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신수지침, T침, T봉의 시술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linical efficacy of the different types of needles for hand acupuncture : H-needle, T-needle and T-bong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지침 자극 형태가 수지침 시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은 9명의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수지침 3가지 자극 형태, 신수지침, T침, T봉을 고려하였다. 시침 위치는 기초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A1, A3, A5, A8, A12, A16과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한 K13, F6을 공통 처방으로 하고, 추가로 환자의 통증 부위에 따른 상응 부위를 좌, 우수에 자극하였다. 수지침의 시술 효과는 주관적인 통증 척도 VAS (0-10) 및 시술 과정을 기록한 환자의 GSR 신호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시술 후 자극 유형별, 통증 척도 감소의 평균값은 신수지침, T침이 서로 비슷하고, T봉이 이들 보다 약간 높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수준 0.05). 시술 전후 자극 유형별 Base line GSR (스트레스 척도)의 변화는, 주관적인 통증 척도 VAS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시침 시 GSR 신호의 크기(P₁)는 신수지침과 T침이 거의 같고, T봉은 이들의 17% 수준으로 매우 낮았다. 발침 시 GSR 신호의 크기(P₂)는 모든 유형에 대해 시침 시 P₁보다 50% 이상 감소하였다. P₂는 T침에서 가장 높고, 신수지침은 이보다 약간 낮으며, T봉은 T침의 12% 로 매우 낮았다. VAS와 Base line GSR는 상관성이 크지 않지만 (R<0.6), 시침시 VAS와 P₁는 모든 자극 형태에 대해 매우 높은 상관성 (R>0.9)을 보였고, 발침 시 VAS와 P₂ 역시 높은 상관성 (R>0.8)을 보였다. 이것은 GSR 신호의 P₁, P₂ 값은 시침 및 발침 시 통증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T봉은 시침 통증이 거의 없으면서, 시술 효과는 신수지침 및 T침에 비해 낮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test difference in clinical significance of stimulating types of needles for hand acupuncture. Three different types of H-needle, T-needle and T-bong were considered which tested on 9 subjects suffering from pain. The points for acupuncture include A1, A3, A5, A8, A12, A16, K13, F6 which are common for all subjects and additional locations on both hands corresponding for particular types of pain. The outcome of acupuncture was evaluated by a subject pain scale (VAS) rating 0 - 10 together with GSR (a measure of stress) recorded from the subject while undergoing acupunctur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05), reduction in the pain scale after acupuncture was similar between H-needle and T-needle and was slightly higher in T-bong. Changes in base line GSR resulting from acupuncture were similar to those in VAS. The peak amplitude of GSR (P₁) at acupuncturing were almost the same between H-needle and T-needle but was greatly reduced in T-bong to the level of 17% of them. The peak amplitude of GSR (P₂) at pulling out decreased by about 50 % for all types of needles compared to P₁. The P₂ was the highest in T-needle, and slightly lower than this in H-needle and largely reduced in T-bong to the level of 12% of T-needle. Degree of correlation was not high (R<0.6) between VAS and base line GSR whereas VAS was largely correlated with P₁ (R>0.9) and P₂ (R>0.8). This implies that P₁ and P₂ can be used in evaluating pain in objective ways. In conclusion, T-bong caused virtually no pain at acupuncturing, but its clinical 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lower compared to H-needle or T-needle.
Author(s)
김상희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47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공학협동과정
Advisor
박전홍
Table Of Contents
목차 = 1
그림목차 = 3
초록 = 4
제1장 서론 = 5
1.1 연구배경 = 5
1.1.1 수지침 요법 = 5
1.1.2 수지침 요법의 생리조절 = 8
1.1.3 수지침의 자극 유형 = 9
1.2 연구의 동기 = 9
1.3 연구 목적 = 11
1.4 연구 범위 = 11
1.4.1 평가 항목 = 11
1.4.2 평가 방법 = 12
제2장 실험 내용 및 방법 = 13
2.1 실험 개요 = 13
2.1.1 실험 대상자 = 13
2.1.2 수지침 자극 유형 = 14
2.1.3 시침 위치 및 자극 시간 = 14
2.2 실험 방법 = 14
2.2.1 통증의 평가 = 14
2.2.2 GSR(피부전도도)측정 = 16
2.3 실험 순서 = 18
2.4 데이터의 분석 = 19
제3장 실험 결과 = 23
3.1 자극 유형별 수지침 시술 효과 = 23
3.2 자극 유형별 GSR 신호 = 26
3.3 통증 척도 VAS 와 GSR의 상관성 = 28
제4장 토의 = 34
제5장 결론 = 38
참고문헌 = 39
ABSTRACT = 41
[부록] = 42
[부록1] 실험 참여 동의서 = 42
[부록2] 주관적인 VAS 통증 척도 평가 도구 = 43
[부록3] 개인별 수지침 시술 효과 평가 자료: VAS 척도 및 GSR 신호 = 44
감사의 글 = 5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상희. (2009). 신수지침, T침, T봉의 시술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Postgraduate Program in Biomedical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