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남북한간 상사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Commercial Arbitral Award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 Focusing on Application of China Case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can be regarded as the special relationship provisionally formed in the process towards unification. According to the special relationship, the trad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is not the international trade but the inter-Korea trade. As the inter-Korea trade, the plural legal units were formed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So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is the interregional legal relationship.
The interregional legal relationship can be said as a new concep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But there are several countries where the interregional legal relationship exists in the world. China is the typical one of this kind of countries. Most of the interregional legal relationship has been successfully proceeding in China for a long time. Therefore, China's experience on the interregional legal relationship will be noticeable and significant in the law application issu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In this study, the aim is to review the problem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commercial arbitral award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nd also suggest a solution to the problem by reviewing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commercial arbitral awards between them and reviewing the same matter in China.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methods of documentary research and case study are employed.
The following problems related to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commercial arbitral award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were exposed after reviewing China's experience. First, distrust of the legal system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xists.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social systems, there happens a difference between their legal systems. Especially, South Korea doesn't trust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because of the incomplete arbitral system in North Korea. Second, the legislation on the enforcement of the arbitral awards is lacked between them. "New York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Commercial Arbitral Awards" can't be applied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because North Korea hasn't taken part in it. And there is no agreement on the enforcement of the arbitral awards between them. Therefore, there is no proper law on the enforcement of the arbitral awards between them. Third,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didn't put the enforcement of the arbitral awards into practice. The precedent is important in South Korea and not so important in North Korea. And the precedent is meaningful for the future legislation or the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law. But the South and the North are not willing to enforce the arbitral awards each other.
After reviewing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commercial arbitral award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and the same matter in China, the methods of legislation or the modification of law and the method of adopting an agreement are the effective method when the arbitral awards is enforced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refore, the conclusion of an annex on the performance and the recognition or the enforcement of the arbitral awards to the "Agreement on South-North Commercial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is advisable. It is essential to set up the following clauses in the annex. They are: setting up the deadline for application; specifying a competent court; specifying the requirement for application; the refusal requirement for applic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commercial arbitral award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the following two stages of development models can be suggested.
The first stage is the promotion of their mutual cooperation. This stage will take a long time because there is no mutual coopera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commercial arbitral award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In this stage,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modify their law or make a new law to regard the arbitral awards as special one and enforce them by a different ways with the arbitral awards of other countries. Thus, the South and the North understand the attitude of the court of the other region and gain the experience and the trust through the enforcement practice.
The second stage is the conclusion of the aforesaid annex. In this stage, resting on the trust gained in the first stage the aforesaid annex can be concluded. In order to settle the disputes well by unitary jurisdiction of the unified Korea,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 aforesaid annex until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m will be minimized.
Author(s)
李永申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129
Alternative Author(s)
Li, Yong She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법학과
Advisor
김부찬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1. 연구의 범위 2
2. 연구의 방법 4

제2장 상사중재와 남북한관계 5

제1절 서설 5
1. 중재의 개념 5
2. 중재의 종류 6
1) 국가간의 중재ㆍ사인간의 중재 및 국가와 사인간의 중재 6
2) 임시중재와 기관중재 7
3. 중재와 남북한 상사분쟁 9

제2절 상사중재 일반 이론 10
1. 상사중재 개념과 기능 10
2. 상사중재절차 11
1) 상사중재합의 11
2) 중재판정부의 구성 12
3) 중재심리와 중재판정의 작성 13
4)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13
5) 중재송달 14
(1) 중재송달의 정의 14
(2) 중재송달의 유형 14
(3) 판단기준 17
6) 중재증거조사 17
(1) 중재증거의 의의 17
(2) 중재증거의 특징과 종류 18
(3) 증거조사방식 18

제3절 남북한 법률충돌의 성격과 상사중재제도 20
1. 남북한 복수법역의 형성과 법률충돌의 성격 20
1) 남북한 특수관계 20
(1) 특수관계에 대한 한국의 입장 20
(2) 특수관계에 대한 북한의 입장 26
(3) 국제법적 인식 27
(4) 남북한 특수관계의 특징 32
2) 남북한 복수법역의 형성 33
3) 남북한 법률충돌의 성격 36
(1) 법역간 법률충돌 36
(2) 남북한 법률충돌 37
4) 남북한 법률충돌과 중국의 법역간 법률충돌 38
(1) 내지(內地)와 홍콩의 법역간 법률관계의 형성 38
(2) 내지와 마카오의 법역간 법률관계의 형성 39
(3) 내지와 대만의 법역간 법률관계의 형성 40
(4) 남북한과 중국의 법률충돌 비교 42
2. 남북한 상사중재제도 43
1) 남북한 상사중재의 출범 43
2) 남북한 상사중재의 주요내용 45
(1) 남북중재위원회의 구성 및 기능 45
(2) 중재인의 선정과 중재판정부의 구성 46
(3) 중재대상 46
(4) 중재송달 47
(5) 중재절차 48
(6)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49
3) 남북한 상사중재의 향후과제 49
(1) 남북상사중재위원회의 발족 49
(2) 중재절차의 보완 50
(3)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51

제3장 남북한간 상사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53

제1절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기본 이론 53
1. 개념과 의미 53
2. 다른 중재절차와의 관계 55
1) 중재송달과의 관계 55
2) 중재증거조사와의 관계 59
3) 중재지와의 관계 60
3.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의 요건 60

제2절 남북한의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62
1. 남북한의 관련 입법 개황 62
2. 한국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63
1) 국내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63
2)「뉴욕협약」의 적용을 받지 않는 외국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63
(1) 외국중재판정에 대한 승인 요건 64
(2) 외국중재판정의 집행절차 66
3)「뉴욕협약」에 따른 외국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67
(1) 중재합의의 무효 67
(2) 적절한 통지의 불도달 68
(3) 중재판정의 무효ㆍ취소 또는 정지 69
(4) 공공질서 70
4) 관할법원 72
3. 북한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제도 72
1) 외국중재판정의 집행 조건 72
2) 외국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에 대한 거부사유 72
3) 외국중재판정의 집행절차 74
4. 양측간 중재판정의 상호 승인과 집행 74

제4장 중국의 법역간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76

제1절 중국에서 각 법역의 외국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76
1. 중국 내지의 외국중재파정의 승인과 집행 76
1) 외국중재판정의 정의 76
2) 중국 내지에서 외국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방법 77
(1)「뉴욕협약」에 따른 승인과 집행 77
(2) 비협약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85
2. 홍콩에서 외국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85
1) 외국중재판정의 정의 85
2)「뉴욕협약」에 따른 승인과 집행 86
3)「중재조례」의 규정에 따른 승인과 집행 86
3. 마카오에서 외국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87
1)「섭외상사중재법」의 규정에 따른 승인과 집행 87
2)「민사소송법」의 규정에 따른 승인과 집행 88
4. 대만에서 외국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89
1) 외국중재판정의 승인 89
2) 외국중재판정의 집행 90

제2절 각 법역간의 중재판정의 상호 승인과 집행 91
1. 중국 내지와 홍콩 92
1) 홍콩 주권회복전 단계 96
2)「홍콩 안배」발효전 단계 98
3)「홍콩 안배」의 적용 단계 100
(1) 적용범위와 관할법원 100
(2) 신청의 조건과 기한 102
(3) 집행절차와 집행거부사유 102
2. 중국 내지와 마카오 118
1)「마카오 안배」의 발효전 단계 118
2)「마카오 안배」의 적용 단계 119
(1) 적용법위와 관할법원 119
(2) 승인ㆍ집행의 요건과 거부요건 120
3. 중국 내지와 대만 121
1) 내지의 관련 규정 121
2) 대만의 관련 규정 124
3) 법원의 태도 128
4. 대만과 홍콩 및 마카오 129
1) 홍콩과 마카오 사이의 중재판정 집행 129
2) 대만과 홍콩, 마카오의 중재판정 집행 131

제5장 남북한간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의 개선방안 132

제1절 승인과 집행의 문제점 132
1. 법률제도의 불신 132
2. 중재판정집행에 관한 입법 불비 132
3. 중재판정집행에 관한 의지 흠결 133

제2절 개선방안 134
1. 법역간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 방법 134
1) 관련 법률의 보완 또는 입법 134
2) 법역간 합의서의 체결 135
3) 준국제사법의 적용 136
4) 국제협약의 방식 137
2. 남북한에 적합한 승인과 집행의 제언 137
1) 서설 138
2) 합의서를 체결하는 각 측의 대표 139
3) 관할법원 140
4) 중재판정에 대한 승인과 집행의 범위 141
5) 중재판정의 승인 142
6)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에 관한 거부사유 142
7) 승인과 집행을 신청하는 서류와 기일 144

제6장 결론 145

153

166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李永申. (2010). 남북한간 상사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Law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