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적응성 및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that Family Coherence, Adaptability and the way Handling Stress which University Students Realized.
Abstract
이 연구는 제주도내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수준을 밝히고, 이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정도는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특성의 이해를 기초로 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도구는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을 측정하기 위해 Olson, Portner, Lavee(1985)가 개발한 FACES Ⅲ를 한상분(1992)이 번안한 척도와 일상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Delongis, Folkman 및 Lazarus(1988)가 사용한 스트레스 척도를 김정희(1995)가 번안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Endler와 Parker(1990)가 개발한 CISS를 바탕으로 조한익(2000)이 번안한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각 변인들의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ANOVA,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은 평균 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어 자신의 가족에 대해 비교적 건강하게 인식하고 있다. 가족의 단합과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인식이나 정서적 유대감이 높고 가부장적인 가족구조에서 벗어나 역할, 관계에 있어 융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적 스트레스는 평균 보다 낮게 지각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심각한 취업난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시대적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스트레스 중에서 내가 하는 업무, 적성에서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생활비, 교육비, 여가비용 등 경제적 문제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있어 적극적 대처방식이 소극적 대처방식 보다 조금 높게 지각하고 있다. 대학생들은 주로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스스로 자신감과 용기를 가지며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을 보이며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구체적인 활동계획을 세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가족응집성은 학년, 전공, 모 최종학력, 월평균 가구소득 변인에서 적응성은 모 최종학력과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응집성과 적응성 모두 모 최종학력과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 일상적 스트레스는 나이, 전공, 월평균 가구소득 변인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별, 나이, 학년, 부모 생존 여부, 가족구성원 수, 부 최종학력, 모 최종학력,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응집성, 적응성 및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모두 월평균 가구소득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력과의 상관성을 보인다.
다섯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을 낮게 지각할수록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족에서 오는 책임감, 지나친 기대와 같은 과잉 부담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더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적극적인 대처방식이 높게 나타났고, 가족적응성 수준을 낮게 지각할수록 소극적 대처방식이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일상적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소극적 대처방식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의 적응 등의 개인차가 있으나 일상적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긴장하거나 짜증을 부리고 남에게 화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학생들은 개인주의가 아닌 가족구성원으로 함께 한다는 의식이 자리 잡고 있으며 가족 내의 권력구조 및 역할 등이 가부장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적 스트레스는 시대적 상황과 취업난으로 인해 자신의 업무 및 적성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대학생들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있어 비교적 구체적인 계획과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을 높게 지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부모와의 의존관계에서 벗어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족의 기능과 관계에 대한 교육 및 스트레스 관리와 대처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nd find out realization of family coherence and adaptability that they have. It is based on understanding trait the way they handle stress from these things and it is purpose on providing them basic data to deal with it effectively.
I used FACES Ⅲ developed by Olson, Portner, Lavee(1985) to look into family coherence and adaptability, and to check scale of stress by Han, sang bun and to measure daily stress I used Delongis, Folkman and Lazarus(1988)which developed by Kim jung hee.
I analysised these collected material by using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I calculate the gender of the respondents'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to find out their general trait and inspect ANOVA, Duncan to find out difference among groups of variables.
This is what I summarized.
First, they realize about family coherence and adaptability above the average, second, stress from daily life they get is below the average, but it is based on employment war and economy difficulty, they get more stress from their work and aptitude for their job.
Third, they realize more highly about handling stress better than passive handing.
Fourth, according to social population, family coherence show difference among grade, major, mother's education and family monthly income and adaptability show difference between mother's education and family monthly income.
When the higher education and family income, the higher they realize both family coherence and adaptability.
Daily stresses are from age, major, family monthly income, wealth and both parents education and handing stress differences of gender, age, grade, whether their parents live or not, both parents' education and family monthly income.
Fifth, the less realize family coherence and adaptability, the high they get stress. this is because they have responsibility, burden like a highly expect, so they get stress sensitively.
Sixth, the more realize family coherence and adaptability, the higher progressive handing the problems
The less realize family coherence and adaptability, the higher passive handing the problems.
Seventh, the more they get stress highly from daily life, it is high passively how to control their stress.
University students realized that they are one of the family member not a individualism and the power structure in family is not patriarchal.
Daily stress is a large potion of importance because of situation of employment war and their work and aptitude and they aware highly of progressive deal with their stress to prioritize specific plan and work for handling their stress.
That's why we should make a program about their family relationship and how to handle their stress for university students who don't depend on their parents anymore.
Author(s)
김면정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895
Alternative Author(s)
Kim, Myun J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혜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용어의 정리 3
1) 가족응집성 3
2) 가족적응성 3
3) 일상적 스트레스 3
4) 스트레스 대처 4
Ⅱ. 이론적 배경 5
1. 가족응집성과 적응성 5
2. 일상적 스트레스 8
3. 스트레스 대처방식 10
4. 선행연구 12
1) 가족응집성, 적응성 12
2)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14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6
1. 연구문제 16
2. 측정도구 17
1) 가족응집성 적응성 척도 17
2)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17
3) 스트레스 대처 척도 18
3.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19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19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4. 자료처리 2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3
1. 가족응집성과 적응성 및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전반적인 경향 23
1) 가족응집성, 적응성의 전반적인 경향 23
2) 일상적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 26
3)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전반적인 경향 29
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응집성, 적응성 및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32
1)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응집성, 적응성 32
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36
3)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39
3.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43
4.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44
5. 일상적 스트레스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 45
Ⅴ. 요약 및 결론 47
1. 요약 47
2.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5
Absrtact 59
부록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면정. (2010).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적응성 및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