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어휘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는 「老乞大」라는 하나의 원본을 바탕으로 각각 16세기 초와 17세기 말에 언해 ․ 편찬됨으로써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 이어지는 어휘를 한눈에 살피기에 이상적인 자료인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두 문헌에서 쓰이는 어휘를 비교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즉, 이 연구는 「老乞大」의 언해본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어휘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국어사적 특징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고유어가 한자어로 변한 어휘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즉, 「飜譯老乞大」에서 고유어로 쓰이던 것이 「老乞大諺解」에서 한자어로 대체된 것을 살펴봄에 있어 고유어 구절의 한자어 대체와 고유어 어휘의 한자어 대체로 나누고 그 목록과 예문을 함께 제시하였다. 반면, 원래 고유어였던 것이 한자어로 변한 어휘 4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고유어의 고유어 대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모두 81건의 어휘를 추출해 내고 그 어휘의 양상을 두 문헌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에서 어형을 어떻게 달리하며 언해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비교 결과 표기법 변화, 어휘교체, 어휘소멸, 어형변화에 따라 나눌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국어사적 특징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Ⅲ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어휘가 쓰인 예문을 함께 제시하였다.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비교 연구 결과근대 국어 어휘는 중세 국어 어휘를 이어받으면서 언어 내적 ․ 외적 변화를 겪으면서 형성되는데 양자 간 어휘는 극심한 단절을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유어에서 한자어로 대체되는 양은 근대국어로 올수록 더 심해지는데 이는 언해자의 표기 태도, 어휘 선택 등과 관계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ocabulary used in the two old books "[Beonyeok Nogeoldae 「飜譯老乞大」] and [Nogeoldae-eunhyae「老乞大諺解」]" which are annotated editions of [Nogeoldae 「老乞大」] and ideal material that enables us to grasp easily vocabulary handed down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because they were annotated and edited in the early 16th and in the late 17th century respectively. Namely, this study focused on and investigated diachrony of vocabulary used in [Beonyeok Nogeoldae 「飜譯老乞大」] and [Nogeoldae-eunhyae「老乞大諺解」]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history.

ChapterⅡ presents vocabulary which turned from native Korean words into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Namely, this chapter looked into how words used as native Korean words turned into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presents both a list and sample sentences by dividing them into two cases of replacing native Korean phrases with phras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replacing native Korean words with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this chapter investigated four words which turned from native Korean words into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hapterⅢ investigated a process of replacing native Korean words with native Korean words. This study picked out 81 words and analyzed aspects of those words by comparing the two editions: that is, how those words changed word form and how those words were annotated. As a result of comparison,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orthographic change, word replacement, word disappearance and word form change and also found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history. ChapterⅢ also introduces sample sentences including those words.

This comparative research of [Beonyeok Nogeoldae 「飜譯老乞大」] and [Nogeoldae-eunhyae「老乞大諺解」] found that although modern times' Korean vocabulary inheriting vocabulary of the Middle Ages has been formed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of language, it does not witness extreme disconnection. And the amount of vocabulary which turns from native Korean words into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creases in accordance as Korean language approaches modern times, which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orthography and word choice on the part of translator.
Author(s)
송경미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62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김태곤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방법 3
3. 선행 연구 4

Ⅱ. 고유어의 한자어 대체 7

1. 고유어 구절의 한자어 대체 9
2. 고유어 어휘의 한자어 대체 12

Ⅲ. 고유어의 고유어 대체 26

1. 表記法 변화 27
2. 어휘 교체 35
3. 어휘 소멸 54
4. 어형 변화 57

Ⅳ. 결론 69

73
7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송경미. (2009).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어휘 비교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