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연결어미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nective Endings in 「Byeonyeok-Nogeoldae」 and 「Nogeoldae-Eonhae」
Abstract
이 연구는 「老乞大」라는 하나의 원본을 바탕으로 각각 16세기 초와 17세기 말에 언해ㆍ편찬됨으로써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 이어지는 언어 변천을 한눈에 살피기에 이상적인 자료인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두 문헌에서 쓰이는 연결어미를 비교ㆍ검토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즉, 이 연구는 연결어미의 종류와 의미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연결어미의 사용 빈도수를 뽑아내어 「飜譯老乞大」에서 「老乞大諺解」로의 변화 모습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현대국어의 문법에 기초하여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연결어미를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학자마다 연결어미를 분류하는 방식이 다르므로, 기능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에서 학자들이 제시한 연결어미의 목록을 제시함으로써 이 연구를 위한 연결어미의 분류에 기초로 삼았다. 그리고 보조적 연결어미와 어울리는 보조용언은 그 경우가 제한적이므로 보조적 연결어미와 어울리는 보조용언의 목록을 만들어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결어미를 기능적 측면에서 대등적ㆍ종속적ㆍ보조적 연결어미로 나누고 다시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연결어미를 세분화하여 각각의 연결어미의 구체적인 의미와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대등적 연결어미를 의미에 따라 '나열', '병행', '상반'으로 나누어서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에서의 쓰임 양상과 변화를 고찰하였다. 2절에서는 종속적 연결어미를 의미에 따라 '원인ㆍ이유', '조건ㆍ가정', '양보', '목적', '의향ㆍ의도', '희망ㆍ희구', '한도', '연속', '양태', '수단ㆍ방법', '중단', '긍정 대상'으로 나누어서 구체적인 쓰임을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보조적 연결어미를 '-아/어', '-고', '-게', '-디'로 파악하고, 이들과 결합하여 쓰이는 보조용언의 예들을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에서 찾아 제시하였다. 그리고 4절에서는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비교 연구를 통한 결과를 추출해 내고 각 연결어미의 사용 빈도수를 표로 정리하였다.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를 비교 연구한 결과 두 가지의 특징적인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음운론적인 조건이나 형태론적인 조건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던 연결어미가 일부 형태로 통일되는 경향을 띠었다. 둘째, 연결어미가 간이화되는 경향을 띠었다. 15세기 중세국어에서는 엄격하던 연결어미의 교체 현상이 16세기 중세국어인 「飜譯老乞大」에서는 대체로 잘 지켜지고 있지만 근대국어인 「老乞大諺解」로 오면 음운론적ㆍ형태론적인 조건에 상관없이 연결어미들이 쓰이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렇게 일정한 교체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면서 연결어미의 종류 역시 근대국어로 올수록 간이화되는 경향을 띠었던 것이다.
Author(s)
김희선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91
Alternative Author(s)
Kim, Hee-s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김태곤
Table Of Contents
〈國文抄錄〉

Ⅰ. 서 론 ……………………………………………………… 1
1. 연구 목적 ………………… …………………………… 1
2. 연구 방법 ……………………………………………… 2
3. 선행 연구 ……………………………………………… 3

Ⅱ.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연결어미 분석 …………… 5
1. 중세국어의 연결어미 ……………………………… 5
2. 근대국어의 연결어미 … ………………………… 7
3. 보조적 연결어미 …………………………………… 8

Ⅲ.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연결어미 비교 ……… 9
1. 대등적 연결어미 …………………………………… 9
1) 나열 ………………………………………………… 9
2) 병행 …………………………………………………12
3) 상반 …………………………………………………13
2. 종속적 연결어미 ……………………………………15
1) 원인 이유 ………………………………………15
2) 조건 가정 ………………………………………23
3)양보 ………………………………………………30
4)목적 ……………………………………………35
5)의향 의도 ………………………………………36
6) 희망 희구 ………………………………………37
7) 한도 ………………………………………………39
8) 연속 ………………………………………………40
9) 양태 ………………………………………41
10) 수단 방법 …………………………………44
11) 중단 ……………………………………………44
12) 긍정대상 …………………………………………47
3. 보조적 연결어미 ……………………………………48
4. 연결어미 비교의 결과 ……………………………54

Ⅳ.결론 ……………………………………………61

〈참고문헌〉……………………………………………65
〈Abstract〉……………………………………………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김희선. (2007). 飜譯老乞大와 老乞大諺解의 연결어미 비교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