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農村 地域의 文化藝術 發展方案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research of ways of cultural art development in rural areas : Focusing on extracurricular music education
Abstract
1970~ 80년대만 해도 제주지역의 농촌 문화생활은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부했었는데, 마을과 촌락 단위로 집거를 하면서 품앗이와 더불어 농경문화 시연이 활발하게 진행됐었다. 실례로 제주칠머리당 영등굿 중요무형문화재 71호인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은 음력 2월에 풍어를 기원하며 해녀와 어부들이 지내는 굿으로, 2009년 9월 30일 강강수월래 등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입춘굿 낭쉐몰이 신년 풍농제로 입춘날에 제주 주민들은 풍년을 기원하는 굿놀이를 하였다. 낭쉐몰이는 세경놀이와 함께 농사짓는 과정을 흉내 냄으로써 풍농을 기원했다., 해녀노래, 오돌또기 등 무속신앙과 민요는 농촌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문화예술을 영위하여 왔다. 그러나 인구감소와 더불어 농촌 학교들이 급격히 쇠퇴하면서 농촌문화건설의 핵심 동력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제주 고유의 무형 문화유산을 계승하고 전수할 인적자원이 급격히 고갈되었기 때문이다.
최근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문화, 경제, 교육 및 모든 사회현상으로부터 소외되어온 농촌지역은 지역민의 문화욕구 및 문화예술 단체의 전략적 소비지역으로 전락하면서 마구잡이의 문화행사가 판을 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방자치시대가 되면서 더욱 요구되는 지역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이며 생산적이고 발전적인 지역문화 형성에 오히려 방해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 다른 문화의 소외를 낳고 있다. 농촌지역은 도시집중과 경제 제일주의의 사회현상 속에서 문화적 빈곤과 소외를 겪어왔다. 제주의 농촌사회 또한 예외가 아닐 뿐 아니라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지자체의 예산과 지원은 도시에 집중되다 보니 문화예술 영역에 있어 불모지나 다름없게 되었다.
농촌지역의 문화예술 저변 확대를 위한 새로운 대안은 우선 학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가정이 교육의 모태라면 학교는 교육기관의 중심이며 사회는 발현의 마당이며, 21세기 들어 학교가 가정과 사회와 더불어 문화적 중심으로 변해가는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방과 후 교실을 통한 예술교육, 1인 1악기 연주 등 학교 교육이 본연의 목적과 함께 '문화인의 양성'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해 정부와 교육당국은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고 내실화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장려는 인구와 산업이 집중된 도시지역 학생과 주민들에게 비중이 더 커지면서 과거 농경문화활동을 활발하게 했던 농촌은 소외되면서 문화예술 발현에 있어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번 연구에서도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도시와 농촌은 경쟁이 아닌 공존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의 학교와 예술단체들의 농촌 순회공연인 '찾아가는 문화활동'역시 문화소외지역에 대한 위로 차원에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농촌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자치위원회, 공공도서관, 사회복지단체 등이 산발적인 문화, 예술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체계적이지 못하고 취미와 일회성 교육위주로 한계성을 보이고 있다.
인구 감소와 농가 부채 증가, 고령화 등 사회, 경제적으로 커다란 심리적 불안감으로 농촌지역의 공동화(空洞化) 현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농촌지역의 문화는 접근조차 할 수 없는 영역이 됐으며, 농촌사회의 현실은 곧 문화소외지역이라는 오명을 낳기도 하였다. 아울러 학력 중심의 사회구조적 한계와 많은 학부모, 학생들의 부정적 인식도 오랫동안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방해해왔다.
문화적 소외지역의 오명을 씻기 위해선 우선 '문화와 예술교육은 농촌을 풍요롭게 만든다'는 기본 명제 아래 학교와 지역사회는 농촌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 감수성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음악 과목인 경우 창의적 재량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 감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 문화예술교육을 실시, 새로운 학교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또 특별활동 및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통해 스스로의 문화예술 취향을 계발하고 다양한 동아리 활동으로 또래 문화를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지식·정보 사회의 도래도 창의력을 갖춘 인력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과 감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농촌 지역사회도 민족 간 경계를 뛰어넘는 다문화사회가 도래하면서 개개인의 문화적 감수성 계발과 차이 및 다양성의 이해를 가능케 하는 문화예술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제 문화예술 교육은 대도시 부유층만의 향유가 아니라 공동화 되가는 농촌사회의 활력소가 될 수 있다. 소외된 문화로 일부분만이 아닌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 경험을 통한 자아 정체성 확립과 상호간 이해와 소통능력의 밑거름이 되는 문화예술교육은 우리 사회의 든든한 토양이자 미래를 위한 필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선 농촌 학교는 교육공간일 뿐 아니라 주민들의 문화의 장으로 받아들여 지역마다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생태·역사·관광자원과 연계된 문화 체험형 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농촌의 풍요로운 문화체험과 예술활동은 곧 학교와 마을 활성화의 방안이 되며, 농촌공동체사회가 발전하면 젊은층의 귀농을 유도해 학교 신입생 증가와 인구 유입으로 더욱 활기차고 건실한 지역사회로 발돋움 할 것이다.
The rural culture lives in Jeju had been relatively affluent compared with city regions only by 1970's and 1980's. The practice of an agriculture as well as exchange of labor was progressed actively while living in village unit.
For example, Shamanism religions and folk songs such as ' Jeju Chilmeoridang youngdeunggut' ,'Ipchungut', 'Nangswemol', a woman diver song and 'Odolttogi' have naturally led rural residents to a cultural art.
However, the key power of rural cultural development is gradually disappearing because of decline of population and rural schools. That is, the human resources, who succeed to an Jeju's uniqu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nstruct it, have decreased.
Nowadays, the awareness toward cultural art rises and its importance is mentioned, but rural areas estranged from culture, economy, education and all social phenomena are becoming just a strategic consumption area of cultural desire of residents and cultural art associations. Because of that, cultural performances cannot be systematic in rural areas.
These phenomena interrupts the formation of local cultures which have voluntary, autonomous, productive and evolutive features that is required in the area of local self-government. They also results in an alienation of another culture. The agricultural villages have gone through cultural poverty and isolation in the phenomena of city concentration and economism. A rural society of Jeju is the same case. Such an area became like wasteland in the field of culture arts since the population dramatically decreased and the budget and support of the administration were concentrated in urban areas.
We should find out a new alternative from a school in order to expand artistic rural local culture. Just as a family is the basic of education, a school is the core of an education institution and a society is the field of revelation. In 21c, the school is actively changing into the cultural center with the family and the society.
The school education achieves the fundamental aim of school through extra education after school such as art and musical instrument classes. Moreover, the government and educational authorities claims the policy strengthening the cultural art education while satisfying the social request, 'the foster of cultured person'.
However, cultural art education is concentrated to students and citizens living in urban areas. It is true that countryside is relatively isolated and its competition in developing artistic culture is dropping.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oexistence of city and countryside, not competition between them, is necessary in the field of cultural art education. That's because a performance tour which the school in a city and the artist groups are performing as a consolation for the areas isolated from culture.
Even though, a citizen autonomy committee, a library, a welfare group and so on within agricultural villages operate a active cultural program, they are not systematic and just one-off education.
Decreased population, peasant deficit, aging as well as economical anxiety in rural areas is the main factor to cause residents to leave their countryside.
In such a phenomena, the culture of agriculture villages is difficult to be accessed and even has the stigma of the region alienated from culture.
In addition, the credentialism and the negative perspective of students and parents have interrupted the activation of cultural art education.
To remove such a stigma, we should first retrieve unique identity and sensitivity in rural regions based on the fundamental proposition 'culture and art education make rural areas rich'.
In case of music, integrated 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build the cultural sensitive through the program of creative discretion activity in school, and form a new school culture. Peer culture should be formed and students' own artistic talent should be developed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pecialty and aptitude course. personality and sensibility have been emphasized in order to foster creative human resources in the introduc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Culture art education has imperatively been required, which make the develop of individual cultural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of variety possible while coming multicultural society in agricultural villages.
Now, culture art education can be a tonic for rural residents as well as for rich citizens in a city. It plays a essential role for our future and it is like a solid ground by establishing our identity and interacting each other through various art experiences that all people can enjoy.
Therefore, to achieve such a thing, rural local school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educational field and cultural space of residents, They should also operate locally differentiated and cultural art programs associated to biology, history and tourist sources that people can experience.
The affluent cultural experiences and art activities in rural areas are the method of activation of schools and villages. Then, the development of the rural community will make our society more soundly and actively because many youth return to the countryside and new students and, at the same time the whole population increase in agricultural villages.
Author(s)
윤정택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236
Alternative Author(s)
Yun, Jeong-Ta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김정희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목차 ⅳ
사진목차 ⅳ
그래프목차 ⅴ
국문초록 ⅶ

Ⅰ. 서 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연구의 선행문제 4
4. 연구의 범위 6
5. 악기 및 연주에 대한 용어의 정의 7

Ⅱ.이론적 배경 9
1. 관악대에 대한 고찰 9
가. 관악대 9
나. 우리나라 관악대의 역사 9
다. 관악대에 사용되는 악기 11
라. 관악합주에 사용되는 악기의 편성 11
2. 농촌 지역사회에서 성공한 문화예술 사례 12
가. 제주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12
1) 위미중학교 '우미마루오케스트라' · 12
2) 제주청소년오케스트라 찾아가는 문화활동 13
3) 제주청소년관악단 농촌 방문 연주회 13
4) 제주YMCA유스오케스트라 사회봉사 음악회 13
나. 전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14
1) 정선아리랑학교 14
2) 화순군립청소년 관악합주단 16
3) 충청북도 음성체임버오케스트라 17
4) 전라남도 무안군 비전체임버오케스트라 18
5) 경기도 고촌면 김포체임버오케스트라 19
3. 농촌지역 문화예술에 대한 고찰 20
가. 농촌지역학교의 문화예술교육 사업 20
나. 제주지역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실 22
다. 대안적 교수방법의 개발 23
라. 농촌 지역사회 네트워크 강화 23
4. 선행 연구의 고찰 24
가. 음악교육의 문제점 24
나. 관악대 활동의 교육적 효과 24

Ⅲ. 연구과제의 설정 26
1. 연구과제(청소년을 위한 음악교실) 26
2. 연구과제(지역주민을 위한 난타교실) 26

Ⅳ. 연구의 설계 27
1. 연구의 대상 및 기간 27
가. 연구의 대상 27
나. 연구의 기간 27
다. 연구의 방법 27
라. 연구절차 27
2. 월별 지도계획 29

Ⅴ. 연구의 실행 39
1. 연구과제의 실행(청소년을 위한 음악교실) 39
2. 연구과제의 실행(지역주민을 위한 난타교실) 44

Ⅵ. 연구를 통한 성과 47
1. 농산어촌지역 예능교육의 활성화 47
2. 도시지역과 농산어촌지역간의 문화 평준화 48
3. 발표회를 통한 지역내 청소년과 지역민들에게 문화향수 기회 제공 49
4. 무관심으로 인해 사장되고 있는 각종 교육장비와 시설 관리 및 활용 56

Ⅷ. 설문조사 및 통계 57
1. 설문대상 57
2. 문항구성 57
3. 설문결과 및 분석 58

Ⅸ. 결론 및 제언 71

참고문헌 78

Abstract 79


설문조사서(학생용: 청소년음악교실) 82
설문조사서(주민용: 난타교실) 8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윤정택. (2010). 農村 地域의 文化藝術 發展方案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