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부부관계 유형에서 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lations between damages of women victims from home violence and social support
Abstract
이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가 있는지, 피해여성들의 사회적 지지 근원들로부터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의 양과 질 그리고 부부관계 유형과 사회적 지지근원에 따라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 근원에 따라 어떠한차이가 있는가?
셋째, 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도에 가정폭력 피해여성 10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써 피해수준은 Straus(1996)가 개발하였고 손정영(1997)에 의해 우리나라의 실정에 알맞게 수정․보완된 피해수준 척도(CTS2)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p<0.05, p<0.01, p<0.001 수준에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배경변인에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 차이 검증에는 t-검증과 F 검증을 실시하였고,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그리고 부부관계유형과 사회적 지지 근원에 따른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으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는 사회적지지가 높으면, 피해수준이 낮은 양상의 양 변인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 중 의미있게 나타난 결과로는 정서적 지지를 충분히 받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은 완충효과로서 심리적 피해수준이 낮은 p<0.001 수준의 높은 부적 상관으로 통계상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그 피해수준 정도를 살펴본 결과, 약한 폭력은 기본으로 경험했으며, 평균폭력인 3-5회 이상인 심각한 폭력도 전체 조사대상자의 43.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정도는 총점 5점 기준으로 평균 3.70점(표준편차 .51)으로 '거의 그렇다' 정도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평가적지지 > 정보적지지 > 정서적 지지 > 물질적 지지 순으로 제공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지별로 도움을 받는 근원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지는 근원간 차이가 없고, 정보적 지지는 사회 > 가족 > 친구 > 이웃 순서로, 물질적 지지는 가족 > 친구 > 사회 > 이웃의 순으로, 평가적 지지는 사회 > 가족 > 친구 > 이웃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피해여성은 이웃이 사회적 지지 근원으로서 역할이나 영향은 미미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사회적 지지를 총체적으로 봤을 때 가족 > 사회 > 친구 > 이웃 순으로 지지를 제공받고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부부관계유형에 따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의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혼소송중인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신체적 피해수준과 상해 피해수준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고, 부부관계 유형 결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넷째, 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지지 정도를 살펴본 결과, 이혼소송중인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정보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고 부부관계 유형 결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가정폭력 피해여성은 피해수준이 높으면, 사회적 지지 정도가 낮고, 부부관계 유형에 따라 신체적, 상해 피해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사회적지지 근원으로서 사회의 역할의 가족 다음 순위로서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국가적 정책적 차원에서 가정폭력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인프라를 구축한다면 바람직한 부부관계유형을 결정하고 폭력 대처에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relations between damage of woman's victim of home violence and social support, and what differences between quantity and quality of social support for woman victim and damage and social support depending on marital relations and source of social support exist. For these purposes. following subjects are assigned.
First, What relations between damage of woman victim from home violence and social supports exist?
Second, what are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s for woman victims depending on source of social supports?
Third, what are damage of woman victims from home violence and social support depending on marital relationship?
In order to solve these subjects, survey by questionnaire is carried out for 108 of woman's victim from home violence in Jeju province.
For measuring tool of damages, damage level scale (CTS2) which was developed by Straus (1996) and revised and custom-tailored to our country by Son Jung Young (1997) is used, and scale developed by Park Ji Won (1985) is used for measuring social supports.
With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d percentage is calculated within level of significance of p<0.05, p<0.01 and p<0.001 to address general characteristics for targeted women, and t-verification and F verification are carried out to clarify damage of woman victim from home violence and social support,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checking correlations between damages and social support is carried out, and verification is carried by one-way ANOVA in order to differences between damage level and social support depending on marital relations and source of social support. As the result, following conclusions are acquired. First, based damages of targeted women and social support, they are reported to experience weak violences, and 43.8% of those women are reported to experience severe violences with average of 3-5 times a week.
Level of social support is supported to the extent of 'almost yes' with average
3.70 (standard deviation .51) based on total score of 5 points, and it is reported that they recognize social supports are provided in order of evaluation support > informative support > emotional support > physical supports.
Second, as result of analyzing basic differences between social support for woman victims and nothing for them, emotional supports has no difference, and informative supports appeared by sequence of society > family > friend > neighbors, and physical support appeared by sequence of family > friend > society > neighbor.
As the result, woman victim felt that neighbors hardly plays its role as a source of social supports, and in terms of overall social supports, it appeared that supports are provided as sequence of family > society > friend > neighbor.
Third, as the result of variable analysis for damage of woman victim depending on martial relations, those who are under divorce process are reported to think that they suffered with higher physical damages compared with other women indicating that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for determine marital relationship.
Fourth, as the result of checking level of social supports depending on marital relations, it is reported that those who are under divorce process think that physical and informative supports a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dicating that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for determine marital relationship.
To summarizing these result, the higher level woman victim from home violence have, the less social supports are, and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physical damages depending on marital relationships, and social roles are increasing following that of family as source of social supports. These means that if education for preventing home violence and building infrastructure by government policies are carried out, those can be used for useful resources to determine desired marital relations and preventing violences.
Author(s)
고은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834
Alternative Author(s)
Go, Eun B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박태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가정폭력 6
2. 가정폭력의 피해수준 13
3.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 지지의 근원 17
4.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부부관계유형 23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측정도구 27
3. 자료처리 방법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0
1.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상관분석 30
2.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지 근원간 차이검증 34
3.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피해수준 정도 40
4.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부부관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 정도 42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44
1. 요 약 44
2. 결 론 47
3. 제 언 48

참고문헌 50
Abstract 60
부 록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은비. (2009). 부부관계 유형에서 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피해수준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