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또래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기에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요인에 따라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고 우호적인 또래관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지역 4개 초등학교 남자아동 284명, 여자아동 260명 충 5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또래관계 척도,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인구학적요인에 따른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또래관계의 5개의 하위영역 중 갈등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도움, 배타성, 인정 그리고 자기표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또래관계에서 타인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상호간의 인정 태도 및 수용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학년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를 살펴보면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중 자기표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에서 6학년 아동들이 5학년 아동들보다 자기표현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다문화의 친구 유무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를 살펴보면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중 인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친구가 있는 아동이 또래관계에서 상호간 인정 및 수용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친한 친구 수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를 살펴보면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중 도움, 인정, 갈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한 친구가 있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보다 또래 간 도움정도가 높고 인정하고 수용을 잘하며 갈등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동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기술의 4개의 하위영역 중 자기통제는 차이가 없었으나 협동성, 주장성 그리고 공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또래집단 안에서 도움을 주고 자기의 생각과 의견을 주장하며 타인에 대한 이해 및 공감하는 사회적 기술이 높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학년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적 기술의 모든 하위영역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의 친구 유무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기술의 모든 하위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문화의 친구가 있는 아동들이 그렇지 않는 아동들보다 상호간 협동이 잘 이루어지고 자기의 생각을 잘 주장하며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정도가 높고 자기감정 통제가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친한 친구 수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적 기술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한 친구가 있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보다 또래 간 도움 정도가 높고 주장성 및 타인의 느낌과 감정을 공감하고 갈등 상황에서의 자기통제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적응의 4개의 하위영역 중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 그리고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과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미한 타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이 6학년 아동들보다 학교공부와 학교 규칙에 대한 적응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문화의 친구의 유무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보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중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과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문화의 친구가 있는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학교친구와의 관계가 좋으며 친구와의 적응력이 높고 학교규칙에 적응을 잘 적응함을 알 수 있다. 친한 친구 수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한 친구가 있다고 인지하는 아동이 친한 친구가 없다고 인지하는 아동보다 담임교사, 학교친구와의 관계가 좋으며 수업태도나 학습정도가 높으며 학교규칙을 준수하고 잘 적응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사회적 기술이 좋은 아동이 자신의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고 타인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하며 또한 학교생활에 잘 적응해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아동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이나 주변 환경에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적절한 사회적 기술이 필요하며 이는 또래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ab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peer relations and social skills &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with the subject of fifth- and sixth grades children of a elementary schools. And to give a help for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improve social skills to enhance children's school life adaptation and maintain friendly peer relations by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total of 544 children composed of 284 boys and 260 girls of 4 elementary schools in the Jeju region was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cale of peer relations, the scale of social skill evaluation and the scale of school life adaptation were used as a measuring tool. And t-test and ANOVA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er relations and social skills &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of children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se relationships.

The major analysi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of peer relations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flict among 5 subordinate domains of peer relations. But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lp, exclusiveness, recognition and self-expression.
It means that girls positively interact with other persons in peer relations than boys and has high recognition attitude and a high reception degree between each other. And, if the difference of peer relations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i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xpression among subordinate domains of peer relations.

It means that sixth grade children have a higher self-expression degree than fifth grade children. If the difference of peer relations according to have or have not a multicultural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among subordinate domains of peer relations. Namely, it means that children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have high recognition and a high reception degree between each other in peer relations.

The difference of peer rela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ose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lp, recognition and conflict among subordinate domains of peer relations.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close friends have a higher help degree between peers, admit/accept better and a lower conflict degree than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no close friend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of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ren,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control among 4 subordinate domains of social skill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operativity, assertation and sympathy.

Namely, it means that girls have higher social skills, which give a help, assert thinking and opinion of their own and understand & sympathize with other people, than boys . But if the difference of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social skills.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of social skills according to have or have not a multicultural friends, it appear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social skills.
Namely,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ren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cooperate better between each other, assert his or her thinking better, has a higher degre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on of other people and control their own feelings better than children without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The difference of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ose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social skills.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close friends have a higher help degree and assertation between peers, sympathize feeling & emotion of other people better and have a higher self-control degree under the conflict circumstances than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no close friend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aptation to school study among 4 subordinat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but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aptation to a classroom teacher, adaptation to school friends and adaptation to school rules.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aptation to school study and adaptation to school rules among of subordinat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It can be known that fifth-year children of a primary school have higher adoptability to school study and rules than sixth-year children.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multicultural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aptation to school friends and adaptation to school rules among subordinat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Children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have better relations with school friends, higher adaptation to friends and better adaptation to school rules than children without having multicultural friends.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ose friends was examined, it appear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close friends have better relations with a classroom teacher and school friends, have better class attitude or learning degree, observe school rules better and adapt better than children recognizing that there are no close friends.

Fourth, the correlation of between peer relations, social skills and school life adaptation all showed static correla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ren having good social skills well interact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ir own, form smooth relations with other people and adapt to school life well.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examining about peer relations, social skills and school life adaptation with the subject of fifth and sixth graders of a primary school, it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each other.

Children need proper social skills that can react to various circumstances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ffectively so as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as a member of the society, and this would become an important key point for forming peer relations.
Author(s)
임지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99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양순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또래관계 5
2. 사회적 기술 9
3. 학교생활적응 13

Ⅲ. 연구 방법 15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5
2. 측정도구 16
3. 분석방법 1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0
1. 아동의 또래관계 20
2. 아동의 사회적 기술 23
3.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26
4.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의 상관관계 29
5. 아동의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 31
6.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 33

Ⅴ. 결론 및 제언 35
1. 결론 35
2. 제언 37

참 고 문 헌 39

Abstract 42

부 록 4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임지현. (2009).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