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bstract
본 연구는 부부 의사소통이 실제로 어떤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부 의사소통에서 남편과 아내의 의사소통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부부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내 5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73명, 아동의 어머니 273명, 아버지 2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부 의사소통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Hawkins, Weisberg 및 Ray(1977, 1980)가 개발하고 원효종(1984)이 수정, 보완한 후 김인숙(1988), 김요완(2000)이 사용한 10문항의 부부 의사소통 유형 측정 설문을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Coopersmith(1967)와 Pope, McChale 및 Craighead(1988) 등의 연구를 참고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개발하고 전승배(2000)가 사용한 총 32문항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t검증,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의사소통에서 남편과 아내 모두 억제형이나 차단형보다는 친숙형 혹은 분석형으로 의사소통함으로써 부부간에는 감정표현이 많고 개방적인 의사소통 유형을 좀 더 많이 사용하고 감정을 억제하고 폐쇄적인 의사소통 유형은 보다 적게 사용한다. 그러나 남편은 아내보다 차단형과 분석형을, 아내는 남편보다 친숙형을 더 많이 사용해 남편과 아내의 의사소통 유형의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언어적 표현 정도에 있어서 부부 의사소통 유형이 일치하는 경우보다 불일치하는 경우가 아동의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더 높다.
셋째, 감정노출 정도에 있어 부부 의사소통 유형이 일치하는 경우보다 불일치하는 경우가 아동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더 높다.
넷째, 남편의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 정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아내의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 정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없다.
다섯째, 남편의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감정노출 정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없다. 그리고 아내의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감정노출 정도에 따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없다.

따라서 남편과 아내는 서로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알고 이를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부부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자아존중감을 포함한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부부로서의 역할 또한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s to by which style the marital communication is actually taking place and whether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whil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have been set up to make this possible.

First, how is the communication style between husband and wife in marital communications?
Second, is there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This study has targeted 273 children in fifth and sixth grade of 5 elementary schools within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273 mothers and 273 fathers. In order to measure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s,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questionnaire of 10 questions used by Kim, In-sook(1988) and Kim, Yo-wan(2000) after being developed by Hawkins, Weisberg and Ray(1977, 1980) as well as being revised and improved by Won, Hyo-jong(1984). In order to measure the self-esteem, a self-esteem scale with a total of 32 questions used by Jeon, Seung-bae(2000) after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by Choi, Bo-ga and Jeon, Gui-yeon (1993)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of Coopersmith(1967) and Pope, McChale and Craighead(1988) was used. For all gathered data,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using SPSS WIN 15.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husband and wife use more of open styles and emotional exposure rather than the closed style and emotional suppression as they communicate with contactful or speculative style rather than controlling or conventional style. But a difference exists between husband and wife for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s the husband uses more of controlling and conventional style than the wife while the wife uses more of contactful style than the husband.
Second, a child's social-peer self-esteem and home-parents self-esteem are higher in case the marital communicational style doesn't correspond in the level of verbal expression than in case of corresponding.
Third, a child's social-peer self-esteem is higher in case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doesn't correspond in the level of emotional exposure than in case of corresponding.
Fourth, there is difference in a child'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level of husband's verbal expression shown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Looking by sub-factors, there is difference in the global self-esteem, social-peer self-esteem and school-academic self-esteem.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a child'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level of wife's verbal expression shown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Fifth, there is no difference in a child'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level of husband's emotional exposure shown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lso, there is no difference in a child'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level of wife's emotional exposure shown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So, the husband and wife have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ve difference in their communication style and need to make effort to understand this difference. Also, because the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ct as an important factor having influence on a child's self-esteem, it would be necessary to aware of the fact that the role as a married couple is also importan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hild including self-esteem.
Author(s)
오현주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70
Alternative Author(s)
Oh, Hyun-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목 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3
3. 연구의 제한점 4


II. 이론적 배경 5
1. 부부 의사소통 5
1) 의사소통의 개념과 역할 5
2) 부부 의사소통의 역할과 특징 7
3) 부부 의사소통 유형 고찰 9
2. 자아존중감 15
1) 자아존중감의 개념과 역할 15
2)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가정환경에 관한 고찰 16
3. 부부 의사소통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19


III.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연구도구 24
3. 연구절차 27
4. 자료처리 27



IV. 연구결과 및 해석 30
1. 부부 의사소통에서 남편과 아내의 의사소통 유형 비교 30
2. 언어적 표현 정도에 있어서 부부 의사소통 유형의 일치-불일치에 따른
2.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차이 31
3. 감정노출 정도에 있어서 부부 의사소통 유형의 일치-불일치에 따른
2.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차이 33
4. 부부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 정도에 따른 아동의
2. 자아존중감의 차이 34
5. 부부 의사소통 유형에 나타난 감정노출 정도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차이 37
6. 논의 41


V. 요약, 결론 및 제언 45
1. 요약 45
2. 결론 47
3. 제언 49


참고문헌 50
Abstract 61
부록 6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오현주. (201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