉 심층생태주의, 사회생태주의, 생태여성주의는 각각 이론상의 한계와 현실적 실천 대안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자연에 대한 새로운 가치 부여와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생태적 삶을 추구하는 길을 열어 가는데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더욱이 근본적 생태철학은 개량주의적 환경론에 대하여 자기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고, 환경운동의 심화에도 기여함으로써 생태위기를 해결하는 데 한몫을 하고 있다.
These days we are faced with serious ecological dangers, such as global warming, constant reduction of species, and soil and underground water pollution. These ecological dangers demand human beings to have comprehensive and essential reflections on nature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s in our civilizations.
In the late 20th century appeared radical ecophilosophies in an effort to deal with these problems. Among them are deep ecology, social ecology, and ecofeminism.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conduct research on the structure and the basic theory of these three philosophies, which present philosophical diagnosis of and solutions to ecological dangers.
These radical ecophilosophies criticize the human centered world view to justisfy human's domination of nature and place emphasis on co-existence of and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According to these philosophies the ecological dangers we are faced with are considered the products of existing ruling ideology and social system. So these philosophies maintain that to overcome today's ecological dangers our view of world should be changed and social systems deconstructed. However these radical ideas have no choice but to have trouble presenting methods to put them in concrete practice.
Deep ecology makes an attempt to overcome superficial ecological movement of reformative environmentalism and search for wider range and more radical and long term plan for ecological movement. Deep ecology is a thought that criticizes the dichotomy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gives up human-centered view, gets over human's domination of nature and advocates life-centered self- realization and biocentric equality.
On the other hand, deep ecology is criticized for not being so serious about the social structure causing ecological dangers and depressing structure existing in human societies. For this reason deep ecology fails to be practical alternative to deal with present ecological dangers, even though i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blaming human arrogance that he can govern the nature.
Social Ecology thinks that current ecological dangers have been caused by hierarchical system in human societies that human beings rule and oppress others. In this respect Social Ecology argues that all the social hierarchism should be disintegrated in order to overcome present ecological dangers. In its view Social Ecology can be seen as radical.
A scientist, Murray Bookchin representing Social Ecology, presents a model of ecological society as an alternative of social hierarchism, which means a liberated society in which the primary nature and the secondary one go into a new and harmonious nature.
Unlike Deep Ecology, Social Ecology place emphasis on the role of human reason. It presents a view that human reason can help restore devastated ecosystem. However, it is criticized for being too much ideal and overestimating human abilities, for it fails to provide details abou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ecological society.
Ecofeminism insists that male's dominance over female and human's dominance over nature go together. Sexual discrimination is the origin of not only all caste systems and human exploitation, but also natural exploitation.
Ecofeminists emphasize that ecologism needs to go together with female's ethics, caring and raising, coming from their experience. However some of ecofeminists show only a simple dichotomy between male and female, which is too hostile to male and female-centered. For this reason it is not easy for ecofeminism to present a practical alternative to figure out the matter of ecological dangers and oppression over female.
In conclusion, those three radical ecophilosophies raise a direct question about facilities of civilization and culture and have an identical view that the main ecological dangers are caused by human-centered world view. Nevertheless they have distinct differences when it comes to specific matter over diagnosis and solution to ecological crisis.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these radical philosophies diagnose ecological crisis in haste and give too simple alternatives and choose too negative stance. These extreme view is a major reason that radical ecophilosophies fail to present a concrete and practical strategy to build a new ecological society. Nonetheless radical ecophilosophies give us a chance to reflect on reformative environmentalism movement and there are also implications that human beings should be in pursuit of harmonious and ecological lives between humans and nature.
Author(s)
진희종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49
Alternative Author(s)
Jin, Hee-J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철학과
Advisor
윤용택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문제 제기 = 1
제 2 절 연구 목적과 방법 = 4
제 2 장 이론적 고찰 = 7
제 1 절 생태학의 등장 = 7
제 2 절 근본적 생태철학의 탄생 = 9
제 3 장 근본적 생태철학의 제 유형 = 13
제 1 절 심층생태주의 = 13
제 2 절 사회생태주의 = 19
제 3 절 생태여성주의 = 27
제 4 장 근본적 생태철학 제 유형 상호간의 논쟁 = 34
제 1 절 심층생태주의와 사회생태주의 논쟁 = 34
제 2 절 사회생태주의와 생태여성주의 논쟁 = 35
제 3 절 심층생태주의와 생태여성주의의 논쟁 = 37
제 4 절 근본적 생태철학 제 유형 상호간의 논쟁의 시사점 = 38
제 5 장 근본적 생태철학의 한계 = 40
제 1 절 심층생태주의의 한계 = 40
제 2 절 사회생태주의의 한계 = 43
제 3 절 생태여성주의의 한계 = 46
제 6 장 결론 = 50
참고문헌 = 54
ABSTRACT = 5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진희종. (2009). 근본적 생태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hilosoph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