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마인드맵을 활용한 chunking 활동이 아동의 영어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Chunking Activity through Mind Map on Improving Students' English Vocabulary
Abstract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언어의 어휘를 풍부히 알고 있어야 한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 어휘란 저절로 습득되어지는 게 아니므로 의도적인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어휘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chunking 활동이 아동의 영어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으로 실험 집단은 남학생 19명, 여학생 12명으로 총 31명, 비교 집단은 남학생 18명, 여학생 13명 총 31명으로 설정하여 실험 처치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본 연구자가 개발하여 사전, 사후 측정하였고, 이러한 실험 결과의 처리는 SPSS /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chunking 활동은 P<.01 수준에서 아동의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마인드맵과 chunk를 활용한 어휘 학습은 P<.001 수준에서 상위, 중위, 하위 집단 아동의 수동적 어휘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하위 집단의 수동적 어휘 향상에 매우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마인드맵을 활용한 chunking 활동은 영어 어휘력의 신장뿐만 아니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및 자신감,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태도, 영어 어휘 학습 실태 등 영어 어휘 학습 태도 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chunking 활동은 아동의 영어 어휘력 향상과 영어 어휘 학습 태도 변화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의미를 기계적으로 전달하고 암기시키는 어휘 학습 방법을 고수하기보다는 어휘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창의적인 노력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흥미과 관심을 끌 수 있고 혼자서도 무난히 할 수 있는 다양한 어휘 학습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unking activity through mind map on students' English vocabulary in that English vocabulary cannot be acquired in itself in an EFL context as in Korea; we have to exert ourselves a lot more and spend some time and effort on the systematic teaching-learning of vocabula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for 32 weeks with two classes of 6th graders in D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Seoguipo, Jejudo.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31 students including 19 boys and 12 girls, and the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31 students including 18 boys and 13 girls.
For evaluation tools vocabulary tests were developed to rate the acquisition of passive vocabulary and active vocabulary and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on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using SPSS/Win 1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unking activity through mind map showed a rather remarkable and meaningful difference (P<.01) in the improvement of passive vocabulary and active vocabulary.
Second, the chunking activity through mind map showed a rather remarkable and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the improvement of passive vocabulary of students at three different levels of competence-- high, medium, and low. Especially, the low-level group's students revealed a high degree of difference in passive vocabulary than the other groups.'
Third, the chunking activity through mind map creat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vocabulary learning. It is not only improving English language abilities but also having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 learning of English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ro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chunking activities through mind map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learning and an increase in their vocabulary. Therefor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need to stop teaching vocabulary by rote; instead, they should develop a more systematically organized method of vocabulary learning which will continuously attract students' concern and interest and which students can put into practice by themselves.
Author(s)
양효선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195
Alternative Author(s)
Yang, Hyo S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Advisor
홍경선
Table Of Contents
목 차
국문 초록 ⅰ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연구의 제한점 4
4.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5
1. 마인드맵 5
2. Chunk 11
3. 어휘 학습 14
4. 마인드맵과 chunk의 어휘학습에서의 활용 20
5. 선행 연구 고찰 25
Ⅲ. 연구 방법 28
1. 연구 대상 28
2. 연구 도구 28
3. 연구 절차 32
4. 자료 처리 41
Ⅳ. 연구 결과 42
1. 어휘력 검증 42
2. 어휘 학습 태도 검증 46
Ⅴ. 논의 56
Ⅵ. 결론 및 제언 59
1. 결론 59
2. 제언 60

참 고 문 헌 61
ABSTRACT 65
부 록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효선. (2010). 마인드맵을 활용한 chunking 활동이 아동의 영어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