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농어촌지역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n Life-long Education at Rural Area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농어촌지역 학교의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인식과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문제점 그리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 · 분석해 봄으로서 향후 제주특별자치도 농어촌지역의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이 지역실정에 맞게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6개 읍을 지역별(구좌읍, 조천읍, 남원읍, 대정읍, 한림읍, 애월읍)로 안배하여 중학교 8개교와 초등학교 7개교를 선정하였으며, 학년구분 없이 학교규모에 따라서 학부모 750명, 교사 300명을 표본 추출하였다. 설문지 배부와 회수는 2007년 7월 13일부터 7월 23일까지 직접 학교별로 방문하여 이루어졌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학부모 2부를 제외하고 학부모 505부와 교사 226부를 SPSS11.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집단별 비교를 위해 교차분석(x2)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주특별자치도 농어촌지역의 실정에 맞는 효율적인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의 참가 대상은 학부모 · 지역주민 · 교직원으로 하며, 운영횟수는 월 1회, 운영시간 대는 토요일 오후가 가장 좋고, 차선으로 평일오후가 바람직하다.※ 본 논문은 2008년 8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둘째,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내용은 학교와 참가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결정하도록 하며, 홍보방법은 가정통신 · 문자메시지 · 학교홈페이지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프로그램 지도 강사는 전문 강사나 지도능력 소유의 학부모 · 지역주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소요되는 예산은 참가자와 학교(교육청) · 지방자치단체에서 분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학교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해 학교에 재정적인 지원을 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넷째,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시 교육방법은 체험중심이 좋으며, 프로그램 운영의 주체는 학부모(어머니)회가 중심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지역사회의 평생학습 실현을 위한 학교의 역할로서 학교는 계속하여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하며, 방과 후에 특별교실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학부모 · 지역주민 · 교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의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의 활성화는 평생학습시대에 학교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학교 내부의 지역사회학교 정착을 위한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하겠다. 또한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방과 후 학교와 통합하여 운영하도록 하며, 교육복지투자 우선지역 지원 사업과 연계하는 등 정부와 지자체의 재정적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차후 농어촌지역의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대하여 심층 분석하는 질적 연구와 성인대상 평생학습 프로그램과 학생대상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통합 하여 운영하고 있는 방과 후 학교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life-long education at schools and suggest better ways to operate programs for rural areas in Jeju.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divided Jeju by six areas and randomly selected 1 middle school and 1 elementary school at each area. At those schools, 750 parents and 300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 that life-long education program at schools should be targeted on parents, community members, and teachers and operated afternoon on Saturdays.
Second, the content of the programs should be based on demands of the participants and instructors of each program should be selected within parents and community members.
Third, budgets for the program should be shared by school district offices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should have active plans for acquiring sufficient budgets.
Finally, the program should be based on learning b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s, and schools should play roles as community learning centers and open school facilities to community members after school.
Author(s)
오정자
Issued Date
2008
Awarded Date
2008.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87
Alternative Author(s)
Oh, Joung-Ja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박종필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1
2. 연구의 문제 3

Ⅱ.이론적 배경 4
1. 평생학습의 개념 4
2. 학교평생학습의 개념 5
3.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의 개념 6
4. 학교평생학습의 운영 7
5. 학교평생학습의 운영 현황 11
6. 선행연구 고찰 18

Ⅲ. 연구 방법 21
1. 연구 대상 21
2. 연구 도구 23
3. 자료 처리 26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7
1.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인식 27
2.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와 문제점에 대한 인식 33
3.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인식 42

Ⅴ. 요약 및 결론 55
1. 요약 55
2. 결론 59

참고문헌 62
Abstract 65
부록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오정자. (2008). 농어촌지역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