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다양한 표현 활동을 통한 판본체 지도 방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Panbonche Style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bstract
서예는 문자를 아름답게 쓰는 것을 바탕으로 하는 동양 특유의 미술이다. 한글 서체의 하나인 판본체의 조형미를 발견하고 표현하는 활동은 조상들의 아름다운 예술정신을 계승하고 민족정서를 고취시키며 우리글에 대한 미의식을 함양시킬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서예 교육은 서(書)를 통하여 예술을 이해하려는 것 이외에도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3학년부터 붓글씨 학습의 기초를 다지고 판본체를 익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에 들어서면서 컴퓨터의 사용 시간은 늘어나는 반면 글씨를 직접 쓰는 시간은 줄어들고 있으며 인지적 학습의 강조와 도구 관리의 불편함, 교사들의 서예지도 능력 부족 특히 미술과 서예영역 배당 시간의 많은 감소 등의 이유로 목표 달성이 어렵고 교사와 학생들로부터 관심과 흥미조차 잃고 있다.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서예교실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흥미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표현 활동과 더불어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모색하여 적용함으로써 판본체의 서사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예와 서예 교육에 관련된 문헌연구를 통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초등서예교육에 대한 내용 및 판본체의 개념과 서예학습의 기초가 되는 지도방법을 탐색하였으며 방과후학교 서예교실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예 학습에 대한 기초실태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와 친근한 놀이나 생활 속에서 서예와 관련된 다양한 표현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판본체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구안하여 지도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예에 대한 흥미와 표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붓으로 다양한 선 그리기, 스케치하기, 수묵화 그리기, 문패 쓰기, 낙관 새기기 및 재미있는 낙관 쓰기, 다양한 규격의 작품 쓰기' 등의 다양한 표현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서예학습에 대한 기초기능을 다져서 서예학습에 흥미가 생겨 어렵고 따분한 서예학습을 쉽고 재미있는 서예학습으로 인식을 전환시켰다. 대상을 단순화하여 나타내기, 여백의 미, 채색 기법 등 서양회화와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전통 회화에 대한 친근감을 갖게 하였으며 생활 속의 서예를 발견하고 즐기게 되었다. 나아가 감상과 평가의 안목도 길러 주었다.
둘째, 판본체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으로 8단 40통의 단계적인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단계적 서예 학습지를 제작 활용하여 지도한 결과 자신의 학습 과정을 알고 학습할 수 있었으며 어려운 필법이나 자형 등을 스스로 익혀 바르게 쓰는 데 효과적이었다. 임서 자료 및 자형 놀이 자료는 놀이를 통한 적극적인 동기유발로 보다 흥미 있는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습 의욕을 고취시켰고 놀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판본체의 조형미를 발견하고 익힐 수 있었다. 또 개별지도를 중시한 교수학습과정으로 개인차에 따른 지도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스스로 하는 서예학습 환경조성은 방과 후 여가시간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서예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이 지속될수록 판본체의 서사력 신장과 함께 서예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서예 입문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서예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붓을 통해 다양하고 재미있는 표현의 가능성을 체험하게 하는 교사의 배려와 준비가 있어야 한다. 또한 자유로운 표현 활동을 위한 다양한 서예 작품과 표현 방법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서예를 보는 눈을 넓혀야 한다. 이러한 표현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서예가 재미있고 즐거운 활동이라고 생각하며 서예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커져 서예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된다.
Calligraphy is the art of making beautiful handwriting unique to Asian fine arts. Discovering the formative beauty of Panbonche, a style of Korean calligraphy, can lead students to succeed to the spirit of calligraphy, inspire students to national sentiments and develop an aesthetic sense of Korean characters. The calligraphy education starting in the third grade has been dealt with importantly as a part of appreciation for brush lettering and character building education. The current 7th curriculum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alligraphy education and enabled students to learn the basics of calligraphy and drill Panbonche style.
However, in the information age, students tend to spend more hours on computers but less hours on handwriting. Furthermore, both teachers and students are losing their interest in calligraphy due to the emphasis on knowledge-based education, the inconvenient control of tools and materials, teachers' poor ability to teach calligraphy and especially reduced lessons in the curriculum. So,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the ability to write Panbonche style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applications of unexplored teaching methods to stimulate the interest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calligraphy cla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have examined the contents of calligraph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the concepts of Panbonche style and the teaching method of the basics of calligraphy. I have also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calligraphy learning by observing students taking part in an after-school calligraphy program. In this program, students were exposed to a variety of expressive activities at play or in their daily lives. On the basis of the curriculum, I devise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Panbonche style and guided students based on it. The results are below.
First, to intrigue students' interest in calligraphy, I let them enjoy line-drawing, sketching, ink-painting, nameplate-writing, signature-engraving including making calligraphy works in different sizes. As a result of it,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calligraphy and accepted it more easily. Also, they found the differences between western paintings and oriental paintings by way of simplifying objects, leaving negative space and coloring. They had friendly feelings toward traditional paintings and enjoyed the beauty of calligraphy in their daily lives as well. This helped them to develop a new appreciation for arts.
Second, students have practiced brush handwriting based on step-by-step teaching plans of 8 steps over 40 units and a brush handwriting workbook. They found out their learning process and learned rhythm of stroke or the shape of characters effectively themselves. The brush handwriting workbook and character-shaping plays created an interesting learning atmosphere and actively motivated students. The formation of self-learning environment contributed to self-help calligraphy training in their spare time after school. This individual-oriented teaching method minimized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caused by individual differences. The more students continued practicing handwriting, the more they were into it and improved their calligraphy technique. And then students gained a strong desire to learn calligraphy and found the formative beauty of Panbonche style naturally.
Over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beginning of learning calligraphy is to intrigue students' interest in calligraphy. For this,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take part in creative activities by providing a variety of calligraphy works and creative methods which will help students appreciate and evaluate calligraphy. In the process of doing these activities, students came to realize how interesting and enjoyable calligraphy is and involved themselves in calligraphy more actively.
Author(s)
홍영미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98
Alternative Author(s)
Hong,Young-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김방희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제7차 교육과정 초등서예 교육 내용에 대한 분석 3
2. 판본체의 개념과 특성 13
3. 서예학습의 기초 18
Ⅲ. 연구의 기초조사 및 분석 23
Ⅳ. 연구의 실제 29
1. 다양한 표현 활동 전개 29
2. 판본체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 구안 적용 39
Ⅴ. 결과분석 54
1. 검증 내용 및 방법 54
2. 검증 결과 분석 54
Ⅵ. 결론 59
참고문헌 62
Summary 64
부록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홍영미. (2007). 다양한 표현 활동을 통한 판본체 지도 방법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