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지도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eaching Methods with the Utilization of Various Materials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stract
미술교육의 역할은 미술과목을 통한 정서 함양과 창의력을 증진 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창의성 계발이며, 이 창의성 계발은 모든 학문 발달의 발판이 되는 연계성을 제공한다. 이는 미술교육의 목적이기도 하다. 창의력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미술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발성을 불러 일으켜 흥미를 느끼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사의 의도와는 달리 미술에 흥미를 갖지 못하는 학생들과 흥미와 관심은 있어도 자신감이 결여 되어 있는 학생들에겐 미술활동자체가 부담으로 다가선다. 특히 초등학생인 경우, 집중할 수 있는 시간적 한계로 인하여 이런 현상이 더욱 역력하다.
연구자가 수년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지도해 본 결과 미술과목에 흥미를 갖지 못하는 학생들의 두드러진 특징은 전반적으로 학부모에 의한 강제성이다. 미술과목이 심상표현과 상상력, 관찰력을 향상 시키는데 영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의적 강요에 의한 아동의 수동적인 태도로 그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 점이 연구자로 하여금 아동이 자발적인 수업 참여에 대한 지도방안 연구의 동기부여가 되었다. 그 결과로서 아동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접근 방법 중 하나는 재료를 통한 창작 활동이었다. 말하자면 미술과목에 거부감을 갖는 학생들에게 접근 계기로써 그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어떠한 매개체가 필요했다.
지도 방법의 주안점은 연령별 특성에 따라 초등 저학년인 경우, 낮은 집중도로 인하여 흥미위주의 상상력을 발휘하는데 중점을 두고 전반적으로 다양한 재료를 체험하도록 하였다. 초등학교 전 학년 중 미술과목에 대해 가장 무관심 경향이 있는 중학년인 경우, 흥미와 깊이를 갖는 기회의 장이 되게 하였다. 즉, 각 재료가 갖는 특성을 통하여 호기심과 재미를 알고 미술과목에 접근할 수 있도록 주제를 설정하였다. 표현력부분에서 양극의 현상이 두드러진 고학년은 연구자 입장에서 심화과정과 보완과정으로 나누어 지도하였다. 심화과정은 표현력 향상에 역점을 두되 재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주제를 부각시키는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보완과정은 표현 자체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로서 재료의 병행이 완충제 역할을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감을 유도하였다.
연구자가 제시하는 방법적 측면인 지도방안 연구의 본질은 미술재료를 병행한 표현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사고의 전환을 요하는 창의력 향상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효율성을 위한 중점사항으로 연구자가 제시한 것은 다음 세 가지 사항이다.
첫째, 재료의 적절한 사용법을 통한 아동의 감각을 향상시키는 기본기의 터득, 즉 평면작업에서는 손끝에서의 느낌과 양, 농도에 따른 변화를 아동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입체작업에선 주로 접착제의 성질과 타이밍, 힘 조절이 형을 표현하는 것만큼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둘째, 재료 병행을 통하여 평면작업과 입체작업에서 상호 응용력을 키우는 것에 그 가치를 두었기 때문에, 평면작품에 제한하지 않고 학교의 열악한 교실 환경 속에서도 입체 표현 활동을 최대한 진행하였다.
셋째, 각 재료의 성질을 알고 적절한 연계를 바탕으로 한 상상력의 증대이다. 즉, 재료에서 또 다른 주제를 연상하는 기회를 얻도록 한 것이다.
연구자의 재료 활용법과 기법 강조는 자칫, 학생들이 기능적 측면에 입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견제로써 연구자는 학생들과의 동기부여과정에서, 예시자료를 통한 의사소통의 시간을 최대한 이용하였다. 또한 주제 자체를 부각시키고 표현과 감상의 자발성을 불러일으키는데 주력하였다. 예를 들어 학교단체 수업에서 오는 교사의 일방성과 학생의 수동성에 대응하여 연구자는 도입 단계에서 모션을 적극 활용하여 주제의 느낌표현을 최대화 하려고 하였다. 주제를 알리려는 연구자의 말 없는 몸짓에서 아동들은, 산만한 행동을 하다가도 호기심에 가득 찬 눈빛으로 시선을 집중시켰다. 이때 아동들은 쉽게 동화 되며 연구자의 몸짓을 보고 그 무언가의 형태를 연상함으로써 상상과 창의를 동원하였다. 연구자가 의도했던 대로 아동들과 동기부여의 질의응답 과정이 진행되면 교실 분위기는 자연적으로 몰입과 흥미로움이 형성되고, 미술과목에 위축된 학생들에게는 자신감의 기회 제공이 되었다. 다시 말해서 연구자가 주제를 극대화하여 표현하려는 것은 미술교육의 한 방법으로써의 매체이자 의지임을 알리는 바이다.
교육에 대한 접근방법을 다각도로 하여 아동들로 하여금 호기심을 유발하는 핵심적 열쇠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재료의 체험은 미술에 흥미가 없었던 아동들에게 호기심과 관심을 갖게 해 주었다. 재료라는 매체를 통한 방법상의 지도 목표는 창의적인 표현력 신장이다. 창의력의 원동력은 자신감이며, 자신감은 경험에서 나온다. 또한 그 자신감이 형성 되려면 표현력이 향상 되어야 한다. 표현력의 향상이라는 것은 아동에게 감각을 일깨워 줘야 한다는 것인데, 감각이란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감동이 없으면 발전도 없다고 본다. 표현력과 창의력의 원천인 감동이라는 것은 우리 누구에게나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매 시간마다 활동과정에서 추상적 표현이 아닌 구체적이면서도 상세한 느낌 표현의 어휘들을 사용하여 기본기의 개념을 일깨워 주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본 연구의 내용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제주시내에 있는, 노형, 신광, 영평 세군데 초등학교의 각 반 저학년 20명, 고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결과이다. 또한, 대정 청소년 수련관의 초등학생과 남원 청소년 문화의 집 초등학생의 각 반 20명이 추가로 진행 되었다.
연구대상의 범위를 초등학생 전 학년으로 한 이유는 각 학생의 개인차와 학년별 연계성에서이다. 즉, 각 학년 특징 면에서 1, 2학년은 3, 4학년 지도에 단서를 던져줬고 3, 4학년은 5, 6학년 심화 지도의 단계를 제공하는 반면, 학년 별 일반성과 달리 돌출되는 각 학년 개인차 발생은 대상의 적용범위에 일임되는 일률적, 지도방식의 매너리즘에서 탈피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개인차의 존중이야말로 미술교사가 첫 번째로 자각해야 할 부분이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연구자는 미술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재료활용과 기법이라는 방법적 매체를 통하여 공식적, 기계적인 잣대가 없이도 눈짐작으로서 비율에 대한 안목을 길러내는 감각성을 길러내고자 하며, 나아가 미술을 통한 창의력 증대의 실현을 이루고자 한다.
다양한 재료의 체험으로 아동 개개인의 개성에 따라 여러 가지 창의력을 발휘하는 아동들이 나타날 것이다. 발상의 전환적 사고가 보편화 되어지는 시대에서 미술적 감각을 길러내는 것은 아동의 정서적 측면에서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타 분야에의 창의적인 연계성을 발산하는데 효과가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Author(s)
김애란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20
Alternative Author(s)
Kim, Ae-r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김용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3
1. 미술교육과 창의성의 관계 ••••••••••••••••••••••••••••••••••••••••••••••••••••••••••••••••••••• 3
2. 아동미술교육의 목적 •••••••••••••••••••••••••••••••••••••••••••••••••••••••••••••••••••••••••••••• 6
1) 아동미술교육의 방법론적 접근 •••••••••••••••••••••••••••••••••••••••••••••••••••••••••• 7
2) 다양한 재료활용의 중요성 ••••••••••••••••••••••••••••••••••••••••••••••••••••••••••••••••• 10
3) 재료를 통한 미술교육의 방법모색 •••••••••••••••••••••••••••••••••••••••••••••••••••• 12
Ⅲ. 지도의 실제 ••••••••••••••••••••••••••••••••••••••••••••••••••••••••••••••••••••••••••••••••••••••••••••••••• 14
1. 수업 설계 ••••••••••••••••••••••••••••••••••••••••••••••••••••••••••••••••••••••••••••••••••••••••••••••••• 14
1) 학습지도안의 필요성 ••••••••••••••••••••••••••••••••••••••••••••••••••••••••••••••••••••••••••• 14
2) 수업과정 ••••••••••••••••••••••••••••••••••••••••••••••••••••••••••••••••••••••••••••••••••••••••••••••• 15
2. 수업 모형 ••••••••••••••••••••••••••••••••••••••••••••••••••••••••••••••••••••••••••••••••••••••••••••••••• 18
3. 본시학습 지도안 •••••••••••••••••••••••••••••••••••••••••••••••••••••••••••••••••••••••••••••••••••••• 19
1) 저학년 •••••••••••••••••••••••••••••••••••••••••••••••••••••••••••••••••••••••••••••••••••••••••••••••••• 19
2) 중학년 •••••••••••••••••••••••••••••••••••••••••••••••••••••••••••••••••••••••••••••••••••••••••••••••••• 33
3) 고학년 •••••••••••••••••••••••••••••••••••••••••••••••••••••••••••••••••••••••••••••••••••••••••••••••••• 47
Ⅳ. 결론 •••••••••••••••••••••••••••••••••••••••••••••••••••••••••••••••••••••••••••••••••••••••••••••••••••••••••••••• 61
참고문헌 •••••••••••••••••••••••••••••••••••••••••••••••••••••••••••••••••••••••••••••••••••••••••••••••••••••••••• 64
••••••••••••••••••••••••••••••••••••••••••••••••••••••••••••••••••••••••••••••••••••••••••••••••••••• 66
부록 •••••••••••••••••••••••••••••••••••••••••••••••••••••••••••••••••••••••••••••••••••••••••••••••••••••••••••••••••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학과
Citation
김애란. (2009).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지도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