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리더-부하의 교환관계가 부하의 정서적 반응과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LMX affects in emotional reaction and duty accomplishment of the subordinate
Abstract
본 연구는 LMX 질의 결과변수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에서 탈피하여 LMX 질이 부하의 정서적 반응을 매개로 결과변수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부하의 정서적 반응 자기효능감과 직무동기를 선정하였다. 이들 변수들은 다른 정서적 반응 변수에 비해 직무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수로 최근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직무수행 변수로 과업수행과 혁신수행을 선정하였는데, 이는 직무수행의 성과를 다차원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간의 직무수행변수 측정이 과업수행이나 맥락수행(혹은 조직시민행동), 적응수행(혹은 혁신행동)을 구분하여 결과변수로 이용되어 왔는데 본 연구는 직무수행에 과업수행과 혁신수행을 포함함으로써 직무수행의 다차원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맥락수행을 제외한 이유는 LMX 질 연구와 관련하여 맥락수행을 결과변수 선정한 연구가 다수이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양자간의 긍정적 관계가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범주에서 수행되었다. 첫째, LMX 질과 부하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동기간의 선형관계를 검증한다. 둘째, LMX 질과 부하의 직무수행 즉, 과업수행과 혁신수행간의 선형관계를 검증한다. 셋째, 부하의 정서적 반응(자기효능감, 직무동기)와 직무수행(과업수행, 혁신수행)간의 선형관계를 검증한다. 넷째, LMX 질과 직무수행(과업수행, 혁신수행)간의 부하의 정서적 반응(자기효능감, 직무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MX 질이 부하의 직무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직무동기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는 상사와 부하간 수평적 교환관계 형성이 부하 자신의 직무능력에 대한 긍정적 가치판단과 직무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LMX 질은 부하의 과업수행과 혁신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상사와 부하간 수평적 교환관계 형성이 부하의 과업수행도 뿐만 아니라 직무에 대한 혁신적 행동도 많이 유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부하의 직무에 대한 정서적 반응인 자기효능감과 직무동기는 과업수행과 혁신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자신의 직무에 대한 긍정적 가치 판단과 직무에 대한 열정을 지진 부하들일 수록 과업수행 및 혁신수행도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자기효능감 및 직무동기는 LMX 질과 직무수행(과업수행, 혁신수행)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다. 이는 LMX 질과 직무수행의 직접적 관계보다는 LMX 질이 부하의 정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우선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연구결과에 따른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수행의 구성개념을 확대하여 다차원적으로 접근한 결과 과업수행, 혁신수행의 분별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조직구성원들이 두 가지 수행개념을 차별적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간의 경영학 분야의 연구에서 직무수행을 과업수행과 맥락수행(혹은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한 2차원의 연구가 있었으나 혁신수행까지 포함하여 분별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오늘날 같이 불확실성이 높은 기업환경 하에서 직무수행을 직접적인 직무관련활동에만 한정시키는 것은 기업성과를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은 많은 학자 및 실무가들에 의해 수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과업활동과 같은 역할 내 행동뿐만 아니라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혁신행동까지를 포함한 개념으로 직무수행의 개념을 확대하고 개념의 분별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직무수행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이 가능성을 넓혀 주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직무와 관련된 부하의 정서적 반응인 자기효능감과 직무동기는 직무수행의 선행변수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과 직무동기가 직무수행을 설명하는 분산비율이 36.7%로 나타났다. 이를 결과변수에 미치는 여러 정서적 변수를 발견하기 위한 연구들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치이다. 따라서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반응을 탐구하는 연구에서 자기효능감과 직무동기는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변수이다.
셋째, 리더십 연구에 있어 직무와 관련된 자기효능감과 직무동기에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한다. 새로운 형태의 리더십들은 리더가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쳐 출중한 성과를 내는 데에 작용하는 심리적 과정을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의 공통된 가정은 인간은 환경에 대하여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기보다는 이를 능동적으로 지각하고 그 지각에 근거하여 적극적으로 환경에 대응해 나가는데 이때 강한 정서적 반응은 불확실한 환경을 개척해 나가거나 새로운 변화에 적응해 나갈 때 중추적 힘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최근 이러한 강한 정서적 반응으로 관심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직무와 관련된 정서적 반응(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직무동기 등)들이다. LMX가 궁극적으로 부하에게 열정을 불어넣고 그 열정이 자발적 행동으로 이어지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있기 때문에 향후 리더십 교육은 리더행동과 직무관련 정서적 반응의 관계를 명확히 인식시키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게 하는 것을 주요 교육 목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넷째, 상사들은 리더십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LMX 등 리더십의 직접적 효과에만 치우치지 말고 이것이 직무 관련 정서적 반응과 연결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LMX 질 및 다른 형태의 리더십이 어떻게 얼마나 구성원의 직무관련 정서적 반응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고, 이러한 정서적 반응의 결과가 어떻게 직무수행으로 이어지는 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야 한다.
This study which sees exuviate from direct affects in LMX qualities resultant variables and LMX qualities emotional reaction of a subordinate 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which with mediation reaches in resultant variable under confirming should be boiled. Selected emotional reaction of self-efficacy and a duty motive specially.
These variables compare in different emotional reaction variable and with the variable which has the relation which is close with a duty accomplishment they are recently reported. also selects a task accomplishment and a renovation accomplishment with duty accomplishment variable, this is because being will be able to confirm result of duty accomplishment as the multi- dimension.
The duty accomplishment variable measurement of the while divides task accomplishment or connection accomplishment (or organization civil conduct), adaptation accomplishment (or renovation conduct) has been used but with resultant variable and the research which sees includes a task accomplishment and a renovation accomplishment with attempted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duty accomplishment in duty accomplishment.
The reason which excepts a connection accomplishment from the research which sees relates with LMX qualitative researches and the research which selects a connection accomplishment with resultant variable is majority, the affirmative relationship of quantum between being given proof from research of most because is.
This study which sees was accomplished on a large scale from 4 kind category.
First, Verifies the functional relation of a subordinate self - efficacy, LMX quality and duty blood brotherhood.
Second, Duty accomplishment of LMX quality and the staff namely, verifies a task accomplishment and the functional relation of renovation accomplishment between.
Third, Emotional reaction of the staff (self-efficacy and duty motive) with duty accomplishment between (task accomplishment and renovation accomplishment) verifies the relationship of function.
Fourth, LMX quality and duty accomplishment (task accomplishment and renovation accomplishment) emotional reaction of the staff (self-efficacy, duty motive) verifies a mediation effect.
When summarizes a research result, as followings.
1. LMX qualities verified affirmative affects self-efficacy and duty motive about duty of the subordinate. This the horizontal commutation relation formation of the superior and subordinate between being a possibility of affecting affirmative in affirmative value judgment and duty motive about ability of subordinate oneself, mean.
2. LMX qualities verified an affirmative effect in task accomplishment and renovation accomplishment of the subordinate. This the horizontal commutation relation formation of the superior and subordinate between not only task accomplishment of the subordinate renovation conduct plentifully being a possibility of becoming the mortar about duty, mean.
3. About duty of the subordinate the self-efficacy which is an emotional reaction and duty motive affirmative effect are in the task accomplishment and renovation accomplishment. This about duty of oneself also the subordinate one recording task accomplishment which has an passion and innovation accomplishment appearing plentiful about affirmative value judgment and duty, mean.
4. Self-efficacy and duty motive LMX quality and duty accomplishment (task accomplishment and renovation accomplishment) are meditating a relationship completely. This direct relation of LMX quality and duty accomplishment must consider LMX qualities affect in emotional reaction of the subordinate, mean.
Author(s)
김진배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860
Alternative Author(s)
Kim, Jin Ba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Department
경영대학원 무역학과
Advisor
김희철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제2절 연구방법 및 구성 4
1. 연구방법 4
2. 논문의 구성 4
제2장 이론적 배경 6
제1절 리더-부하의 교환관계 6
1. 리더-부하의 교환관계의 정의 및 발전단계 6
2. 리더-부하의 교환관계 질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9
3. 리더-부하의 교환관계 질의 측정 14
제2절 자기효능감과 직무동기 15
1. 자기효능감 15
2. 직무동기 19
3. 리더-부하의 교환관계와 자기효능감 및 직무동기의 관계 22
제3절 직무수행 24
1. 과업수행 24
2. 혁신수행 26
3. 리더-부하의 교환관계와 직무수행의 관계 30
4. 직무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직무수행의 관계 32
제3장 연구의 설계 36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6
1. 연구모형의 설계 36
2. 연구가설의 설정 37
제2절 변수의 정의 및 조사설계 40
1. 변수의 정의 40
2. 설문구성 및 조사방법 42
제4장 실증분석 43
제1절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43
1. 표본의 특성 43
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4
제2절 가설검증 47
1. 리더-부하의 교환관계와 정서적 반응의 관계 47
2. 리더-부하의 교환관계와 직무수행의 관계 48
3. 부하의 정서적 반응과 직무수행의 관계 49
4. LMX 질과 직무수행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51
5. LMX 질과 직무수행간 직무동기의 매개효과 52
제5장 결론 54
제1절 요약 및 시사점 54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56
참고문헌 58
영문초록 64
설문지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Citation
김진배. (2010). 리더-부하의 교환관계가 부하의 정서적 반응과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International Trad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