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신규교사의 교직적응력 향상을 위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Beginning Teachers' Adapt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새로 교직에 발을 내딛은 중등 신규교사들에게, 교사로서의 역할수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일년 동안 삶의 모습을 돌아보고, 교직생활에 적응상의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들의 적응과정에서 발휘하거나 습득한 해결방안을 분석하여 정리하고, 나아가 향후 가능한 교직적응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 토대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 .
첫째, 신규교사가 교직적응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은 무엇인가?
둘째, 신규교사를 위한 교직적응력 향상 방안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관내 중등학교 신규교사 중 2004년 3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발령을 받은 177명의 교사 중에서 질적연구에 참여하여 주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7명을 참여시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신규교사는 학급운영과 학생생활지도를 가장 어려워하고 있었다. 이에 학급운영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학급운영의 know-how를 경력교사에게서 배우고자 하고 있어 멘터교사가 지정되어야 한다.
둘째, 신규교사는 생활지도면에서 이기적이고 개인적인 성향의 학생들과 요주의 학생에 대한 상담기법 및 학생지도 사항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토론하는 분임별 연수를 희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신규교사 연수 시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분임별 사례를 토론해 보는 연수가 개설되어야 한다. 또한 대학교과과정에서도 이수 교직과목 중 생활지도에 필요한 상담교과 개설이 요구된다.
셋째, 인간관계면에서는 신규교사가 학교 발령 나기 전 교직적응을 위한 경력교사의 조언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발령동기끼리 동아리 모임을 가져 유사한 고민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으며, 교직원간의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기 위한 동아리 모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무업무면에서는 신규교사에게 사무분장 배정을 교과별 협의를 통해 배정하여 고3담임업무와 학적, 학사 등 과중한 배정은 지양하고, 월중행사가 기록된 달력을 배부하여 학교교육과정 운영에 손쉽게 대비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신규교사는 담임업무와 고3담임, 순회 근무까지 겹친 과중한 업무 배정과 정규 교과 외에 야간자율학습까지 담당하고 있어 교과지도에 대한 교수․학습 개발을 위한 시간확보를 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신규교사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여섯째, 신규교사들이 경력교사 연구수업을 참관하여 수업기법을 배우고자 하고 있으므로 시범수업 참관 기회를 확보하도록 배려해야 하겠다.
일곱째, 교직적응을 전반적으로 돕기 위한 1:1 동일교과 과목인 경력교사와의 멘터링 제도를 원하고 있어, 멘터교사는 신규교사를 면한 향상기인 젊은 층의 교사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신규교사가 교직적응 과정에서 느낀 고충 해결을 위한 신규교사 연수와 멘터링 제도가 실시된다면 신규교사의 교직적응력 향상에 중요한 기능을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 and their life in schools, and find what they feel difficulty when they play their roles in school. Also the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programs for beginning teachers' adaptation based on the analyzing their difficulties in adaptation process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set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ich activities did beginning teachers feel difficulty in? Second, how can we improve beginning teachers' adapt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randomly selected 7 teachers among 177 teachers who had employed since March, 2004.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beginning teachers feel difficulty in the classroom management and guidance. also they want to learn various know-hows for the classroom management and effective instruction form experienced teachers.
Second, beginning teachers want to participate in on-the-job training which are operated in a from of small groups. In the group, they want to analyze various cases and learn skills on guidance, so that they could find solutions for problems they confronted.
Third, beginning teachers need to advices for adaptation from experienced teachers. This can be done by small group meetings.
Fourth, to facilitate adaptation, administrators provide monthly plans on various activities, so that beginning teachers prepare those activities in advance, and beginning teachers should not be taken roles of 12 graders' homeroom teachers, etc.
Fifth, to give enough time for preparing instruction and enhance their skills on instruction, beginning teachers should take less responsibility on school matters
Sixth, beginning teachers should be given much more opportunities to observe experienced teachers' instruction and classroom management.
Seventh, beginning teachers want to have mentors who support and counsel them. Mentoring system will play important roles for beginning teachers' adpatation.
Author(s)
김강옥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16
Alternative Author(s)
Kim,Kang-Oo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박종필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2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4
1. 교사의 전문적 발달과정 4
2. 신규교사의 특징 및 역할 8
3. 신규교사 적응력 향상방안 13
4. 선행연구 24

Ⅲ. 연구 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참여자의 면접과정 28
3. 자료의 수집과 분석 28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30
1. 신규교사가 교직적응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활동 30
2. 신규교사가 느끼는 교직적응력 향상방안 48

Ⅴ. 요약 및 결론 56
1. 요약 56
2. 결론 57

60
66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김강옥. (2007). 신규교사의 교직적응력 향상을 위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