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근현대 화교의 제주도 정착과정과 사회적 위상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Hwagyos's Settlement and Social Status in Jeju Province in Modern Times
Abstract
이상과 같이 이 연구에서는 100여년가까이 함께 살아온 제주 지역의 소수민족인 화교에 대하여 그들의 제주도 정착과정과 사회적 위상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역사적 시각에서 검토했다. 그 동안 제주도에 정착한 화교들은 오랜 정착역사에도 불구하고 화교의 역사에 대해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다. 이것은 우리 주변 가까운 곳에 화교가 있었음에도 우리는 화교의 존재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100여년 가까이 제주도에 살고 있는 화교들은 이제 제주지역 사회의 일부이다. 그들은 대부분 계속 제주도에 계속 살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이다. 이제 화교를 더 이상 외국인으로 볼 것이 아니라 제주도의 도민으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은 최근 다문화(多文化) 시대라는 흐름 속에서 소수 민족에 대한 바람직한 자세라고 여겨진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제주도 화교의 정착과정과 사회적 위상을 논하기 앞서 전체적인 1880~1950년대 한국 화교의 역사와 정착과정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한국 전체적인 화교의 이주와 역사적 배경의 검토는 제주도 화교의 정착 과정을 살펴보는데 배경이 되었다. 제주도 화교의 정착 시기는 크게 두 시기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었다. 1920년대 제주도에 경제적 이유로 입도한 화교들에서 시작하여 1950년 8월 양낙산 일가의 피난선 해상호 입도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주도에 처음 입도 한 화교에 대한 자료는 불명확하지만 제주도 화교의 자손들의 구술자료를 통한 자료 수집결과와 현재 제주화교소학교에 걸려있는 1951년 화교소학교설립 당시 내력에도 '우리화교 교포가 제주에 온지도 30여년이 지났다.' 라는 기록으로도 확인가능한 입도시기를 1920년대로 추정 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1920~1950년 제주에 정착한 화교들이 제주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정체성을 지키기 위하여 화교소학교설립과 경제활동을 돌아보았다. 또한 그들이 정체성을 지키며 살아가는데 한계가 되었던 한국사회에서 제주사회에 이르기까지 화교와 관련된 법령 및 정책도 살펴보았다. 1920년대 일제시대의 제주도 화교사회는 화교소학교의 필요가 대두 되지 못하였다. 이는 남자 위주의 경제이민이 주가 되던 화교사회에서 화교 2세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아직 나타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1950년 8월 대규모 피난선 입도 이후 양낙산 일가를 주축으로 화교 2세대들의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한국전쟁이후 중국대사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전국에 화교소학교가 증설하게 되었다. 제주도에서는 1951년 본격적으로 모금운동을 하게 되었고 제주도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서울·인천·부산·목포 등 타 지역의 성금까지 동참하게 되었다. 제주화교소학교는 중국인 특유의 중화사상과 민족적 자부심을 알리고 화교 공동체의 구심적 역할을 하며 화교의 정체성을 지키게 하였다. 현재 제주시 삼도 2동 909번지에 제주화교소학교가 위치해 있다. 학교 내에는 학교건립 당시 내력 및 성금내역을 기재한 목판 자료가 남아있다. 1951년부터 제주화교소학교의 내력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고 1957년 성금이 완성된 후 성금자와 금액을 기록한 자료를 살펴보았다. 또한 1951년 제작된 성금자의 명단을 토대로 제주도 화교의 경제활동도 구술자료를 통해 정리하였다. 하지만 1970∼80년대 화교에 대한 차별적 정책으로 인해 재한화교가 대부분 미주지역으로 이민을 간 것처럼 제주도 화교의 상당수도 미국, 대만 등으로 이민을 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본고의 구술자료가 되었던 여러 화교들의 구술자료 중에서 1920년대 경제이민과 1950년대 피난이민 각 시기에서 특징이 있는 두 집안을 선정하여 화교의 구체적인 생활사를 정리하였다. 이는 제주도 화교에 대한 정착과정과 사회적 위상을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이자 사례가 되었다. 1925년 제주도에 입도하여 성산포에서 포목점 점원으로 일하였던 허경환(許鏡寰, 1905~1962)의 자손 허연경(許延經, 1942년생)의 구술자료를 통한 생활사와 1950년 8월 피난선을 타고 온 양낙산(楊落山, 1896∼1961)의 친족인 양병운(楊秉運, 1961년생)·양병립(楊秉立, 1971년생)·양덕훈(楊德訓, 1978년생)의 구술자료를 토대로 한 양낙산의 생활사를 정리하였다.
일제강점기초인 1920년대 처음으로 제주도에 화교가 이주·정착한 이후 한국전쟁 직후 1950년대의 복잡한 근현대 역사에서 제주도의 소수집단인 화교의 역사는 자료가 부족하였다. 제주도에서 어떻게 화교사회를 이루고 살았는지 그들이 소수 이민족으로서 제주 지역에서 자리 잡기까지의 역사와 앞으로도 함께 살아가야할 도민으로서 발전 방향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화교들이 귀화(歸化)를 하지 않는다고 또는 화교학교를 다닌다고 배타적인 시선으로 볼 것이 아니라 그들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그들의 입장에서 인정해야 한다.
Hwagyos are defined in the dictionary as overseas Chinese and their descendants who have settled down abroad, but still maintains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native country in terms of cultural, social, legal and political aspects.
Hwagyos first appeared in Korea, as Qing armed forces and 40 merchants serving the army stationed in Korean as a result of Joseon-Qing Merchant Sea and Land Trade Regulation in the wake of the Military Mutiny of 1882. Since then, Hwagyos have been a minority group for more than 100 years as of 2008. In spite of their long presence in Korea, not much research had been conducted on the history of Hwagyos before the 1980s.
Jeju province is geographically close to China's south and east coast. In addition, relics like Osujeon (coin used in China around the 1st century) show that there were some exchanges between China and Jeju province. Samacheon's 『Sagi』 says that after unifying China in 221 BC, the first emperor of Chin sent his retainer, Seobok, to Jeju province to look for a mythical herb providing eternal youth.
During the modern times, some Chinese migrated into Korea due to complicated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in their country. In addition, the Chinese Civil War of 1948 triggered another wave of Chinese immigration to Jeju provinc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Hwagyos, a minority group which has lived in Jeju province for almost one century and explored their settlement and identification in Jeju province.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ussed a minority group in the recent phenomenon of multiculturalism.
It is not clear when Hwagyos first settled down in Juju province, but according to data acquir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ir descendants, it is presumed that it was around the 1920s that they first settled down in Jeju province. This is confirmed by the record, displayed on the wall of Jeju Hawgyo elementary school, about the establishment of Hwagyo elementary school in 1951. The record says "Thirty years have passed since we Hwagyos first settled down to Jeju."
Hwagyos' settlement period in Jeju province is largely divided into following two periods: the period between the 1920s and 1945, before Japan's defeat in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period between 1945,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August 1950, shortly after the Korean War. During the second period, communist victory in the Chinese Civil War triggered the massive Chinese immigrant into other nations. In August 1950, shortly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 ship carrying 80 Chinese refugees arrived in Jeju province. This was a massive refugee immigration which had not been detected in other provinces. The massive exodus of Chinese in 1950 shortly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was shut down, as the Cold War started after Communists won the Chinese Civil War.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about Hawgyos in Korea during Korea's turbulent modern period from the 1880s to the 1950s. This study examined the way Hwagyos settled down and have lived as a minority group in Jeju province. Besides, it also sought the way they can live as integral members of Jeju society.
Author(s)
문미라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61
Alternative Author(s)
Moon, Mi-R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사학과
Advisor
김동전
Table Of Contents
I. 머리말 1

Ⅱ. 화교의 제주도 정착과정 6
1. 한국 정착과정 6
2. 제주도 정착과정 11
1) 1920년(일제시대)~1945년(해방 전) 11
2) 1945년(해방 후)~1950년(피난선 해상호 입도) 14

Ⅲ. 제주도 화교의 사회적 위상 20
1. 제주화교소학교 20
2. 화교의 경제활동 31
3. 화교에 대한 규제와 한계 36

Ⅳ. 구술자료를 통해서 본 화교의 생활상 42
1. 허연경(許延經)의 사례 42
2. 양낙산(楊樂山)의 사례 47

Ⅴ. 맺음말 53

참고문헌 5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문미라. (2009). 근현대 화교의 제주도 정착과정과 사회적 위상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istor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