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김춘수 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oetry of Kim, Chun-Su
Abstract
이 연구는 문학을 담화(discourse)로 보고 화자와 화제를 중심으로 김춘수 시의 변모양상과 시의 특질, 시사적 의의를 밝히려는 데 목적이 있다.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시기별로 나타나는 형식과 내용의 변화를 의미적·구조적·조직적 국면에서 다루고 있다.
Ⅱ장은 초기시를 살펴본다. 화자가 잠재되었을 때, 그는 이상 세계에 대한 동경을 대상을 통해 보여준다. 대상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슬픔이 고조되는 것은 이상 세계에 도달하지 못하는 좌절과 한계를 표현하려는 것이다. 대상에 도달하려는 열망은 '나'라는 화자를 등장시켜 주체의 의지를 담으려고 한다. 대상과 합일을 시도하지만 완전한 합일에 이르지 못한다. 이것은 대상에 대한 동경과 좌절의 상황을 극복하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그는 주로 치환 은유적 구성을 선택하고 있다. 묘사적 어법 외에는 은유적 어법을 사용하고 있다. 단일치환은유와 알레고리는 단일한 의미의 지향에서 비롯된다. 그것은 보조관념으로 선택된 사물이 원관념와 유사성을 지니며, 작품의 조직 역시 인과 관계에 의하여 결합하기 때문이다.
그는 정서와 관념을 표현하는 구체적인 사물로 '꽃'을 선택하고 있다. 이 '꽃'은 모방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소녀의 이미지와 겹치면서 '순수'라는 관념적 이미지를 드러낸다. 이것은 죽음을 통해서 '존재'로 이어지는 관념을 낳게 된다. 죽음과 부재의 상황을 되돌리려는 꽃의 이미지는 명명화에 의해 언어의 한계로 존재와 멀어지고 단절되고 소외되는 상황을 맞이한다.
Ⅲ장은 중기시를 살펴본다. 그의 '무의미시'는 일상적 의미에서 탈피해서 새로운 의미를 파생하고 독자에게는 다양한 의미를 확산시킨다. 언어의 의미를 연결시킬 대상이나 관념을 비인과적으로 제시하여 현실에서 맛볼 수 없는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그는 병치 은유적 구성을 사용하고 있다. 이미지 병치, 리듬 병치, 에피소드 병치가 나타난다. 이런 병치은유는 시 속의 사물들이 고정관념을 깨고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게 되지만 독자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의 중기시는 시인의 풍부한 상상 속에서 시·공간이 탈일상적으로 비현실적으로 표현된다. 이 때 대상들이 갖고 있는 이미지들은 이질적인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들을 구성한다. 작품 속에 자주 등장하는 '바다'는 생명과 죽음, 고통과 치유, 존재와 부재와 같은 긍정과 부정의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바다는 창조적인 배경이 되고, 환상적인 이미지를 갖추게 된다.
Ⅳ장은 후기시를 살펴본다. 자전적 화자와 일상생활에서의 화제를 선택하면서 중기시보다 쉽게 독자와의 소통을 꾀하고 있다. 그는 과거 회상을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고, 일상의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아내의 죽음은 시인의 슬픔과 일상적인 삶의 의미를 더욱 깊이 드러내게 만든다.
후기시는 시적 담화를 중기시보다 쉽게 하기 위해 처음에는 묘사적 어법이 나타난다. 시인이 관념이 강해지면서 치환은유가 나타난다. 관념의 표출은 주로 알레고리와 복합치환은유로 나타난다. 인과관계의 틈이 넓지 않은 병치은유 구성도 나타난다. 아내의 죽음 이후 치환은유 구성으로 이어진다. 이렇듯 그의 전략적 선택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회상과 추억은 자기가 생각하고 싶을 때 떠오르는 것들이 아니라, 일상에서 마주치는 사물들로 인해 갑자기 떠오르게 된다. 그렇게 되면 그 소재들은 일상적 이미지들이 나타나게 된다. 그는 자신이 살고 있는 일상의 모습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자신의 일상성을 이미지화하고 있다. 이것은 좌절과 절망의 이미지가 아니라 일상으로 회복을 의미하는 이미지들이다.
Ⅴ장은 시의 특질과 시사적 의의를 살펴본다.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시의 특질을 살펴보면 그의 세계관은 일상적 세계에서 이상적 세계를 동경하고 좌절한다. 그래서 환상의 세계로 향하다가 다시 일상적 세계로 회복한다. 어법 면에서는 묘사적 어법에서 치환 은유로 병치 은유로 이동하고 후기시에는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단속적 구성이 나타난다. '꽃'과 '바다'는 개인 상징이 된다. 문학관은 중심에서 와의 의사소통을 고려한 를 중심으로 변화한다.
서정과 물질적 감각을 융합하려는 초기시도 주목할 만하며 1960년대 이후 그의 상상력에 의해서 나타난 환상적 세계와 완전 병치에 이르려는 시도는 창작과 비평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후 완숙한 시세계를 보여줌으로써 현대 시단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views literature as discourse and aims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Kim Chun-su's poetry and its properties and historical meaning whil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personae and themes. It deals with his poem's general changes of structures and significance in the semantic, structur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early poetry. When personae is latent, he indicates aspiration toward an ideal world through objects. Concentration upon objects and an upsurge of sadness are for expressing his despair and limitation of not reaching an the unknown world. Introduction of I as 'persona' is mainly about the subject's desire to get to the place. However, 'I' fail to make complete unification with objects. It exhibits persona's admiration for the object and will to survive the difficult situation.
His early poetry is mainly expressed in a descriptive and metaphorical style and a structure of epiphor. The poet uses simple epiphor and allegory to convey the same meaning, which makes his readers grasp his intention and understand his poetry easily. That is because a tenor has similarity with the object employed as a vehicle and the structures of his works are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 between cause and effect.
In his early poetry, 'flower' is used as a concrete object to represent his emotion and idea. The 'flower' is a subject of imitation and shows a notion of innocence overlapped with the image of a girl. This creates the idea leading to 'existence' through death. When denominated with a particular name, the image of 'flower' restoring death and nonexistence is withdrawn, isolated and alienated.
Chapter 3 takes care of the middle poetry. His poetry in words devoid of sense is meant for growing out of casual meaning and producing a new meaning or conveying various meanings to readers. Intentional avoidance of the causal relationship of a subject or an idea and meanings of the words demonstrates the world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His middle poetry is written in a structure of diaphor and different diaphors such as image diaphor, rhythm diaphor, and episode diaphor are found. Although he defies stereotypes about the objects by using diaphor and they revolutionize into new forms, it has a limit on smooth communication with readers.
In his middle poetry, time and place are described in a distinctive and imaginary way. The images of subjects are placed in totally different places and produce a new image. 'Sea' frequently appeared in his works shows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like life and death, pain and healing, a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Sea becomes a creative background with a fantastic image.
The fourth chapter concerns with the late poetry. His seeks easier way to communicate with readers by choosing autobiographical personae and routine issues. He finds himself as an ordinary person through reminiscence of the past. His wife's death deepens his sadness and emphasizes meaning of his daily life.
In a structural aspect of he uses a descriptive style to make poetic discourse easier in his late poetry. As the idea of the poet turns firm and certain, epiphor starts to appear. Allegory and complex epiphor are an exhibition of his idea. The use of diaphor results in structure lacking of a causal relation. After his wife's death, epiphor is harnessed in his poetry. Like this, his strategical choice appears periodically not continuously.
In the late poetry, he ponders the memories of old times looking at the articles for daily use. He creates images of his daily routine by granting a certain meaning to his daily life. These images are the ones showing return to life not the ones despair and frustration.
Chapter 5 tackles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meaning of Kim Chun-su's poetry. Looking at features of his poem in the whole context, it is found that he admires ideal world but fails to reach it and finally collapses. In consequence, he aims at the illusory world but goes backward to the real world. The style undergoes a change from descriptive usage to epiphor, and later into diaphor. They are all synthetically used in the late poetry. 'Flower' and 'sea' become the poet's own personal symbols. His view of literature alters from - centered to - centered and finally consid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among the poet, the work, and the reader ossifies his -centered view.
In conclusion, the early poetry are notable for incorporating emotion and material perception. The illusory world created by his imagination and his attempt to reach complete juxtaposition since 1960s open a new door to the field of creation and criticism. Later h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world of modern poetry by attaining full maturity in his poetry.
Author(s)
송성덕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878
Alternative Author(s)
Song, Seong Du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윤석산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초기시 8
1. 이상세계에 대한 동경과 좌절 8
2. 치환 은유적 구성 15
3. 관념적 이미지 21
Ⅲ. 중기시 27
1. 언어의 의미에 대한 회의 27
2. 병치 은유적 구성 35
3. 환상적 이미지 42
Ⅳ. 후기시 49
1. 과거 회상과 일상에 대한 슬픔 49
2. 단속적 구성 56
3. 일상적 이미지 63
Ⅴ. 시의 특질과 시사적 의의 71
1. 시의 특질 71
2. 시사적 의의 73
Ⅵ. 결론 75
참고문헌 79
□ ABSTRACT 8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송성덕. (2010). 김춘수 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