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東洋畵의 餘白과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search on the blank and space structure of Oriental Paintings
Abstract
산업사회의 출현은 어느 민족이나 국가도 피할 수 없는 역사적 과정이 되었다. 이런 산업사회에 맞는 삶의 양식이 요구되면서 정신, 문화, 예술이 우리 사회에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었다. 이에 현대인들은 전통문명, 문화, 예술의 소중한 가치와 정신에 눈을 뜨기 시작하였고, 동양의 정신과 예술에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다.
동양의 회화는 대상의 내면세계와 정신성을 표현해내는 것을 가장 중요시했다. 함축적이고 단순한 선과 여백을 통해 보다 더 많은 것을 표현하고자 했다. 동양의 미술가들은 자연을 표현하기보다는 기운생동을 통해 살아있는 자연을 창조해 낸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실제로 작업을 하는 시간보다 자연을 관조하고 명상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다. 즉 창작활동은 인간이 자연의 일부분으로서 자연과 더불어 어떻게 살아 나가야 하는지를 깨달아가는 과정이기에 대상을 표현해내는 단순한 미의 추구가 아니라 화가 자신이 자연에 대한 이해와 깨달음을 표현하는 수단인 것이다.
즉 동양화는 자연의 대상을 재현하는 데 그 목표를 두지 않고 자연에 대한 깨달음과 내면의 세계를 담아내는 것이다. 또한 동양화는 공간의 구성에 있어서 여백을 활용하여 자연의 전부를 표현해 내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동양회화의 기본정신과 동양화의 구성요소 가운데 가장 동양인의 정신세계를 잘 대변해 보여주고 있는 여백 표현의 조형적 특징과 여백이 의미하는 정신세계의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동양회화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동양화 창작의 기본적인 요소로 삼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산수화에 나타난 여백은 화면에 있어 유와 무의 상호작용을 하고 활력과 생기를 불어 준다. 또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자연의 법칙과 변화를 나타내고자 함이며 동양화의 기본사상이 되는 유교와 도교에서 추구하는 이상향을 의미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공간은 화가의 내적 세계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백은 인간에게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휴식과 편안한 공간을 부여해 주고 인간의 소망을 실현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동양 산수화에 나타난 여백은 자연 경물과 그 철학적, 미학적 의미를 함축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이상적인 수단이며 현대회화의 구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나아가 동양화는 그 여백을 통해 여유로움과 무욕, 소박함과 진솔함, 탈속의 초연함을 자연스럽게 나타내어 왔기에 오늘날 각박한 경쟁사회 속에서 우리에게 더욱 새롭게 그 의미를 시사해 준다.
For being modernized the appearance of an industrial society was one of unavoidably historical processes. Following these changes, there were many requirements of new life form on the cultural, artistic and spiritual modern life. Therefore, there was concerned about value of tradition, culture and art, furthermore, these highly interests of the Oriental spirit help to understand about the Oriental art.
Oriental pictures are placed a high value on expression of the inner world and sprit and there was also much efforts to express through implicative and simple line with blank. Oriental artists regarded painting as more of creating live nature with animated elegance rather than expressing the nature . That is why they spent more time observing the nature and meditating than actually working on the art works. Creative work, which is the course of understanding about how to be part of nature and to live together, is the way of expression of comprehension and realization of nature rather than the pursuit of beauty. Consequently, an Oriental painting is not only focused on revival object of nature but there is also much effort to express all nature used by blank.
This thesis aims to comprehend the spirits of the Oriental paintings and nurture creative developments highlighting the formative traits of blank space, the most characteristic element of Oriental mentality and painting, and its spiritual expression.
The meaning of blank or background on a landscape painting displays energy and sprit of reciprocal action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In addition, there is also effort to express the law of nature and changes above the limits of thought. These blank could be the Oriental religious Utopia which is possible to show the connotative inner world of artists.
Research method consis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and Korean paintings, landscape painting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terms of the spiritual and aesthetic value in the structure of the Oriental paintings-the importance of blank spaces and expression methods. Examining the thoughts and views on nature of the great philosophers that lie in the basis of the Oriental paintings will preced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2009. 08.
Author(s)
장여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27
Alternative Author(s)
Jang, Yeo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강동언
Table Of Contents
서 론・・・・・・・・・・・・・・・・・・・・・・・・・・・・・・・・・・・・・・・・・・・・・・・1Ⅱ. 동양화의 의미와 변천・・・・・・・・・・・・・・・・・・・・・・・・・・・・・・・・・31. 동양화의 의미・・・・・・・・・・・・・・・・・・・・・・・・・・・・・・・・・・・・・・・・・・・・32. 동양화의 발생과 변천・・・・・・・・・・・・・・・・・・・・・・・・・・・・・・・・・・・・・63. 산수화의 발생과 변천・・・・・・・・・・・・・・・・・・・・・・・・・・・・・・・・・・・・・10Ⅲ. 동양화의 여백과 공간 개념・・・・・・・・・・・・・・・・・・・・・・・・・・・・・141. 여백의 개념・・・・・・・・・・・・・・・・・・・・・・・・・・・・・・・・・・・・・・・・・・・・・142. 여백의 사상적 배경・・・・・・・・・・・・・・・・・・・・・・・・・・・・・・・・・・・・・・・183. 동양화의 공간 개념과 여백・・・・・・・・・・・・・・・・・・・・・・・・・・・・・・・・21Ⅳ. 산수화 작품을 통한 여백 분석・・・・・・・・・・・・・・・・・・・・・・・・・・241. 중국 산수화와 여백・・・・・・・・・・・・・・・・・・・・・・・・・・・・・・・・・・・・・・・242. 한국 산수화의 여백・・・・・・・・・・・・・・・・・・・・・・・・・・・・・・・・・・・・・・・38Ⅴ. 결 론・・・・・・・・・・・・・・・・・・・・・・・・・・・・・・・・・・・・・・・・・・・・・・・・52참고문헌・・・・・・・・・・・・・・・・・・・・・・・・・・・・・・・・・・・・・・・・・・・・・・・・・・・54영문초록・・・・・・・・・・・・・・・・・・・・・・・・・・・・・・・・・・・・・・・・・・・・・・・・・・・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장여진. (2009). 東洋畵의 餘白과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